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e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기상요소, 기우제 및 기청제 (Weather Data and Praying for Rain and Eine Weather Written in the True Historical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 소선섭;김용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50
    • /
    • 2000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기상자료를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분석하고, 서울의 과거 기후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요소(강수, 우박, 서리, 안개 등)수를 비교하면 조선 시대에 기록된 자료는 최근 자료의 5.4%로 빈약하여 조선왕조실록만을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복원한다는 것은 어렵다. 기우제(祈雨祭)와 기청제(祈請祭) 일수는 강수 일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강수와 우박 일수는 자료가 부족하긴하나 월별 현황은 최근의 경향과 비슷하다. 서리와 안개의 일수 현황은 과거 10년 동안의 현황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것은 피해없이 내린 경우에는 기록되지 않았고 많은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준 것은 기록되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 PDF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기상요소, 기우제 및 기청제 (Weather Data and Praying for Rain and Fine Weather Written in the True Historical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 소선섭;김용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0-40
    • /
    • 2000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기상자료를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분석하고, 서울의 과거 기후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요소(강수, 우박, 서리, 안개 등)수를 비교하면 조선 시대에 기록된 자료는 최근 자료의 5.4%로 빈약하여 조선왕조실록만을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복원한다는 것은 어렵다. 기우제(祈雨祭)와 기청제(祈請祭) 일수는 강수 일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강수와 우박 일수는 자료가 부족하긴하나 월별 현황은 최근의 경향과 비슷하다. 서리와 안개의 일수 현황은 과거 10년 동안의 현황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것은 피해없이 내린 경우에는 기록되지 않았고, 많은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준 것은 기록되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옛 문헌을 통해 본 한국인의 목욕의식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Bathing Culture Studied via Historical Literature -History of the Three States, Prehistory of the Three States, History of Koryo, True Records of Chosun Dynasty-)

  • 안옥희;김학민;김현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01-316
    • /
    • 2004
  • In this study, 2,238 incidents from History of the Three States, Prehistory of the Three States, History of Koryo, True Records of Chosun Dynasty had been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bathing styles of Korea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period of Three States, baths were taken for the purposes of cleanness, remedy, and beauty culture as well as etiquettes. And spa, rainwater, rivers, streams, and bath tubs were used. In the period of Koryo, it included not only reasons for etiquettes a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but also reasons for medical care and daily life. In spa, temples, and homes, baths were taken by using perfumes and towels. In Chosun Dynasty, daily baths were for hygiene, health, and bodily charms. Before religious ceremonies, they made sure that they took baths, and spa baths were popular for the medical care. The ways to take baths included the order which area was the first to be washed, time, and areas concretely, and seasons, weather, and conditions of body were considered before taking baths. Moreover, the places included natural places such as streams, reservoirs, rivers, as well as artificial places such as temples, places for envoys, and palaces. Especially, in spa areas, bathing buildings were constructed. Considering all these, baths were taken for the purposes of ceremonies and medical care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daily baths took down their roots in the period of Koryo.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spa baths for cures, prays and rituals, hygiene and bodily charms were considered as a reason. How to take baths and means were decided carefully. Therefore, the results above demonstrated that baths took down their roots in people's daily life in Korea since the period of Koryo.

  • PDF

심대윤(沈大允) 『춘추사전속전(春秋四傳續傳)』의 탈성리학적 『춘추』 이해 (A Study on ChunChu in View of Post-Neo-Confucian Found in the Shim Dae-Yoon's ChunChuSaJeonSokJeon)

  • 김동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69-106
    • /
    • 2017
  • 심대윤의 "춘추사전속전"은 조선조 춘추학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작품이다. 성리학에 기반한 조선조 춘추학의 견고한 틀을 깨고, 탈성리학적 "춘추" 이해를 시도한 일종의 도전이자 실험이었다. 본 논문은 심대윤의 탈성리학적 "춘추" 해석의 실체를 밝히고, 그가 시도했던 해석방법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대윤의 "춘추" 해석은 첫째, 기존의 성리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춘추" 의 성격을 새롭게 규정하였다. 둘째,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비판과 해석방법론의 차별화를 통해 "춘추" 의 본질적 모습에 접근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심대윤은 "춘추" 가 가진 경전으로서의 절대성보다는 기록으로서의 객관성을 밝힘으로써 "춘추" 의 현실적 가치를 한층 부각시켰다. 그의 춘추학은 비록 하나의 완결된 이론 체계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탈성리학적 "춘추" 해석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인 의미는 매우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Cultivation and Breeding of Buckwheat as a New Kind of Functional Food in Korea

  • Park, Cheol-Ho;Chang, Kwang-J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심포지엄
    • /
    • pp.43-46
    • /
    • 2002
  • The first record of buckwheat in Korea was revealed from an old Korean book, "Hyangyakguguebbang(鄕藥救急方)" written in the era of king 'Gojong' who governed the country from AD 1236 to 1251 in the Korea dynasty. Buckwheat in Korea has been known to be introduced from China in 5th -6th century. One of the most famous buckwheat noodles, 'Naengmyeon' had been used popularly among the people in the Korea dynasty. It is true that buckwheat had been cooked and sold in temples during the Korea dynasty, and was regarded it as one of the temple foods at that time. Buckwheat has been cultivated as an alternative crop and buckwheat grains have been used as a hardy plant when the food situation for people was lacking in Korea. Buckwheat was an important crop in a slash-and-burn field(shifting cultivation) of the mountainous area in Kangwon province. A written history of the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was found in an old book "Taekriji" which was written by Lee, Jung-Hwan in the Chosun dynasty. The area and number of households of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was 40,000 ha and 135,000 household, respectively in 1973. Fifty to sixty kilogram of buckwheat grains per la was harvested at an altitude of 600 - 800m. Folk songs which have been sung among the people in shifting areas include buckwheat meal. One of the folk songs for buckwheat is as follows; "they do not eat rice with or without waxy property but eat buckwheat mixture." Since 1974, shifting cultivation has been legally prohibited to allow revegetation of destroyed mountains and rehabilitation of woodlands in Korea. Buckwheat has been traditionally marketed as noodle or flour for the manufacture of noodles, and also as groats for food in Korea. Consumption in market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several years. Buckwheat grains are mainly consumed in the form of noodles in Korea. However, many people have recently pursued a desire to make food products of high quality in processing buckwheat materials for health reasons.

  • PDF

주자학과 양명학, 그리고 '국학'의 형성 - 주체성과 실심(實心)의 계보학 - (Zhuzi Learning, Yangming Learning, and Formation of "Gukhak": Genealogy of Subjectivity and Silsim)

  • 김우형
    • 한국철학논집
    • /
    • 제58호
    • /
    • pp.307-336
    • /
    • 2018
  • 본고는 정인보의 '국학' 사상에 나타나는 주체성과 실심(實心, 참된 마음) 정신의 역사적 계보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조명하였다. 근세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주체성과 실심이 주요 화두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송대(宋代) 신유학(新儒學)에서 비롯된다. 정이(程?)는 주체의식을 강조한 최초의 사상가이며, 주희(朱熹)와 왕양명(王陽明)은 정이의 주체성의 원리에 입각한 사상을 계승하되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일 뿐이다. 조선시대 정제두(鄭齊斗)와 강화학파는 신유학의 주체성과 실심의 정신을 발휘한 하나의 사례이다. 정인보(鄭寅普)는 학맥에 있어 강화학파에 속하지만, 양명학이 실심의 자각과 실천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방법론적으로 활용했을 뿐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체성의 원리가 정인보로 하여금 주희 도덕이론(인심도심론)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따르도록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기적인 욕구(자사심)를 옳고 마땅한 것을 자각한 마음(실심)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인심(감각욕구)과 도심(도덕심)의 갈등상황에서 도심을 선택하여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받도록 제어하라는 주희의 견해와 일치한다. 이 같은 윤리학은 행위의 내적 동기나 의무감을 중시하는 입장으로서, 사실상 주희와 왕양명에 있어서도 근본적 차이는 없는 것이다. 적어도 이점에서 근현대 한국학을 유교전통과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역사서 검색으로 관찰한 한반도 강설현상 (Snow Falling Phenomenon of the Korean Peninsular Based on the Records of Old Literatures)

  • 김기원;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48-253
    • /
    • 2002
  • 본 논문은 우리나라 기원전 6년 11월부터 1928년 까지 1934년 간의 강설기록을 살펴 본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눈 기록은 733년 7월에 신라땅과 1637년 전라도 무주에서 있었고 끝눈 기록은 6월 11일에 눈보라가 온 것으로 기록되어 한 여름에도 눈이 왔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적설량은 척관법 단위를 써서 기록하였는데 최고 적설량은 약 열 자 혹은 한 장(장여 혹은 일장) 기록이 있었으며 자주 나타나는 큰눈 기록은 대개 4∼5자가 많이 발견된다. 단위를 치(촌)와 푼(분)까지 사용하여 기록한 바 정확성을 기하려 한 흔적도 보인다. 눈피해는 주로 인명과 가옥 등을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다. 눈피해 중 인명피해로는 크게 3건이 발견된다. 1524년과 1521년에 함경도 경성 땅에서 각각 100여명과 140여명, 1670년에는 제주도에 큰눈이 내려 91명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첫눈이 오면 상서로운 것으로 여겨 나라에서는 신설하례(新雪賀禮) 의식을 갖고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였고, 눈이 오지 않으면 왕에게 간하여 기설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눈과 관련된 기상이변은 여러 번 발견된다. 눈 올 때 심한 천둥번개가 친다거나, 이상한 벌레들이 섞여 내린다거나 붉은 색깔의 눈이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검색한 결과는 단어별 건수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서나 미진한 것이다. 검색방법이나 검색에 사용해야 할 단어 중에는 좀 더 합당한 단어들이 있을 줄 안다. 차후의 연구를 위한 과제로 남기기를 희망한다.

장현광 성리설의 연원에 대한 고찰 - 나흠순 성리설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urces of Jang Hyeongwang's Theories of Li and Ch'i)

  • 김용헌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7-35
    • /
    • 2010
  • 나흠순의 이기일물론과 인심도심성정설은 장현광의 성리설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리기불상리의 원칙에 충실하다는 점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없지 않다. 그러나 장현광의 이기경위설은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첫째, 장현광이 리와 기가 두 가지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이론체계에서 리와 기는 내용적 일치의 관계에 있지 않다. 둘째, 장현광의 철학체계에서 최고 범주는 어디까지나 리라는 점이다. 그의 이기론이 지닌 이러한 특징은 나흠순의 이기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면모이다. 장현광이 도심을 성, 인심을 정으로 본 것은 나흠순의 인심도심성정설의 영향이 분명하다. 다만 그는 체는 용을 겸할 수 있다는 논리로 도심이 미발뿐만 아니라 이발도 겸한다는 논리를 펼쳤기 때문에 그의 인심도심설이 나흠순의 설의 단순한 답습이라고 하기 어렵다. 더욱이 공과 사를 기준으로 도심과 인심을 구분한 인심도심공사설은 인심과 도심을 모두 이발의 정 층위에서 이해했다는 점에서 나흠순의 인심도심성정설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그렇다면 장현광 성리설의 형성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한 마디로 장현광의 철학이론은 호발설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주된 철학적 관심사는 리(사단 도심)와 기(칠정 인심)를 두 근본으로 여기는 학설을 비판하고 리와 기를 하나로 통합하는 철학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결국 리기경위설로 대표되는 그의 성리설은 당시 조선유학계의 학문적 상황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었다는 결론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