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 weight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3초

염 스트레스에 따른 감자 품종 (Solanum tuberosum L.) 간 생육, 수량 및 proline 함량 변이 (Effect of Salinity Stress on Growth, Yield, and Proline Accumulation of Cultivat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 임주성;조지홍;조광수;장동칠;진용익;유홍섭;김화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18-829
    • /
    • 2016
  • 염처리(electrical conductivity, EC 1.0, 4.0, $8.0dS{\cdot}m^{-1}$)에 따른 감자 품종들의 생장, 수량성 및 염 저항성을 이해하고자 국내외 감자 18품종을 각 처리 수준별 염상토 및 염수로 관수 재배하였다. 경, 엽, 뿌리 및 chlorophyll, 수량성, proline 함량을 조사하여 ANOVA 및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경수와 경두께는 염처리의 영향이 없었던 반면, 경장과 지상부 무게는 염에 매우 민감하였다. 특히, 지상부 무게는 대부분 품종에서 고염일수록 감소하였으나 일부 품종('대지', '고운', '하령', 'LT-8')에서는 오히려 더 증가하여 품종 간 차이가 컸다. 엽수, 엽면적, 엽중은 염처리 및 품종${\times}$염의 교호작용에 의해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았으며, 뿌리 생장은 염처리 단일 요인에 대해서는 유의성이 높았으나 품종${\times}$염의 교호작용에 대한 유의성은 없었다. 총 chlorophyll과 chlorophyll a 함량은 염에 민감하였던 반면 품종${\times}$염의 영향은 없었으며, chlorophyll b는 이와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괴경수, 평균괴경무게, 괴경수량 모두 염에 매우 민감하였으며, 괴경수량의 경우, '수미', '크로다', '로마나', '두백'이 지상부 생장이 왕성했던 품종들보다 더 양호하였다. Proline 함량은 염처리로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생장이 양호한 품종에서 함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염 저항성 평가 지표로써 엽수, 엽면적, 엽중 및 뿌리길이는 괴경수량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어 유용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proline 함량은 염수준이 높을수록 괴경수량과 부의 상관성이 높아 활용 지표로의 효용성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감자 품종들 간 염 저항성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염수준이 높을수록 지상부 생장과 괴경 수량성 간 상관성이 낮아 수량이 중요한 농업적 측면에서는 염 저항성 판단 시 지상부 생장보다 상대적인 수량감소율을 활용하는 것이 더 실용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수미', '크로다', '로마나', '두백' 등이 염 저항성 감자 육성을 위한 교배재료 및 염이 문제되는 경작지에서 감자의 지속생산을 위하여 유망할 것으로 생각된다.

둥근마(Dioscorea opposita Thunb.)의 괴경비대 및 성분특성 (Tuber Enlargement and Chemical Components of Yams (Dioscorea opposita Thunb.))

  • 박병재;박주현;김선림;박철호;장광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1-168
    • /
    • 2005
  • 둥근마(Dioscorea opposita L.)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단파마를 우리나라에서 재배시 그 가능성과 제 기관의 생육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두 D. opposita의 괴경의 수량성 및 성분특성을 비교하여 재배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둥근마의 괴경형성은 정식 60일 정도에서 일어나, 그 후 지속적으로 비대 생장이 일어나 160일까지 비대한 후 등숙하였다. 200일째 단마의 괴경중이 512g으로 둥근마 498g보다 약간 높았으나 건물중은 108/127g으로 둥근마가 높아 모양과 건물중이 우수하였다. 둥근마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단백질 함량에서 단마$(2.10\%)$보다 $3.62\%$로 높았으며 섬유, 지방의 함량이 낮았다. 수분함량은 $ 64.53\%로 단마$(79.38\%)$보다 건물량이 높았다. 둥근마의 경도를 보면 2787.6로 단마의 4946.9 보다 약 2배정도 낮고, 색도 중 명도(L)는 둥근마가 77.37으로 단마보다 높았다. 둥근마의 괴경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은 diosgenin의 표준물질과 일치하는 피크를 얻었으며, retention time은 약 5.9에서 나타났다. 둥근마의 괴경에서 diosgenin은 $3.32\%$의 함량을 나타낸 반면 단마에서는 $2.61\%$로 낮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둥근마·단마의 괴경비대 및 성분특성 (Tuber Enlargement and Chemical Components of Yams (Dioscorea opposita Thunb.))

  • 장광진;박병재;박종인;박주현;김선림;박철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50-62
    • /
    • 2004
  • 둥근마(Dioscorea opposita L.)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단파마를 우리나라에서 재배 시 그 가능성과 제기관의 생육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두 D. opposita와 괴경의 수량성 및 성분특성을 비교하여 재배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1. 둥근마의 괴경형성은 정식 60일 정도에서 일어나, 그 후 지속적으로 비대생장이 일어나 160일까지 비대한 후 등숙하였다. 200일째 단마의 괴경중이 512g으로 둥근마 498g보다 약간 높았으나 건물중은 108/127g으로 둥근마가 높아 모양과 건물중이 우수하였다. 2. 둥근마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단백질 함량에서 단마(2.10%)보다 3.62%로 높았으며 섬유, 지방의 함량이 낮았다. 수분함량은 64.53%로 단마(79.38%)보다 건물량이 높았다. 3. 둥근마의 경도를 보면 2787.6로 단마의 4946.9 보다 약 2배정도 낮고, 색도 중 명도(L)는 둥근마가 77.37으로 단마보다 높았다. 4. 둥근마의 괴경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은 diosgenin의 표준물질과 일치하는 피크를 얻었으며, retention time은 약 5.9에서 나타났다. 둥근마의 괴경에서 diosgenin은 3.32%의 함량을 나타낸 반면 단마에서는 2.61%로 낮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에 미치는 매몰심(埋沒深),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수분조건(水分條件)의 영향(影響) (Effect of Depth of Tuber Buria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uber Sprouting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전재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1994
  • 올방개 괴경(塊莖) 형성(形成)과 휴면(休眠) 각성(覺醒)에 각성 미치는 매몰심(埋沒深), 토양온도(士壞溫度)및 수분조건(水分條件)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새로 형성(形成)되는 괴경(塊莖)은 토양표층(土壤表層)으로 부터 30cm 이내(以內)에 고루 분포(分布)하였다. 괴경(塊莖)의 크기는 형성심도(形成深度)가 깊어질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새로 형성(形成)되는 괴경(塊莖)은 휴면성(休眠性)이 없지만, 성숙(成熟) 괴경(塊莖)은 휴면성(休眠性)을 보였다. 신괴경(新塊莖)을 $5^{\circ}C$ 정온(定溫) 또는 $20^{\circ}C$로부터 $1^{\circ}C$로 하강(下降)되는 변온조건(變溫條件)에서 30일간 처리(處理)할 때는 비휴면성(非休眠性)이 유지(維持)되었다. 괴경(塊莖)의 생존력(生存力)은 건조(乾燥) 및 습윤(濕潤) 토양조건(士壞條件)에서 5cm 깊이로 매몰(埋沒)시키면 감소(減少)되었지만, 25cm 매몰심(理沒深)에서는 토양(土壞) 수분조건(水分條件)에 관계없이 감소(減少)되지 않았다. 25cm 깊이로 매몰(埋沒)시킨 괴경(塊莖)의 맹아율(萌芽率)은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에 관계없이 매몰(埋沒) 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증가(增加)한 반면, 건조(乾燥) 및 습윤(濕潤) 조건(條件)의 5cm 매몰(埋沒)에서는 60일 동안 맹아율(萌芽率)이 증가(增加)하다가 그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의 맹아율(萌芽率)은 25cm 보다 5cm 매몰심(埋沒深)에서 높았으며, 두 매몰심(埋沒深) 모두 매몰(埋沒) 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유색칼라 생육 및 구근 비대에 미치는 비가림 재배와 구근 크기의 효과 (Growth and Tkber Development of 'Black Magic' Calla Lily as Affected by the Rain Shelter and Tuber Size)

  • 최소라;임회춘;최동칠;최정식;류정;최영근;은종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3-198
    • /
    • 2002
  • 유색칼라 ‘Black Magic’의 노지와 비가림재배(50% 차광) 및 구근 크기가 생육 및 구근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맹아소요일수는 노지에 비해 비가림 하우스에서 4.2일 단축되었으며 맹아율과 생육은 노지보다 비가림하우스에서 좋았고 구경이 클수록 양호하였다. 노지와 비가림 하우스의 개화수 차이는 없었으나 화경장은 비가림 하우스가 노지에 비해 12.2cm길었으며 구근 크기가 클수록 개화품질이 양호하였다. 연부병 발생률은 노지와 비가림재배에서 각각 19∼83%, 3∼22%로서 노지재배에서 높게 나타났고 구근 비대는 연부병 발생이 적은 비가림재배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정식시 구근 크기가 증가할수록 구근 비대는 양호하였으며 비가림재배에서의 구경 0.5∼1 cm구는 약 7개월 후에 구중 50.2g,구경 5.7cm로 비대하였다.

Purification of the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 Tuber

  • Kwon, Do-Yoon;Kim, Woo-Yeon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63-168
    • /
    • 1996
  •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was purified from potato tuber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Sephadex G-100, and concanavalin A 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Two or three types of polyphenol oxidase were separated on concanavalin A Sepharose. Type I and II polyphenol oxidases did not bind to concanavalin A Sepharose. Type I seemed to be an aggregated form of polyphenol oxidase. Type III polyphenol oxidase, which is presumed to be glycosylated because it was bound to concanavalin A Sepharose and eluted with $\alpha$-D-methyl glucopyranoside, was further purified by chromatography on Econo-Pac Q and Superose 12.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was purified 130-fold from the dissolved ammonium sulfate pellet resulting in about $6\;{\mu}g$ of the enzyme from 100 g of potato tuber periderm. The molecular weight of the glycosylated enzyme deter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about 64,000. Optimum temperature and pH of both II and type III potato polyphenol oxidases were $20^{\circ}C$ and pH 7.0, respectively. Glycosylated form of polyphenol oxidase (type III) preferred catechol to catechin as a substrate, whereas type II enzyme showed the reverse substrate preference.

  • PDF

Effect of Root Media Formulation and Fertilizer Application on Potato Plug Seedling Growth and Field Performance

  • Kang, Bong-Kyoon;Kang, Young-Kil;Kang, Si-Yong;Park, Yang-M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5-129
    • /
    • 2001
  • Eight vermiculite-based root media prepared with addition of complete fertilizer (2 g/L; N-$P_2$$O_5$-$K_2$O, 10-10-14) for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and a commercial root medium were evaluated in 2000 to develop the root media suitable for potato plug seedling production. The eight media consisted of various ratios of vermiculite, perlite, peatmoss, and compost. In addition, four rates (0, 1, 2, or 4 g/L) of the complex fertilizer for potato were added to a root medium (70% vermiculite, 10% perlite, 10% peat moss, and 10% compost by volume) to determine the optimum addition rate of the complex fertilizer for plug seedlings. Compost addition to the media increased plant height,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and top and root fresh weight of 15-day old plug seedlings. The seedlings raised in root media containing compost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tuber yield. Addition of the complex fertilizer to root media enhanced seedling growth and increased the number of tubers per plant and tuber yields. The results suggest that root media containing 50% vermiculite, 0 to 20% peat moss, 10% perlite, 20 to 40% compost, and 2 g/L complex fertilizer for potato appear suitable for potato plug seedling production.

  • PDF

삼백초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 박재호;박부규;김민자;박성규;이철희;김진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0-124
    • /
    • 1999
  • 삼백초의 생육 특성을 구명하여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정식 후 165일에 최고에 이르렀고, 건물율 및 엽면적지수 (LAI)도 29%와 4.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근경의 생육은 정식 후 165일까지 꾸준히 증가 하였고, 이후는 둔화되는 경향 이었다. 3.근경의 건물중은 정식 후 180일에 961g/m$^2$로 가장 높았고, 건물율은 정식 후 150일에 26%에 이르렀으며, 이후는 증가되지 않았다. 4. CGR, RGR및 NAR는 정식 후 150일에 높았고, 정식 165일 이후는 CGR 및 RGR의 증가량이 둔화되었으며, NAR는 감소되었다.

  • PDF

유색칼라 기내배양묘의 순화재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limatization culture of the tissue cultured seedings in Zantedschia spp.)

  • 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5권1호
    • /
    • pp.20-27
    • /
    • 2003
  • 유색칼라 조직배양묘의 순화재배 용토선발실험에서 초기생육 출엽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생육 6개월 후의 괴경비대는 모래(50%)+Peatmoss(50%)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순화재배 시기별 순화율은 8월 20일 정식에서 64%~70.4%로 가장 저조하였고, 3월 20과 4월 20일은 90%이상의 순화율을 나타냈다. 괴경비대은 3월 20일 정식에서 구중이 가장 무거웠다. 순화 재배시 배양묘의 재식거리 10×10cm에서 괴경중이 가장 양호했다.

貯藏溫度와 充塡材料가 마의 貯藏과 品質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Keeping Materials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Yam)

  • 김영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8-63
    • /
    • 1997
  • 최근 한방(韓方)의 생약제(生藥劑) 또는 생식용(生食用)으로서 마의 소비량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년중(年中) 출하(出荷)를 위한 안정적인 저장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마의 저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저장온도와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저장 또는 상품성과 관련된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고 같다. 1.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건전개체율은 상온저장과 저온저장 모두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높았고 상온저장에서는 흙, 저온저장에서는 PE film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한편 중량감소율은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타충진재(他充塡材)에 비하여 PE film과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2. 충전재과(充塡材科)에 따른 저장 후 상품성(商品性)과 관련된 명도(明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저온저장에 비하여 상온저장에서 낮았으며, 충전재(充塡材)는 저온저장에서 PE film을 이용할 경우 명도 및 색도 a값이 높고 색도 b값이 낮은 반면,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PE film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3. 충전재료별 저장 후 상품수량은 건전개체율 또는 수분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부패정도가 $30\sim60%$, 60% 이상인 것, 중량감소율 또는 색도 b값과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