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yclazol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초

Mycelial Melanization of Rhizoctonia solani AG1 Affecting Pathogenicity in Rice

  • Kim, Heung-Tae;Chung, Young-Ryun;Cho, Kwang-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10-215
    • /
    • 2001
  • The phenotype of Rhizoctonia solani KR-13 was randomly segregated to both melanin-producing (M+) and non-producing (M-) types through successive cultures on PDA. M+type with dark melanin showed strong pathogenicity to rice and self-anastomosis. Meanwhile, M- type with white or less-melanized mycelia showed very weak pathogenicity and non-self-anastomosis. Melanin production of R. solani was affected by incubation temperature in both M+ and M- types, but not by light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tricyclazole, an inhibitor of fungal melanin biosynthesis, showed no controlling effect on R. solani causing rice sheath bligh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lanization of mycelia of R. solani is an important pathogenicity factor in rice.

  • PDF

곡물류 중 잔류농약 다성분 분석을 위한 개선된 QuEChERS 시료 정제법의 개발 (Multi-residue Pesticide Analysis in Cereal using Modified QuEChERS Samloe Preparation Method)

  • 양인철;홍수명;권혜영;김택겸;김두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4-334
    • /
    • 2013
  • 곡물류 모니터링 시료인 현미, 보리, 옥수수 3가지 작물을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등록된 농약을 조사, 76종을 선정하여 QuEChERS AOAC Official 2007. 01. 법과 변형된 QuEChERS 법으로 LC-MS/MS를 이용하여 회수율 시험을 비교하였다. 1% acetic acid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QuEChERS AOAC Official 2007. 01. 법의 0.05, 0.2 mg/kg 회수율 결과는 현미 32.4~139.0%, 보리 24.2~123.7%, 옥수수 29.0~117.2%였고, 그 중 sulfonylurea 계통인 azimsulfuron, ethoxysulfuron, flucetosulfuron, imazosulfuron에 대해 회수율이 낮게 나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들 농약의 평균 회수율은 53.3%였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QuEChERS 법의 추출용매를 1% formic acid가 함유된 acetonitrile 용매로 바꾼 결과, 0.05, 0.2 mg/kg 수준의 회수율은 현미 73.2~132.2%, 보리 80.9~136.8%, 옥수수 66.6~143.5%였으며 변이계수는 모두 10% 미만이었다. 문제시 되었던 sulfonylurea 계통의 농약의 회수율도 53.3%에서 90.5%로 증가하였다. 검출한계(limits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s of quantification, LOQ)는 현미 0.24~1.92, 0.79~65.74 ng/g, 보리 0.12~21.12, 0.36~63.36 ng/g, 옥수수 0.28~100.8, 0.86~302.4 ng/g이었다. 변형한 QuEChERS 법을 모니터링 시료 현미, 보리, 옥수수에 적용하여 98개 시료를 분석한 결과 36개의 시료에서 26종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 농도가 가장 높은 농약은 tricyclazole로 1.17 mg/kg로 조사되었다. 변형한 QuEChERS법으로 전처리를 하여 질량분석기 뿐만 아니라 현재 많이 보급된 검출기인 ECD, NPD 및 UPLC에서도 분석이 가능한지 실험하였고, 현미, 보리, 옥수수의 평균 회수율은 ECD는 65.3~130.3%, NPD는 61.6~133.0%로 대부분의 농약들이 잔류농약 검색용을 목적으로 하는 다성분 분석의 기준인 70~130% 이내의 회수율과 30%의 미만의 변이계수 조건을 만족하였다.

Adjuvant에 의한 농약살포액의 물리성 개선 및 약효증진 효과 (Enhancement of Physical Properties and Efficacy of Pesticide Spray Solution by Addition of Adjuvants)

  • 진용덕;이희동;유오종;김진배;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1-428
    • /
    • 2008
  • Adjuvant 첨가에 의한 농약살포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약효증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농약살포액의 분무입경은 adjuvant의 첨가로 다소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효과는 약제 및 보조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또한 보조제 첨가에 의한 농약의 작물체 부착량은 일정한 경향없이 살포 방법 및 살포량에 따라 상반된 효과를 나타냈다. Adjuvant에 의한 tricyclazole WP와 fenobucarb EC 희석액의 살포 6시간 후 강우처리시 내강우성은 벼의 부위에 따라 $1.5{\sim}4.1$배의 높은 증진효과를 보였다. 또한 보조제 첨가에 의한 Propanil EC의 피 방제효과는 무첨가에 비해 $8{\sim}30%$의 약효 증진 효과를 보여 적절한 보조제를 혼용함으로써 농약의 살포회수 및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벼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농약(農藥)이 논의 Periphyton Community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Pesticides on Periphyton Community in Paddy field)

  • 노정구;이은호;박철원;이성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8-113
    • /
    • 1983
  • 환경독성학(環境毒性學)(ecotoxicology) 관점(觀點)에서의 연구분야(硏究分野)는 크게 bioassay의 평가기법(評價技法)과 ecosystem analysis를 위한 야외조사(野外調査)로 대별(大別)된다. 본 연구(硏究)는 현재 다량(多量) 사용(使用)되고 있는 제초제(除草劑)(butachlor), 살충제(殺蟲劑)(carbofuran), 살균제(殺菌劑)(tricyclazole)를 철포(撤布)한 논에서의 periphyton에 대한 농약(農藥)의 영향(影響)을 평가(評價)하였다. 1) Periphyton 중(中) 기초생산자(基礎生産者)인 algae의 chlorophyll-a 함량(含量)은 벼 생육기간(生育期間)동안 $0.0007{\sim}0.0091g/^2$를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농약(農藥)에 의한 chlorophyll-a 함량(含量)의 영향(影響)은 없었으며 수온(水溫)과 일조량(日照量)에 따른 변화(變化)를 나타내었다. 2) 생체량(生體量)(dry and ash-free weight)은 $0.0535{\sim}2.9850g/^2$로 biomass 역시 수온변화(水溫變化)에 따른 영향(影響)으로 사료(思料)된다. 3) Autotrophic index는 $43{\sim}2027$의 값을 나타내었다. 논에서 형성(形成)되는 periphytic community는 대부분 heterotrophic 조건(條件)을 갖는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이것은 biomass 구성체(構成體)가 기초생산자(基礎生産者)보다는 유기물질(有機物質)과 소비자(消費者)가 많은 trophic nature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볼 때 논에서 사용(使用)하고 있는 제초제(除草劑)를 비롯한 살충제(殺蟲劑), 살균제(殺菌劑)등의 농약(農藥)은 논토양의 부착성 조류(藻類)의 생육(生育) 및 biomass에 큰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그러나 본(本) 실험(實驗)은 한정(限定)된 지역에서 1년간(年間)이라는 단기간의 조사 기간동안 실시된 것이고, 또한 실험실적(實驗室的)으로 bioassay 기법에 의한 algae의 영향(影響)을 평가(評價)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의 결과(結果)만으로 어떤 사실을 단정하기 곤란하므로 이 연구(硏究)를 바탕으로 하여 생태계내(生態系內) 1차 생산자인 조류(藻類)에 대한 농약(農藥)의 영향(影響)을 광범위하며, 깊이 있는 연구(硏究)와 자료축적(資料蓄積)으로 환경독성학(環境毒性學) 분야(分野)를 발전(發展)시켜야 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Foliar Uptake of Eight Fungicides Using a New Measuring Tool, Congo Red Method

  • Yu, Ju-Hyun;Lim, He-Kyoung;Cho, Kwang-Yun;Kim, Jeong-H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27-31
    • /
    • 2001
  • Using a new evaluation method, Congo red method, the foliar uptakes of eight fungicides were measured. Among the fungicides tested, fenarimol, myclobutanil, edifenphos, isoprothiolane, and tricyclazole were found to be penetrable (11.0~42.8%), and were continuously absorbed into the leaf regardless of their formulation types. Procymidone, dimethomorpb, and ethaboxan were seldomly absorbed into plant leaf. The uptakes of dimethomorph and ethaboxam were facilitated (18.1~22.7%) in the presence of Koremul-OE-20, as an activator, showing plateau phase at 12h after application. Foliar uptake of fenarimol and myclobutanil into cucumber plant by spray application was larger than that by dropping application, while observed opposite in the cases of dimethomorph and ethaboxam containing activator. Congo red method in conjunction with spraying application used in the present study produced the clear results on foliar uptake of fungicides and therefore proved to be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dropping application of pesticide has been used.

  • PDF

LC-HRMS 기반의 표적, 추정 및 비표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화포습지 내 미량오염물질 및 대사체 분석 (Analysis of Micropollutants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Hwapo Wetland through Target,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Using LC-HRMS)

  • 황수민;전준호
    •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 /
    • 제21권4호
    • /
    • pp.304-315
    • /
    • 2018
  • Located in Gimhae, Hwapo is the biggest riverine wetland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sam-do, Korea, and is a major habitat for various species.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various pollutants enter the wetlands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organic pollutants in this wetland and their sourc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during one summer season. Forty-five substanc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arget screening, and other non-selected compounds were screened using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methods. The results were that 21 and 17 targeted substances were detected in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Major pollutants in July and August were oxadiazon (July: 17-220 ng/L, August: 66-460 ng/L), carbendazim (July: 10-110 ng/L, August: 64-520 ng/L), caffeine (July: 33-1,100 ng/L, August: 56-580 ng/L), and niflumic acid (July: 23-75 ng/L, August: 42-290 ng/L). Sampling sites S4 in July and S2 in August were the major inflow points. Ten substances (tricyclazole, hexaconazole, diuron, fexofenadine, irbesartan, simetryn, cimetidine, valsartan, tebuconazole, and benzotriazole) and four metabolites (valsartan acid, azoxystrobin acid, TEB_M324c, and 2-aminobenzimidazole) were tentatively identified through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respectively.

Isolation and In vitro and In vivo Antifungal Activity of Phenylacetic acid Produced by Micromonospora aurantiaca Strain JK-1

  • Kim, Hyo-Jin;Hwang, In-Sun;Kim, Beom-Seok;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75-89
    • /
    • 2006
  • The actinomycete strain JK-1 that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ome plant pathogenic fungi and oomycetes was isolated from Jung-bal Mountain in Ko-yang, Korea. The strain JK-1 produced spores singly borne on sporophores and the spores were spherical and 0.9-1.2 11m in diameter. The cell wall of the strain JK-1 contained meso-diaminopimelic acid. The actinomycete strain JK-1 was identified as the genus Micromonospora based on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From the 168 rDNA analysis, the strain JK-1 was assigned to M aurantiaca. The antibiotic MA-1 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broth of M aurantiaca JK-1 using various purification procedures, such as Diaion HP20 chromatography, C18 flash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flash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1}H-$, $^{13}C-NMR$ and EI mass spectral analysis of the antibiotic MA-1 revealed that the antibiotic MA-1 is identical to phenylacetic acid. Phenylacetic acid showed in vitro inhibitory effects against fungal and oomycete pathogens Alternaria mali, Botrytis cinerea, Magnaporthe grisea, Phytophthora capsici an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t < 100 $\mug$ $ml^{-1}$. In addition, phenylacetic, acid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Sclerotinia sclerotiorum,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s,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at < $\mug$ $ml^{-1}$. Phenylacetic acid strongly inhibited conidial germination and hyphal growth of M grisea and C. orbiculare. Phenylacetic acid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inhibitory' effect against rice blast and cucumber anthracnose diseases at 250 $\mug$ $ml^{-1}$. The control efficacies of phenylacetic acid against the two diseases were similar to those of commercial compounds tricyclazole, iprobenfos and chlorothalonil .n the greenhouse.

남한강지류 복포천유역의 농약잔류량 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water and soil at the Bokpocheon watershed in Yangpyong)

  • 박경훈;김찬섭;박병준;이병무;최주현;정미혜;김병석;박현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0-237
    • /
    • 2007
  • 남한강 지류인 복포천 하천수와 토양을 대상으로 3년간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하천수에서 벼농사용 농약인 butachlor, carbofuran, diazinot fenitrothion, fenobucarb, ipobenfos, isorothiolane, molinate, tricyclazole 등 9종이 $0.1{\sim}22.7\;ppb$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전국 하천수를 대상으로 한 농업과학기술원의 농약잔류량 조사결과(1998년)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농약사용기인 5, 6, 7, 8월에만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수준은 우리나라 먹는 물의 수질기준보다는 낮은 수준이었고, 이지역의 관정수에서는 농약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논 토양에서는 butachlor, diazinon, dimeperate, dimethometryn, fenitrothion, iprobenfos, isoprothiolane, molinate, parathion, piperophos, thiobencarb 등 11종의 농약이 $0.002{\sim}0.55\;ppm$의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환경친화적 토양개량제의 농경지 중 잔류농약 경감효과 (Reduction Effects of Residual Pesticides using the Eco-friendly Soil Amendments in Agricultural Soil)

  • 이효섭;홍수명;김택겸;권혜영;김단비;문병철;문준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2-318
    • /
    • 2016
  • 토양 중 잔류농약 관리방안을 위해서 8종의 토양개량제(패화석, 생석회, 석회고토, 규산질비료, 부엽토, 유박, 상토, 왕겨숯)를 이용하여 토양 중 잔류농약 경감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은 토양에 0.1 mg/kg 수준으로 농약을 첨가한 후 토양개량제를 토양무게의 2% 수준으로 처리하고 7일 동안 상온보관 후 잔류농약 경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잔류량 분석은 QuEChERS 전처리법과 HPLC-MS/MS를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pH에 따른 토양 중 잔류농약 경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0, 1, 3, 7일의 pH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2% 생석회를 투입한 토양에서는 boscalid, dimethomorph 및 tricyclazole을 제외한 azoxystrobin 등 7종의 농약이 95% 이상 경감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토양개량제 투입에 따른 토양 pH는 생석회를 첨가한 토양에서 pH 12.8 수준으로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농약사용 지표설정을 위한 수도용 농약사용량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in Paddy Rice for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 권오경;홍수명;최달순;성기석;임양빈;강충길;송병훈;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39
    • /
    • 2000
  • 국내 농업환경 중 농약지표 설정을 위해 16개 지대 29지역 100농가를 대상으로 수도 재배용 농약 실제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농약별 실제 사용량에 따른 잔류 경향을 알아보고자, 조사농가에서 재배된 벼의 현미 및 볏짚 중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수도재배시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은 살충제 43%, 제초제 29%, 살균제 27%를 나타냈으며, 살충제 중 주요 사용농약은 carbofuran, BPMC, cartap 등이었다. 제초제는 혼합제인 molinate+pyrazosulfuran-ethyl과 butachlor, 살균제의 경우 IBP와 혼합제 isoprothiolan+tricyclazol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었다. 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입제농약 위주의 사용경향을 나타냈으며 GR>DP>WP>EC>FG>SP 순이었다. 수도재배 단위면적당(a.i./ha) 농약사용량은 7.13 kg이었으며, 전국 총 사용량을 추산한 결과 8,387 M/T로 추정되었다.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과 출하량과의 일치도는 살충제 84.3%, 제초제 77.8%, 살균제 94.7%로 나타났고 총 실물량 일치도는 97%이었다. 농약 실제 사용량에 따른 농약잔류성은 살균, 살충제로서 사용 빈도가 높은 농약인 BPMC와 IBP가 $57.7{\sim}94.9%$의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냈으며, 이들 농약의 잔류수준은 허용기준 미만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