• Title/Summary/Keyword: tug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32초

Interpretation Abilities of American and Korean Students in Kinematics Graphs

  • Kim, Tae-Sun;Kim, Ji-Na;Kim, Beom-K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1-677
    • /
    • 2005
  • Line graphs are powerful tools in conveying complicated relationships and ideas because line graphs show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two continuous variables. Also, line graphs can show readers the variations in variables and correlate two variables in a two dimensional space. For these reasons, line graphs have a significant role in physics, especially kinematics. To what extent are Korean college and secondary students able to understand kinematics graphs?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merica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interpreting kinematics graphs? The TUG-K instrument (Test of Understanding Graphs in Kinematics)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in both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by TUG-K objective. Also,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a graph comprehension theory.

고관절 외전근의 원심성 운동이 보행시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ccentric Exercise of Hip Abductors on Gait Balance)

  • 최원호;김명종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9-6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ccentric exercise of affected hip abductor muscles on Gait balance in patient with hemiplegia. 30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recruited among in and out patients of Gil Hospital(age x=50.5, SD=10.1, range 37-80. post stroke days x=383.2, SD=309.3, range 57-1165).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eccentric and control groups by random sampling. TUG were used for this study. Paired t-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ccentric exercise of hip. The results were sta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xercis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y TUG(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ccentric exercise of affected hip abductor muscles is effects on gait balance in patient with hemiplegia.

  • PDF

Effects of Lower Extremity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s on Balance in Elderly People

  • Kim, Nyeon Jun;Kim, Moo Ki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40-44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lower extremity resistance training using elastic bands on balance in elderly people. Eight elderly persons each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est group(resistance exercise group, REG) or a control group(CG). FRT and TUG test were used to compare bala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Exercise programs were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for 40 minutes for nine weeks. They did warm-up exercise for 5 minutes and then lower extremity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s for 30 minutes. And then they did cool-down exercise for 5 minutes. TUG and FRT significantly decreased but in the control group it did not significantly decrease.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UG and FRT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ower extremity resistance training using elastic bands performed by elderly persons are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balance.

한국형 e-Navigation 예도선 지원 서비스 연구 (Research of Tug and Pilotage Supporting Service for Korean e-Navigation)

  • 김대윤;서종희;박순호;양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8-349
    • /
    • 2018
  • 한국형 e-Navigation의 '예도선 지원 서비스'는 국내 항만에서 예도선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최근 국내 도선 시행 횟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도선 및 예선의 안전을 위한 별도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아, 예도선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도선 지원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각각의 기능 및 기대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서비스를 통해, 국내 예도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푸셔 증후군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서 시각적 피드백기반 로봇보조 재활치료의 효과 (Effect of Robot Assisted Rehabilitation Based on Visual Feedback in Post Stroke Pusher Syndrome)

  • 김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62-5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과 로봇보조재활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에 대한 치료적인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총 10명의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을 보이는 환자가 모집되었다. 환자는 각각 5 명씩 로봇보조재활치료와 대조군으로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로봇보조재활치료와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함께 받았으며, 대조군은 하루 2회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중재 시간은 30분간 진행되었으며, 주 5회, 4주간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 변화는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Berg balance scale (BBS), falling index (FI), Timed up and go test (TU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주간의 중재 치료 후 로봇보조재활치료 군에서 SCP (p=0.046), BBS (p=0.046), FI (p=0.038), TUG (p=0.038)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SCP와 BBS (p=0.024), FI (p=0.039), TUG (p=0.030)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로봇보조재활치료는 일반적인 재활치료에 비하여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을 회복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으며, 푸셔 증후군의 회복은 균형과 보행기능의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

발목관절 보조 도구에 따른 만성 뇌졸중 편마비 장애인의 보행 비교 (Comparison of gait ability according to types of assistive device for ankle joint of chronic hemiplegic stroke survivors)

  • 박동천;정정희;김원득;손일현;이양진;이규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39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gait and mo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assistive device for ankle joint including ankle foot orthosis (AFO), non-elastic tape, elastic tape, and high ankle shoes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survivors. Design: A cross-over design. Methods: Twelve hemiplegic stroke surviv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alked under 5 different conditions including bare feet, wearing a AFO, wearing a non-elastic tape, wearing a elastic tape, and wearing a high ankle shoes. During the participants walked, the spatio-temporal gait analysis and mobility examin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spatio-temporal gait analysis (gait velocity and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and single and double leg support time) and mobility examinations, the gait mat, TUG and TUDS were used. Results: As s results, on the AFO, non-elastic tape, elastic tape, and high ankle shoe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all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UG, and TUDS compared to barefoot (p<0.05). In particular, all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UG, TUD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FO compared to barefoot. TUG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FO compared to non-elastic tape, TUG and TUD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FO compared to elastic tape, gait veloc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non-elastic tape compared to high ankle shoes, gait velocity and TU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elastic tape compared to high ankle shoes, and TUDS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non-elastic tape compared to elastic tape. Conclusion: The AFO, non-elastic tape, elastic tape, and high ankle sho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gait and mobility compared to barefoot, and among them, wearing AFO was most effective for improving gait and mobility of chronic hemiplegic stroke survivors.

예인선의 최저승무기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Tug's Minimum Manning Levels)

  • 정대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90
    • /
    • 2022
  • 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은 90.5 %가 총톤수 200톤 미만으로 대부분 선장 혼자 승무하고, 선원법상 근로시간 및 승무정원에 관한 규정을 적용받지 않는다. 따라서 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의 선장은 항해당직 중 적절한 휴식을 취하지 못해 피로하게 되고, 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은 불가피하게 무자격자인 갑판장과 교대로 항해당직을 수행하며 인적 감항능력을 충족하지 못한다. 또한 예인선의 선장 또는 소유자는 예인선이 부선을 예인할 때 선박직원법상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최저승무기준을 준수하지 못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다음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1) 선원법상 근로시간 및 승무정원에 관한 규정, (2) 선박직원법상 예인선의 갑판부 선박직원의 최저승무기준에 관한 규정, (3) 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의 해양사고 사례. 그리고 예인선의 실효적인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예인선이 부선을 예인하는 경우에는 항해사 1명이 추가적으로 승무하도록 갑판부 선박직원의 최저승무기준을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2022. 1. 27. 시행되었다. 해양에서 인명사고가 동일한 원인으로 계속 발생하고, 그 원인이 제도적 미비로 인한 항해사의 피로라고 판단된다면 해양항만관청은 처벌을 받게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HP를 활용한 우리나라 예선서비스 품질평가 모형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Tug Service in Korea using AHP)

  • 김성기;최상균;김찬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30-537
    • /
    • 2022
  • 예선서비스는 항만 안전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서비스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예선시장 진입장벽으로 인해, 예선업체의 수는 증가하였으며, 이에 업체 간 과당경쟁 발생과 서비스의 질적 저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선업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평가 제도 마련이 시급하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인 시행은 요원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선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함께 공공재적 성격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예선서비스 평가 제도의 시행을 위해 실제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예선서비스 품질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사례연구,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2개의 대분류와 8개의 중분류, 25개의 세부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모형을 개발하였으며, AHP 분석을 시행하여 평가 항목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도출하고 배점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평가보다는 이용자만족도의 가중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평가의 세부지표별 가중치는 시설관리-경영관리-재무건전성 순으로 나타나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시설의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자만족도는 안전성-정시성-서비스만족도-편리성-투명성 순으로 나타나 안전성 확보가 최우선이며, 예선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의 편리성과 투명성보다 안전성과 정시성 같은 서비스 본연의 품질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전신진동운동이 낙상위험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Exercise for Life Care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the Stroke Patient with Risk of Fall)

  • 한상우;박웅식;문경임;고대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37-445
    • /
    • 2020
  • 본 연구는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전신진동운동이 낙상위험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군과 오타고운동군으로 15명씩 할당하여 균형능력은 버그균형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 검사(TUG), 보행능력은 10m 보행속도검사와 Tinetti 운동성 검사를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군 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집단 내 운동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두 군 모두 운동 전후 BBS와 Tinetti 운동성 검사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UG와 10m 보행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군 간 비교에서는 BBS, TUG, 10m 보행속도, Tinetti 운동성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전신진동운동은 낙상위험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을 개선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낙상위험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 능력을 향상을 통한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해 전신진동운동 프로그램을 권장한다.

TENS 적용과 균형운동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Balance Abilities in the Women Elderly with Application TENS versus Balance Training)

  • 이승원;이완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993-1003
    • /
    • 2010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의 경피신경자극(TENS)과 균형운동을 적용하여 균형 능력의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대학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4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TENS군(21명, 84.53세)과 균형운동군(21명, 79.93세)으로 진행하였다. TENS의 적용과 균형운동은 8주 동안 주 3회에 걸쳐 연구자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는 동적균형검사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TUG)와 정적균형검사로 힘판을 이용하여 맨 바닥과 foam 위에서의 자세 동요 속도와 기능적 팔 뻗기 검사 (FRT)와 측방 기능적 팔 뻗기 검사 (LFR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UG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5), 힘판을 이용한 자세동요 속도에서도 두 군 모두 모든 조건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FRT와 LFRT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TUG와 눈 감은 상태의 자세동요 속도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체성감각이 떨어져 있는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TENS는 균형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