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ring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3초

잣나무 생장과 목질부내의 전질소,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 조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Growth Performance with Total Nitrogen, Carbon and Nitrogen Isotope Compositions in the Xylem of Pinus koraiensis)

  • 이위영;박응준;한상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53-358
    • /
    • 2010
  • 잣나무 목질부의 전질소 함량, 질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와 생장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목편을 채취, 목질부의 질소 함량, 질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를 측정하여 목편의 연륜 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목편의 연륜 폭과 ${\delta}^{13}C$ 및 전질소 함량과는 각각 p=0.003, p=0.024로 유의적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질소 함량과 ${\delta}^{13}C$값과도 정의 상관관계(p=0.038)가 있어 목질부의 $^{13}C$량이 높고 또한 전질소 함량이 높을수록 잣나무 생장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질부의 ${\delta}^{15}N$값과 C/N율이 낮을수록 연륜 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 가계간의 비교에서 생장이 우수한 가계일수록 그 목질부의 ${\delta}^{13}C$값이 큰 것으로 나타나 잣나무의 ${\delta}^{13}C$값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생장도 우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로 잣나무 목질부내의 ${\delta}^{13}C$값 및 전질소 함량은 생장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자로 추정된다.

Kretzschmaria quercicola sp. nov., an Undescribed Fungus from Living Oak in Mt. Daeryong, Korea

  • Yun, Ji Ho;Jo, Jong Won;Lee, Jin Heung;Han, Sang Kuk;Kim, Dae Ho;Lee, Jong Kyu
    • Mycobiology
    • /
    • 제44권2호
    • /
    • pp.112-116
    • /
    • 2016
  • We encountered an unfamiliar ascomycete fruiting body, fitting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Kretzschmaria, which features in a stipitate ascigerous stroma with carbonaceous interior and disintegrating perithecia. In this study, we report and characterize a new species of the decaying fungus. Compared to other species, one of the notable features of this specimen (TPML150908-046) is its stromatal size (up to 15 cm). Although TPML150908-046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K. milleri and K. sandvicensis, it differs sharply from both species in apical ring size (TPML150908-046, $6.5{\sim}10.5{\mu}m$; K. milleri, $11{\sim}16{\mu}m$) and ascospore width (TPML150908-046, $10.5{\sim}17{\mu}m$; K. sandvicensis, $8.5~11.5{\mu}m$). Phylogenetic trees based on ${\beta}$-tubulin, ITS, and RPB2 sequences showed that our collection clustered with K. sandvicensis, with the respective similarities for these sequences being 95.6%, 91.3%, and 97.7%, signifying it as another species. With these results, we report it as a new species, which we call Kretzschmaria quercicola sp. nov.

韓國의 森林構造에 따른 物質生産力에 관한 分析 - 年齡生長 分析에 의한 森林 樹木의 最高生産力期 및 最適伐採期 推定모델 - (Studies of the Forest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Korea -Models of Maximum Productivity and Optimum Cutting Time of the Forests by Annual Ring Growth analyses-)

  • Chang, Nam-Kee;Kim, Heui-Baek;Oh, In-Hye;Chang, Myung-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91-202
    • /
    • 1990
  • For the maximun yield of the forest trees in the forest management,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of the major forest trees was analysed in the four areas in South Korea.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and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ere estimated. The growth curve of annual ring area showed sigmoid like that of other organisms. Only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the areas between Fraxinus rhynchophylla and Pinus koraiensis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forest trees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Larix kaempferi and Carpinus laxiflor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mongolic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serrat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and Abies holophylla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Among eight forest trees, the time to maximum productivity (tm) of Larix kaempferi was the earliest (21.4 year), and Abies holophylla was the latest (91.9 year).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tc) of L. kaempferi was the earliest (29.4 year) and that of A, holophylla was the latest (122.2 year) of all communities.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as 1.33 times as late as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If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as the forest tree for wood is regarded, L. kaempferi and P. densiflora are thought to be more economical than A. holophylla and P. koraiensis.

  • PDF

산업용 브리지 망을 위한 위치 기반의 신속한 망 장애 복구 절차의 성능분석 (Performance of Position Based Fast Fault Recovery Protocol for Industrial Bridged Ring Networks)

  • 서주상;윤종호;박홍순;김진욱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6권3호
    • /
    • pp.259-269
    • /
    • 2020
  • RSTP는 링크 상태에 반응하는 제안-동의 절차를 통해 포트의 상태 천이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노드 수 40개로 구성된 링 망에서 장애 복구 시간을 400 ms 이하로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본문에서는 기존 RSTP가 장애 위치 및 종류에 따라 이웃 브리지 간에 제안-동의 절차가 대체 포트를 갖는 브리지에서 번복되는 현상에 유의하여, 장애 발생 시 오직 한 번의 제안-동의절차가 수행되게 함으로써 장애 복구 시간을 최대 1/4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위치 기반의 장애 복구 절차를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절차는 링 형 망에서 각 브리지가 루트 브리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즉 홉 수를 사전에 인지하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루트 브리지의 장애 또는 링크 장애 발생 시 이를 감지한 이웃 브리지에 의해 개시된 제안-동의 절차가 양 방향의 링에서 전파될 때 장애 감지 브리지를 기준으로 항상 링의 중간 브리지에서 제안-동의 절차가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망 복구 절차가 가능하다. 수식 분석 및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절차가 기존 400ms의 RSTP에 비하여 1/4인 100 ms 이내의 복구 시간으로 단축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구 조선총독부 청사 (구 중앙청) 기초말뚝 통나무의 수종과 재질 (Species and Macroscopic Analysis of Log Piles Used for the ex-Government General of Chosun Building)

  • 박원규;김요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8-52
    • /
    • 2000
  • 구 조선총독부 청사(구 중앙청 건물)는 1916 년에 착공되었으며 건물기초를 다지기 위해 백두산 압록강변에서 벌채한 낙엽송(잎갈나무) 말뚝 약 만개를 박았다는 기록이 있다. 1996 년에 철거된 중앙청 자리에 경복궁 흥례문을 중건하는 공사 중 발견된 구 조선총독부 청사 말뚝 100 여 개를 채집하여 그 중 15 개에 대한 수종과 나이테를 분석하였다. 말뚝의 직경은 평균 27cm이었다. 목재조직관찰을 위하여 프레파라아트를 만들어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모두 잎갈나무임이 확인되었다. 나이테로 관찰한 수령은 평균적으로 103년이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이 151 년생이었다. 나이테 너비를 측정하여 151년 나이테 그래프(연륜연대기)를 작성하여 중국쪽 장백산(백두산) 잎갈나무 나이테 그래프(1602-1994)와 유사성올 비교하였으나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총독부청사 말뚝 채취지역이 중국측과 고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백두산 압록강변에 자라고 있는 잎갈나무에 대해 나이테 자료를 얻을 수 있다면 화산활동과 같은 과거 백두산지역의 역사와 고환경을 나이테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 PDF

10년 간격 연륜의 위글매치를 이용한 영흥도선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Radiocarbon Dating of a Wooden Board from Yeongheung-do Shipwreck Using Wiggle Matching of Decennial Tree-Ring Samples)

  • 남태광;김택준;문환석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9-285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천 옹진군 영흥도에서 발굴된 영흥도선 목부재 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통해 고선박의 연대를 규명하는 것이다. 중앙저판에서 10년 간격으로 채취된 5개의 연륜 블록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를 위글매치한 결과, 최외각 연륜의 ${\pm}2{\sigma}$ 연대(95.4% 신뢰구간)에서 A.D. 710~730년 또는 A.D. 750~774년으로 산출되어 이 고선박이 8세기 초반 또는 중반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대는 선박의 구조와 도기의 양식으로 추론된 고고학적 편년과 일치되는 결과이다.

Reconstruction of Vegetation During $9^{th}$ Century in Southern Korea: Anatomical and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Waterlogged Woods Excavated at Cheonghea-jin Fort

  • Han, Sang-Hyo;Park, Won-Kyu;Kim, Yo-Jung;Jung, Suk-Bae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2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woods that were excavated at Jangdo Island. The Jangdo site is located in a small island some 180 meters away from the main island of Wando, Jeollanam-do in southern Korea. This site is known as Cheong-Hea Jin fort for the marine King Jang Bogo during the early 9$^{th}$ century. Total of 101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ree groups; small-size piles, log fences (Mok-check) and logs from a well. The species of the group of piles consisted of Quercus spp. (43%), Pinus densiflora (29%), Pinus koraiensis (5%), Alnus japonica (3%), Fraxinus spp. (3%), Styrax obassia (3%), Juglans spp. (2%), Zelkova serrata (2%), Platycarya strobilacea (2%), Celtis spp. (2%), Torreya nucifera (2%), Quercus myrsinaefolia (2%), and Cinnamomum spp. (2%). The species of Mok-check and logs from the well were identified as all Pinus densiflora. The species composition indicated that the climate around A. D. 9th-10th century in southern Korea was similar to the present.. The wooden fences were also examined for tree-ring analysis. The ages of woods were 50∼60 years. We made two site chronologies. The chronologies indicated that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fences were repaired frequently. The results could not give the absolute dates due to lack of reference chronologies in this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