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loid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초

A Report of Triploid Rainbow Trout Production in Korea (3배체 무지개송어의 대량 생산에 대한 연구)

  • 김동수;김인배;백윤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75-580
    • /
    • 1986
  • 1986년초 저자들은 불임 3배체 무지개송어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수정난을 $27^{\circ}C$로 열처리하였다. 그 결과 $50\%$ 전후의 3배체 무지개송어가 유도되었으며 유도된 3배체 송어의 초기 성장률은 여타 보고들과 같이 정상 2배체와 유사하였다. 앞으로 본 방법을 수정개량하여 처리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중요한 불임 무지개송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3배체 유도와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I. 3배체 유도 (Induction of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s I. Induction of Triploid Abalone)

  • 지영주;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9-170
    • /
    • 1995
  • 참전복의 3배체 유도를 위하여 수정 12분후 및 32분 후에 저온$(0^{\circ}C\;,\;3^{\circ}C)$해수 혹은 고온$(35^{\circ}C\;,\;40^{\circ}C)$ 해수 속에서 여러 처리 지속 시간으로 3배체 유도 실험을 한 결과, 수정율은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P>0.05). 그러나 부화율과 정상발생율은 3배체구간 2배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40^{\circ}C$의 고온처리구에서 수정율은 매우 낮았고$(0\~2.7\%)$ 부화되는 유생은 없었다. 3배체 유도율은 염색체수를 직접 계수해서 구했는데 가장 높은 3배체 유도율은 수정 12분 후에 $3^{\circ}C$ 해수에 15분 동안 처리했을 때 $(84.0\%)$였다. 참전복 2배체의 염색체 수는 2n=36이었고 3배체의 염색체 수는 3n=54이었다.

  • PDF

자연산 3배체 붕어 (Carassius auratus) 클론 집단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 (Genetic Identification on Natural Population of Triploid Crucian Carp, Carassius auraus in Korea)

  • 김응오;이종윤;남윤권;노재구;이상윤;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9-594
    • /
    • 2002
  • 국내에 서식하는 붕어 (Carassius auratus) 3배체 집단을 동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 세포유전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자연산 붕어 3배체 집단은 전형적인 3배체의 세포 유전학적 특성들, 즉 이배체에 비해 1.5배의 세포 및 핵의 크기, 3n=150의 염색체수, 그리고 2배체 (3.6pg/cell)에 비해 1.5배 증가된 DNA 함량 (5.4 pg/cell)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3배 체붕어 집단은 DNA fingerprinting 분석에 의해 유전적인 구성이 동일한 클론 집단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클론 3배체 붕어들은 2배체와 비교시 매우 일양한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모두 암컷인 전암컷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함안 집단의 3배체 붕어 집단 이외에도 논산, 주문진, 속초 및 삼례 붕어 집단을 대상으로 3배체 출현 빈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80\%$ 이상의 높은 3배체 빈도를 보였다.

Production of Triploid Somatic Hybrids Between Mandarin and Grapefruit through Electrofusion

  • Kunitake, Hisat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109-113
    • /
    • 2000
  • Somatic hybrids were produced by electrofusion between embryogenic callus protoplasts of 'Syougun' mandarin and leaf protoplasts of grapefruit. Hybridity of the two plants was confirmed by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The cpDNA analysis using PCR-RFLP could not distinguish those of both parents. These plants showed normal growth and had chromosome number of 27. These unexpected triploid somatic hybrids might be derived from fused cells between diaploid protoplast of embryogenic calli and diploid protoplast of leaf, because polysomaty, a mixture of haploid cells and diploid cells was observed in the lactose medium-pretreated embryogenic calli of 'Syougun' by flow cytomehy analysis.

  • PDF

3배체 산천어 (Oncorhynchus masou)유도 (Induction of Triploid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 박인석;김형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7-223
    • /
    • 1994
  • 산천어 3배체를 유도하기 위해 수정난에 고온처리가 실시되었다 3배체 유도율 및 3배체 생산율을 고려시 수온 $28^{\circ}C$에서 수정 후 10분에 15분간, 20분간의 처리가 각각 $96.7\%$의 3배체 유도율, $91.4\%$의 3배체 생산율 및 $100\%$의 3배체 유도율, $89.8\%$의 3배체 생산율을 보여 산천어 3배체 유도시 적절한 처리조건임이 판명되었다. 산천어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적혈구 세포의 장축, 단축, 장축/단축, 표면적 및 부피에 있어 1.29배, 1.17배, 1.10배, 1.54배 및 1.78배의 증가를 보였으며 적혈구 핵의 장축, 단축, 장축/단축, 표면적 및 부피에 있어 각각 1.36배, 1.32배, 1.14배, 1:75배 및 2.31배의 증가를 보였다 산천어 3배체의 염색체수(3n=99) 및 핵형(17 sets of metacentrics or submetacentrics, 16 sets of acrocentrics or telocentrics)은 2배체의 염색체수(2n=66) 및 핵형과 비교시 핵형은 동일하였으나 각 조에서 3개의 염색체로 구성되어 배수화에 따른 반수체의 DNA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3배체의 가장 큰 3개의 telocentrics 단완에 존재하는 부수체(satellite)는 산천어 3배체 확인의 marker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산천어 2배체, 3배체를 대상으로 배체(embryo)에서 인형성부위(nucleolar organizer regions)를 silver 염색한 결과 인의 수/세포에서 산천어 2배체는 1, 2를 나타내었으며 산천어 3배체는 1, 2 및 3을 나타내어 인형성부위의 silver 염색법은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측정법과 아울러 대상 개체를 죽이지 않고 쉽게 배수화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산란기에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성장증대 효과를 보였으며 생식소를 외형적,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3배체 암컷은 불임을 나타내었으며 3배체 수컷은 성숙 장애를 나타내었다. 3배체는 이러한 불임에 기인된 산란 치사를 겪지 않았으며 4년산 3배체 암컷의 평균 전장은 32.7cm로 2년산 2배체 암컷의 평균전장 16.2cm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 PDF

이배체 및 삼배체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에서 주요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들(heat shock protein genes)의 발현 특징 (Expression Pattern of Major Heat Shock Protein Genes in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 박철지;김은정;남윤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15-523
    • /
    • 2020
  • Basal and heat shock-induced mRNA expression patterns of major heat shock protein (HSP) genes, including those encoding heat shock protein (HSP) 90, HSP70, HSP70-12A, heat shock inducible protein 70 (HSIP70), heat shock binding protein 1 (HSPBP1), HSP60, and HSP40 were examined in the gill and hepatopancreas of 1-year-old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Under non-stimulated conditions at 19℃, triploid abalones displayed, in general, higher mRNA levels of various HSPs (HSP70, HSIP70, HSPBP1, HSP70-12A, and HSP60 in the gill and HSIP70, HSPBP1, and HSP60 in the hepatopancreas) than did communally cultured diploids. Conversely, only the hepatopancreatic expression of HSP70-12A was high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However, the fold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an acute thermal challenge (elevation from 19 to 30℃) were generally great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such that the difference in basal expression was diminished, weakened, or even revers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However, unlike other HSP genes, the basal expression of HSP60 (higher in 3N) was more pronounc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iploid abalones have different capacities for not only basal expression but also the heat-induced expression of HSPs in an HSP member-dependent manner.

Cytogenetic Analysis of Four Hosta Species Native to Korea

  • Kim, Hyun-Hee;Park, Young-Wook;Yoon, Pyung-Sub;Choi, Hae-Woon;Bang, Jae-Woo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97-400
    • /
    • 2004
  • The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s were investigated in four Korean native species of the genus Hosta. The chromosome complements were diploid of 2n=60 in H. japonica var. lancifolia Nakai and H. capitata Nakai, aneuploid of 2n=59 in H. minor (Bak.) Nakai, and modified triploid of 2n=92 in H. longipes (Fr. et Sav.) Matsumura. All the species carried four sets of distinctly large chromosomes of which the chromosome types were telocentrics or subtelocentrics with $4.4{\sim}7.2\;{\mu}m$ in length. The other chromosomes were meta-, submeta, subtelo-, or telocentric types and showed gradual length degradation in the range of $1.0{\sim}3.0\;{\mu}m$. The satellites appeared vestigially in a pair or a triplet set of chromosomes which depends on the species. New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in H. longipes were the first report in this species. The structural rearrangement was suggested to explain the modified triploid composition of 2n=92.

3배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유도에 관한 연구 (Triploidy Induc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동수;정창화;이영돈;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61
    • /
    • 1994
  • 넙치의 수정란을 수정 3분 후 $2^{\circ}C$에서 45분간 저온 처리하여 $92.6\%$의 빈도로 3배체를 유도하였다 수정란의 부상율 및 수정율은 실험군 사이에 유의차가 없었다(P> 0.05). 그러나 부화율과 기형율은 2배체와 3배체가 유의차가 있게 나타났다P< 0.05). 3배체를 적혈구 세포크기 측정 및 염색체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세포의 표면적에서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1.6배 증가되었고, 2배체의 염객체수는 48개의 acrocentric인 반면 3배체는 72개의 acrocentric 염색체로 나타났다.

  • PDF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2배체와 3배체간의 혈액학적 및 생리학적 특징 (Haemat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ploid and Triploid in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 박인석;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29
    • /
    • 1995
  • 수정 10분후에 수온 $28^{\circ}C$에서 15분간 처리로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3배체를 유도하였다. 혈액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조사가 3배체와 2배체를 대상으로 산란기전에 실시되었다. 적혈구 수에서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유의하게(P< 0.01) 낮은 반면 산소 소모, haematocrit치, hemoglobin, 적혈구 부피, MCH 및 MCHRBC에서는 3배체가 2배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otal protein, albumin 및 cholesterol에서도 역시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PDF

ON THE ADAPTED EQUATIONS IN VARIOUS DYPLOID MODEL AND HARDY-WEINBURG EQUILIBRIUM IN A TRIPLOID MODEL

  • Won Choi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31권1호
    • /
    • pp.17-23
    • /
    • 2023
  • For a locus with two alleles (IA and IB), the frequencies of the alleles are represented by $$p=f(I^A)={\frac{2N_{AA}+N_{AB}}{2N}},\;q=f(I^B)={\frac{2N_{BB}+N_{AB}}{2N}}$$ where NAA, NAB and NBB are the numbers of IAIA, IAIB and IBIB respectively and N is the total number of populations. The frequencies of the genotypes expected are calculated by using p2, 2pq and q2. Choi defined the density and operator for the value of the frequency of one gene and found the adapte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as a follow-up for the frequency of alleles and applied this adapte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to several diploid model [1]. In this paper, we find adapted equations for the model for selection against recessive homozygotes and in case that the alley frequency changes after one generation of selection when there is no dominance. Also we consider the triploid model with three alleles IA, IB and i and determine whether six genotypes observed are in Hardy-Weinburg for equilibr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