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valent arsenic (arsenit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무기비소에 의한 확률론적 위해도 평가 (A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for Inorganic Arsenic)

  • 유동한;하재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3권3_4호
    • /
    • pp.95-104
    • /
    • 1998
  • 확률론적 해석방법은 환경독성물질에 의한 인체위해도 평가시 사용된 각 입력인자들의 불확실성까지 고려하는 방법론이다. 기존의 위해도 평가방법은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결과치의 포인트 값만을 제공하는데 비해 이러한 확률론적 해석방법은 입력인자들의 불확실성이 고려되고 결과치에 대한 이들의 중요도가 산출될 수 있는 등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환경위해도를 기반으로 한 환경정책 결정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미국에서 음용수 기준설정시 논란이 많은 무기비소에 대해 확률론적 평가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 인체위해도평가에 필요한 무기비소의 각종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인자들의 불확실성을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들로부터 무기비소가 포함된 음용수를 마신 일반인의 피부암 위해도를 확률적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계산된 결과치와 여러 위해도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책결정에 필요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계산결과에 의하면 다수의 일반인들이 무기비소를 함유한 음용수섭취를 통해 현재 위해도설정치(10$^{-6}$)보다 높은 ] 피부암 위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Arsenic Toxicity on Duck Spermatozoa and the Ameliorating Effect of L-Ascorbic Acid

  • Lin, Chai-Ching;Huang, Chia-Cherng;Chen, Ming-Cheng;Huang, Andrew Jeng-Fang;Chiou, Hung-Y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9-25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possible mechanism of duck sperm toxicity induced by arsenic exposure in vivo, and to investigate the roles of the antioxidant L-ascorbic acid in ameliorating the arsenic-induced sperm impairment. To test the acute toxicity, the percentages of mortality of mature drake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rivalent sodium arsenite, As (III), and pentavalent sodium arsenate, As (V) were measured. The LD50 value of As (III) for mature drakes was $4.89{\pm}1.49$ ppm. Although As (V) didn't cause any deaths even at a concentration of 40 ppm, the chronic toxicity of As (V) on sperm quality was shown by a decreased fertilization rate. When the concentrations of As (V) were above 0.4 ppm, fertilization rates were lower than those of 0.04 ppm and control. Drakes treated with 40 ppm of As (V) had the highest malondialdehyde (MDA) level in the testis tissue, $3.100{\pm}0.218{\mu}mole/g$ testis. This showed that 40 ppm of As (V) significantly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testis tissue. For the 1.2 ppm As (III) treatment, several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1) sperm motility was decreased most dramatically by $52.0{\pm}9.1$% after three days of incubation; (2) fertilization rate of artificially inseminated semen was the lowest, $26.4{\pm}15.4$; (3) the MDA concentration in testis tissue, $7.846{\pm}0.246{\mu}mole/g$ tes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p<0.05); (4) the sperm number, $1.17{\pm}0.40({\times}10^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with the 60 ppb and control treatments (p<0.05); (5) a black appearance and soft texture was observed in the testis tissue. The antioxidant L-ascorbic acid administered along with 1.2 ppm As (III) decreased the toxicity of arsenic. The ameliorating effects included: improved sperm motility, increased sperm number and fertilization rate, and decreased MDA concentration in the testis tissu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xicity of the trivalent arsenic on sperm quality is partly from free radicals generated by its metabolic pathway, and the antioxidant ascorbic acid ameliorates arsenic-caused sperm impairment.

망간슬래그의 비소에 대한 수착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Arsenic Sorption on Manganese Slag)

  • 설정우;김성희;이우춘;조현구;김순오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29-244
    • /
    • 2013
  • 비소의 오염은 다양한 자연적 또는 인위적 원인들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비소의 자연상 다양한 화학종 중 3가와 5가 형태로 대부분 존재하고, 비소의 거동은 Al, Fe, Mn 산화물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Mn, Si, Ca 등의 성분이 많이 포함된 망간슬래그를 이용한 비소 수착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망간슬래그의 수착제로서의 주요한 특성을 조사하고 평형론과 반응 속도론 실험을 통해 비소 화학종별 수착양상을 고찰하였다. 망간슬래그의 비표면적은 $4.04m^2/g$, 전위차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영전하점(point of zero salt effect, PZSE)은 7.73으로 측정되었다. pH 4, 7, 10의 조건으로 두 비소 화학종의 수착반응에 대한 평형실험 결과 3가 비소보다 5가 비소가 수착량이 더 컸으며 망간슬래그와의 친화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가 비소는 pH 7에서, 5가 비소는 pH 4에서 수착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H에 따른 두 비소 화학종의 존재형태와 망간슬래그의 표면전하 간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이다. 수착반응은 3가 비소와 5가 비소 모두 2시간 이내에 최대 수착량에 도달하였고, 반응속도 실험결과를 다양한 반응속도 모델들에 모사하였을 때, 유사이차(pseudo-second-order)와 포물선(parabolic) 모델이 가장 적합한 모델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