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molit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2초

영종도 중산동 신석기시대 토기의 광물 및 화학조성과 제작특성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the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Neolithic Pottery Excavated from the Jungsandong Site, Yeongjong Island, South Korea)

  • 이찬희;김란희;신숙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1호
    • /
    • pp.4-31
    • /
    • 2018
  • 영종도 중산동 신석기시대 토기를 광물조합에 따라 크게 4유형(I-형; 장석질 토기, II-형; 운모질 토기, III-형; 활석질 토기, IV-형; 석면질 토기)으로 구분하였다. 토기는 전반적으로 불완전 소성을 경험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점토함량이 높은 I-형에서 산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석이 다량 포함된 III-형은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사포나이트를 포함하여 탄소제거 속도가 다소 느렸던 것 으로 판단된다. IV-형 토기는 적색도가 가장 높고 균일한 특성을 보여 산화정도가 가장 좋았다. 특히 I-형 토기의 기벽 안쪽에는 약 1mm 두께의 유기질 기원 고착 탄화물(C; 33.7 wt.%)이 검출되었으며, 외면에 방사상 균열이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조리용 토기의 반복적 열 충격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I-형을 제외한 토기를 모두 저장용으로 볼 때, 활석과 투각섬석을 포함한 토기는 액체 저장에 용이한 재료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광물조성이 다양하고 물성이 약한 II-형은 단순 저장용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국내 활석 및 석면광산은 경기 및 강원, 충북 일부와 충남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활석과 투각섬석은 서로 수반광물로 산 출 될 가능성이 높다. 중산동 유적과 이들 광산의 거리 및 지형적 분포를 고려할 때 원료채취의 가능성은 있으나 개연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중산동 일대에는 활석 및 투각섬석을 형성시킬만한 사문암과 같은 초염기성암체가 확인되지 않는다. 한편 영종도 북서측에 운모편암을 협재한 석회암과 흑운모화강암이 분포하고 있어 과거 소규모 암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따라서 중산동 유적 외에 활석 및 투각섬석을 포함하는 토기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 주변지역에 대한 보다 정밀한 암석 및 토양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산동 유적 토기의 소성온도는 유형별 구성광물의 안정범위를 통해 해석하였으며, I-형 토기는 $550{\sim}800^{\circ}C$, II-형, III-형, IV-형 토기는 모두 $550{\sim}700^{\circ}C$로 추정된다. 이들의 물성 및 소성도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온 도뿐만 아니라 점토의 종류와 입도 및 소성유지 시간 등이다.

서산 웅도 백운암 내 석면 산출 및 광물학적 특성 규명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sbestos in Dolostone at Ungdo, Seosan)

  • 김선옥;이민희;정현정;신원지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5호
    • /
    • pp.489-496
    • /
    • 2014
  • 본 연구는 충청남도 서산시 웅도 백운암에서 산출되는 석면에 대하여 박편관찰,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석면의 광물학적 및 형태적 특성을 규명하고, 백운암의 광물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석면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모암은 열수 변질 및 변성작용을 받았으며, 광물학으로는 주로 백운석과 소량의 방해석, 석영, 활석, 각섬석, 휘석 등으로 이루어진 백운암인 것으로 밝혀졌다. 모암 내 존재하는 석면은 섬유상-침상 입자형태를 가진 양기석-투각섬석계 석면이었으나, 변성정도에 따라 주상 및 침상형태를 가진 비석면형의 양기석-투각섬석도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상이나 침상 형태의 광물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주상의 경우 벽개면을 따라 더 작은 침상 또는 주상의 입자로 쪼개지는 특성을 나타내어, 풍화과정에 의한 쪼개짐 현상에 의해 석면입자로 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기석-투각섬석 광물군에서 너비가 $1{\mu}m$ 이하인 휘어진 형태의 섬유상 석면 입자가 발견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백운암 내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았던 석면 입자가 웅도 백운암에서 검출되었고, 광물학적 분석 결과 석면광물은 Ca, Mg를 함유한 백운암질 석회암이 열수 변질을 받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주로 양기석-투각섬석 석면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부 옥천변성대내의 활석광화작용 (I): 동양활석광상의 안정동위원소연구를 중심으로 (Talc Mineralization in the Middle Ogcheon Metamorphic Belt (I): with Emphasis of the Stable Isotope Studies of the Dongyang Talc Deposit)

  • 박희인;이인성;허순도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6호
    • /
    • pp.635-646
    • /
    • 1995
  • 동양활석광상의 광화대는 옥천누층군에 속하는 향산리 돌로마이트의 최하부 돌로마이트층준에 발달하며 광체는 이 지역 지층 중에 밥달하는 $N85^{\circ}{\sim}90^{\circ}W$$40^{\circ}$ 로 플란지하는 작은 습곡축에 따라 파이프상으로 배태되어 있다. 이 광상의 모든 광체들의 상반이나 하반에 각섬질암이나 녹니석편암을 수반한다(김옥준 등, 1963; 박희인과 김기태, 1966). 동양활석광상의 활석광화작용은 돌로마이트의 재결정작용과 규화작용에 이어 투각섬석과, 판상, 엽편상활석(I), 미립질 활석 (II)의 생성 순으로 이루어졌다. 활석(I)은 돌로마이트와 $SiO_2$ 성분이 풍부한 유체와의 반응으로 생성되었고 활석 (II)는 돌로마이트와 유세와의 반응과 이마 생성된 투각섬석과 유체와의 반응으로 생성되었다. 광화기간중 유체는 초기에는 $H_2O-CO_2$계의 것으로 $CO_2$가 풍부한 것이었으나, 말기로 가며 $H_2O-NaCl-CO_2 $계를 거쳐 $H_2O-NaCl $계의 것으로 변하였다. 투각섬석과 활석(l) 생성기의 온도 및 압력조건은 각각 1,640~2,530 bar, $440{\sim}480^{\circ}C$ 였고, 활석 (II) 생성기의 온도 및 압력조건은 1,400~2,200 bar와 $360{\sim}390^{\circ}C$였다. 이 값은 동양활석광상 북쪽 약 5km에 분포하는 문주리층 구성암석의 변성온도 및 압력값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활석광상의 모암인 돌로마이트의 ${\delta}^{13}C$${\delta}^{18}O$값은 각각 2.9~5.7‰ (PDB)과 -7.4~16.8‰ (PDB)로서 기 보고된 태백산지역의 석회암의 값에 비하여 높으나 변질받지 않은 퇴적원 돌로마이트가 갖는 값의 범위내에 든다. 동양활석광상의 활석의${\delta}^{18}O$${\delta}D$값은 각각 +8.6-15.8‰ (vs SMOW)와 -65~-90‰ (vs SMOW)로서 마그마 기원의 물의 값을 갖는다. 이 값은 이 지역의 문주리층과 계명산층을 구성하는 변성암류의 ${\delta}^{18}O$${\delta}D$ 값과는 판이하다. 경석고의 ${\delta}^{34}S$ 값은 22.4‰ (CDT)로서 고생대초의 황산염의 ${\delta}^{34}S$의 값(30‰ vs CDT)보다 낮아 화성기원의 S가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활석광석에는 약하게 염리와 파랑벽개 등이 발달하고 있어 활석광상은 옥천대가 겪은 여러 차례의 변형작용중 최후기상이 적어도 끝나가 이전에 마그마 기원의 유체에 의하여 생성된 열수교대 광상이라 사료된다.

  • PDF

중국산 해포석 내 석면 함유 유무 분석 (Asbestos Analysis of China Sepiolite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송세욱;정용현;한정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5-211
    • /
    • 2013
  • Objectives: 21 sepiolite substances produced in China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f asbestos in their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asbestos in sepiolite substances, test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TEM-EDS) for confirming their shape and components (atomic %). Results: Five of 21 sepiolte substances were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Two chrysotile containing sepiolite proved to be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as did two chrysotile mixed with tremolite containing sepiolite. 16 sepiolite substances did not contain asbestos materials. Conclusions: When importing sepiolite substances, they must be analyzed to determine if there is asbestos in their materials.

괴산지역 황강리층의 접촉변성작용에서 유체-암석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Fluid-rock Interaction during Contact Metamorphism of the Hwanggangni Formation Geosan, Korea)

  • Kim, Sangmyung;Kim, Hyung-Shik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34
    • /
    • 1996
  • Contact-metamorphosed calc-silicate hornfels of the Hwanggangni formation adjacent to Daeyasan granite in Goesan are characterized by the mineral assemblages. tremolite-clinozoisite-alkali feldspar-calcite, diopside-grossular-vesuvianite, and wollastonite-diopside-phlogopite-grossular-vesuvianite, indicating low $X_{CO_2}$ condition during contact metamorphism. Two trends of fluid-rock interactions are recognized; combination of infiltration and buffering in the outer portion of the aureole and fluid-dominated behavior in the most part of the aureole. Modal abundance of diopside produced during metamorphism was measured in order to estimate fluid/rock ratios and permeabilities with the assumption that equivalent volume of fluids estimated from the fluid/rock ratios flow through the rock body. The calculated fluid/rock rations and permeabilities range from 0.6 to 9 and $10^{-19}$ to $10^{-17}$ meabilities in the calc-silicate hosted contact aureoles and expected values during progressive metamorphism by theories.

  • PDF

포항지역 지열수에 대한 지화학적 고찰

  • 김통권;이진수;이승구;송윤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1-103
    • /
    • 2004
  • To investigate the evidence for the influence of sea water on Pohang geothermal groundwater, the chemical data for geothermal groundwaters from which are pumped during 48 hours and other hot groundwaters, another groundwater on the well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nd to predict possible the secondary mineral which are easily to make the clogging, geochemical modeling was carried out using EQ3NR equilibrium solubility code. The results are that 1.4%~3.3%(bulk composition) of sea water were mixed with geothermal groundwater. From the well logging data, when the level of groundwater is drow down, the conductivity is increased in the geothermal groundwater, the existence of transition zone are recognized in the well. The predicted possible secondary minerals are Antigorite [Mg48Si24O85(OH)62], Chrysolite [Mg3Si2O5(OH)4] , Cristobalite, Dolomite, Talc, Tremolite. The recommended cooling temperature of best condition to minimize the production of secondary minerals is same as temperature of geothermal water pumped from the well.

  • PDF

국내산(國內産) 대리석(大理石)의 지질공학적(地質工學的) 특성(特性) (Engineering Geological Properties of Some Domestic Marbles)

  • 정영욱;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4호
    • /
    • pp.411-424
    • /
    • 1990
  • Mechanical, physical and petrographic properties of seventeen marble specimens collected from ten marble min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Studied marbles were mainly composed of calcite, dolomite, and various amounts of serpentine, tremolite, olivine, quartz and opaque minerals. Complete and sutured textures were dominant. Compressive strength measured normal to the bedding plane is larger almost two times than that measured parallel to the bedding plane. From the results of Shore hardness test on marbles, water content was an important factor to decrease Shore hardness values. Engineering geological properties, especially, compressive strength, Young's modulus, wear resistance and water absorption could be controlled by the presence of quartz, and the type of marble texture. Water absorption-porosity, compressive strength-Young's modulus, and impact strength index-Los Angeles abrasion couples show good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utility as commercial ston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arbles from the Banglim mine, Songbo mine, Kwangdeok mine and Bongjeong mine were superior to that of other studied marbles.

  • PDF

석면과 환경성 질환 (Asbestos and Environmental Disease)

  • 안종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38-541
    • /
    • 2009
  • Humans have a long history of asbestos use. There are reports from the Roman era, of asbestos victims among the slaves who worked in asbestos mines. The fact that asbestos can induce lung cancer and mesothelioma was verified epidemiologically in the 1960s. Asbestos related diseases are predominantly occupational in nature but can be caused by environmental exposure. Environmental mesothelioma is mainly associated with tremolite asbestos and this information comes from many countries including Turkey, Greece, Corsica, New Caledonia and Cyprus. In 1993, the first case of mesothelioma in Korea was reported in an asbestos textile worker. Recently, some asbestos disease victims who lived near an asbestos factory have their cases before the courts. A series of recent asbestos-related events in Korea, for example, the shocking revelation of asbestos containing talc in baby powders have caused the general public to become aware of the health risks of asbestos exposure. Asbestos related diseases are characterized by a long latency period, especially, mesothelioma which has no threshold of safety. Hence the best strategy for preventing asbestos related diseases is to decrease asbestos exposure levels to as low as possible.

약광물로서의 활용을 위한 활석에 대한 환경지화학적 연구 (Environmental Geochemical Study on Talc for the Application as Mineral Drug)

  • 이재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6호
    • /
    • pp.599-609
    • /
    • 1999
  • Talc durg has been used at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Kyung San University, and was analysed for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It consists mainly of talc with small amount of tremolite, dolomite and bursite, and its chemical compositions of MgO 31.65% and $SiO_2$ 61.0%, and cotain less inpurtities. Moreover, talc from the Dong Yang Talc mine is associated with calcite, gypsum and anhydrite, which belong to more soluble mineral drugs than talc, and contains Ca and Fe. These elements may give at least medical medical to talc durg as in the case of actinolite. Therfore, talc of high quality from the Dong Yang Tacl Mine may be used instead of imported expensive talc durg. Diagrams of log $a_{Mg^{2+}}$-pH and log $a_{Mg^{2+}}/a{\array{2\\H^+} $-log $a_{H_4SiO_4}$- may be used as basic data to predict and examine soluble contents of durg for medical experiments.

  • PDF

한국 포천 광상의 스카른 진화과정 및 철(-동)광화작용 (Skarn Evolution and Fe-(Cu) Mineralization at the Pocheon Deposit, Korea)

  • 고지수;최선규;김창성;김종욱;서지은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4호
    • /
    • pp.335-349
    • /
    • 2014
  • 선캄브리아기 경기육괴의 북서부에 위치한 포천 스카른 광상은 명성산 화강암과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류에 협재된 탄산염암의 접촉대를 중심으로 산출되며, N-S방향 전단대를 따라 배태되고 있다. 포천 스카른대 분포와 함께 광물학적 특성은 구조 규제와 암층 규제에 따라 유도되었다. 포천 스카른은 스카른 광물조합에 따라 백운암을 교대한 Na-Ca계열과 Mg계열 스카른 및 석회암을 교대한 Ca계열 스카른으로 구분된다. 철광화작용은 주로 Na-Ca계열 스카른대를 따라 배태되고 있으며, 후퇴 스카른 단계에 일부 동 광화작용이 중첩된다. Na-Ca계열 스카른은 주로 추휘석, 투휘석, 조장석, 석류석, 자철석, 매그헤마이트, 경석고, 인회석, 스핀의 공생관계를 보이며, 후퇴 스카른에서는 투각섬석, 금운모, 녹렴석, 견운모, 석고, 녹니석, 석영, 방해석, 황화광물로 구성된다. 한편 Mg계열 스카른은 주로 감람석과 투휘석의 단순한 광물조합을 보이며, 투휘석과 감람석은 투각섬석과 함께 소량 금운모, 사문석, 녹니석으로 교대된다. 반면에 Ca계열 스카른은 전진 스카른 단계에서 주로 단사휘석, 석류석, 규회석이 정출되며, 후퇴 스카른에서 녹렴석, 베수비아나이트, 각섬석, 흑운모, 녹니석, 자철석, 석영, 방해석, 황화광물이 수반된다. 전자현미분석 결과에 의하면 포천 스카른광물은 대부분 Na-Mg 성분이 부화되었으며, 높은 $Fe^{3+}/Fe^{2+}$비, $Mg^{2+}/Fe^{2+}$비, $Al^{3+}/Fe^{2+}$비의 조성 특징을 보인다. 즉 단사휘석은 추휘석과 투휘석 조성이 부화되어 있는 반면, 석류석은 상대적으로 그로슐라 조성이 부화된 경향을 보인다. 또한 각섬석은 투각섬석, 파가사이트, Mg-헤이스팅사이트로 조성변화를 보인다. 한편 전진 스카른 단계의 주요 광물조합은 약 0.5 kbar와 $X(CO_2)=0.10$ 조건에서 $400^{\circ}{\sim}500^{\circ}C$ 온도와 높은 산화 환경($fO_2=10^{-23}{\sim}10^{-26}$)을 지시하고 있다. 후퇴 스카른 단계에서는 물-암석반응이 증가됨에 따라 녹렴석, 베수비아나이트, 각섬석, 녹니석, 석영, 방해석은 $X(CO_2)=0.10$ 조건에서 $250^{\circ}{\sim}400^{\circ}C$ 온도 범위에서 정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