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148초

열처리와 발아에 따른 왕겨(Oryza sativa L.)의 Tricin과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함량 (Tricin and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Contents of Rice Hull (Oryza sativa L.) with Heat Treatment and Germination)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96-7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및 발아와 발아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의 함량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열처리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은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3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각각 253.12 및 $208.39{\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 2일차에서 각각 118.20 및 $95.37{\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일수별 벼의 조효소액을 여과한 조효소액 및 여과 후 남은 잔여물을 접종한 결과 여과한 조효소액의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함량 차이가 없었으나 잔여물을 처리하였을 때 tricin 및 TTGE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발아 벼 6일 차에서 각각 361.76 및 $308.08{\mu}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ricin과 TTGE의 함량을 가장 많이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은 발아 6일차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 여과 잔여물을 처리한 경우로 나타났다.

왕겨에서 Tricin과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TTGE) 추출 조건의 최적화 (Optimum Extraction of Tricin and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TTGE) from Rice Hull (Oryza sativa L.))

  • 윤나라;이상훈;장귀영;이윤정;;김민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23-19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왕겨 중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을 확인하고,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50, 60, 70, 80 및 90%), 추출방법(교반 및 초음파 추출) 및 추출시간(0.5~48시간)이 tricin과 TTGE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왕겨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은 각각 $82.20{\mu}g/g$$53.12{\mu}g/g$이었다. Tricin 및 TTGE의 최적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 50, 60, 70, 80 및 90%에 따라 tricin은 각각 66.03, 70.70, 76.11, 66.16 및 23.99%를, TTGE는 각각 64.56, 68.14, 71.42, 60.29 및 16.84%의 회수율을 보여 70% 농도가 가장 높았다. 초음파 추출 시 tricin 회수율은 2시간 처리에서 83.30% 그리고 TTGE는 1시간 처리 시 71.80%로 높았다. 교반 추출 시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회수율은 증가하였으며, tricin은 48시간 추출 시 92.34% 그리고 TTGE는 24시간 추출 시 76.89%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ricin과 TTGE를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조건은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 70%로 1시간 초음파 추출이라 판단된다.

발아 벼로부터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생성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germinated rice)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1-365
    • /
    • 2016
  • 본 연구는 왕겨에서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를 생성시키는 균주를 분리와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아 벼 추출물을 MYP, PDA, YM 및 LB 배지에 배양하고 각 배지에서 분리한 균을 왕겨에 접종해 TTG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PDA 배지에서 자란 균에 의한 TTGE의 생성량($339.30{\mu}g/g$)이 가장 많았다. 분리한 균을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vietnamiensis로 확인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catalase 활성을 갖는 short rod 형태의 Gram 세균인 것으로 확인해 기존 Burkholderia 속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분리한 세균을 살균한 왕겨에 접종하여 배양시킨 결과 배양기간에 따라 TTG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72시간 동안 배양에서 $435.86{\mu}g/g$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폐기되는 왕겨를 활용함으로써 왕겨의 함유된 TTGE의 함량을 증대시켜 기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Sasa borealis의 Diastereomeric 성분들의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 분석방법 (Reverse-Phase HPLC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Diastereomeric Constituents from Sasa borealis)

  • 정연희;이준;권영주;서은경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5
    • /
    • 2006
  • Reiterated normal-phase column chromatography lead to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six known compounds but for the first time from the whole plant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Gramineae): tricin 4'-O-(erythro-${\beta}$-guaia-cylglyceryl) ether (1),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 (2), tricin 4'-O-[erythro-${\beta}$-guaiacyl-(9'-O-acetyl)-glyceryl] ether (3), tricin 4'-O-[threo-${\beta}$-guaiacyl-(9'-O-acetyl)-glyceryl] ether (4), (-)-pinoresinol (5), and vanillin (6).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1-6) were established based on interpretation of high resolution NMR (COSY, HSQC, HMBC, and NOESY) spectral data. In particular, compounds 1 and 3 were diastereomers of compounds 2 and 4, respectively. These two sets of diastereomers were able to be simultaneously identified and quantified by a gradient reversed-phase HPLC method with UV photodiode array, This sensitive HPLC method is noteworthy as a simultaneous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method to test the extract of the family Gramineae which contains these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