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ring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7초

남(南)애리조나산(産) 침엽수류(類) 연륜연대기(年輪年代記)의 표준화(標準化), 시계열(時系列) 및 반응함수(反應函數) 분석(分析) (Standardization, Time Series and Response Function Analyses of Tree-Ring Chronologies from Southern Arizona Conifers)

  • 박원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31-42
    • /
    • 1992
  • 최근에 서로 다른 생장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남(南)애리조나산(産) 침엽수 4수종(樹種)(Pseudotsuga menziesii, Pinus ponderosa, Pinus strobiformis, Abies concolor)의 연륜폭 연대기(年代記)로 부터 반응함수를 구하기 위하여, 표준화 방법을 면밀히 검토하였으며 시계열모델에 의한 사전(事前) 여과화(濾過化)(prewhitening)로 전생장량(前生長量)을 배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인지도 조사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지수(指數) 또는 질선(直線)방정식에 의한 표준화가 대부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으나 최근생장이 급격히 감소된 경우는 스플라인함수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계절(季節)모델이 적용된 Pinus ponderosa의 경우를 제외하곤 사전여과화 전후(前後)의 반응함수간(間)에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te Environmental Factors and Tree Ring Growth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in Jeonnam Province)

  • 박석곤;유한춘;오찬진;최우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77-784
    • /
    • 2015
  •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출현종의 개체수 및 종다양성 등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성을 밝히고, 편백의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편백림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종다양성지수와 CEC 유효인산 치환성 $K^+$사이에서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또한, 출현종수와 CEC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Mg^{2+}$ 사이에서도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편백의 연륜생장량과 입지환경요인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연륜생장량은 유효인산, CEC, 치환성 $K^+$, 전기전도도 등 토양의 보비력 및 비옥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편백 연륜생장량의 설명변수는 치환성 $K^+$과 유기물함량, 토양산도며, 회귀모형의 설명력($R^2$)은 74.4%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 모형에서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치환성 $K^+$과 유기물함량이 높을수록 늘어났지만, 토양산도는 낮을수록 줄어들었다. 따라서,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유효인산 CEC 치환성 $K^+$ 전기전도도 등의 토양지력이 유효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편백림의 토양지력은 편백의 하층식생으로부터의 낙엽공급이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잣나무의 재질(材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I 보(報)) - 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 - (Studies on Wood Quality of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III) - On Annual Ring Width and Summer Wood Percentage -)

  • 이원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44
    • /
    • 1974
  • 잣나무조림목(造林木)의 연륜구성(年輪構成)(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에 관(關)하여 조사(調査)한바 연륜폭(年輪幅)은 변재부(邊材部)에서 좁고 심재부(心材部)에서 넓으나 추재율(秋材率)은 그 분포(分布)가 반대(反對)이며 또한 연륜폭(年輪幅)의 크기는 수간중(樹幹中)에서 수관부(樹冠部)>지하부(枝下部)>지제부(地際部)의 경향(傾向)을 보이고 있는데 반(反)하여 추재율(秋材率)은 지제부(地際部)>지하부(枝下部)>수관부(樹冠部)의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고 또한 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은 젊은 영계(齡階)에서는 그 변이(變異)가 심하여 재질(材質)이 비교적(比較的) 불안정(不安定)하나 수심(髓心)으로부터 약(約) 12-15년륜이후(年輪以後)의 재부(材部)에서는 그 변이(變異)가 적어 재질(材質)이 안정(安定)되어 있다. 한편 변재부(邊材部)에서의 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은 지상고(地上高)의 증가(增加)에 따라 거의 일정불변(一定不變)한 안정(安定)된 영역(領域)과 증감(增減)되는 두 영역(領域)으로 구분(區分)되며 그 한계(限界)가 되는 지상고(地上高)는 약(約) 7m이다. 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사이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

  • PDF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특성 (Tre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Parl. after Replanting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 김도균;박원규;서정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02
  • 본 연구는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식재 이후 연륜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식재환경과 기후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임해매립지의 곰솔 식재 이후에 수목의 이식과 가뭄에 의하여 연륜생장이 급감소하였다. 수목이식에 의한 연륜생장의 급감소는 모든 지반들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뭄에 의한 연륜생장의 감소는 토양경도가 높은 식재지반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성토지역에서는 감소 현상이 크지 않았다. 이식에 의한 연륜생장 급감소 이후에 토양경도가 높은 지반들에서는 생장회복이 저조하였으나 성토지역에서는 빠르게 생장이 회복되었다.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와 상대적 변이계수는 토양경도가 높은 지반들이 성토지반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환경이 불량한 지반일수록 외부적 환경변화에 대하여 불안정적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곰솔의 연륜생장은 이식과 가뭄에 대하여 성토지반에서는 수목 자체적으로도 양호하게 생장을 하지만 토양경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따라서. 외부적 환경변화에도 수목자체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식재 및 유지관리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동(永同) 영국사(寧園寺) 대웅전(大雄殿) 출토(出土) 탄화목재(炭化木材)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Treatment of Charred-Woods Excavated under Daewoongjeon Hall of Youngguksa Temple)

  • 손병화;윤두형;김요정;박원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73-84
    • /
    • 2006
  • 충북 영동 영국사 대웅전 하부 토양층에서 출토된 탄화 목재의 현장 보존처리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고자, 6가지 처리법을 실험한 결과 PEG#400 10%를 4일간 1일 1회씩 점적(dropping)한 후 PEG#4000 10%에서 40%까지 단계적으로 점적하는 방법이 좋은 치수안정성을 나타냈으며, 육안적으로 관찰했을 때도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였다. 이 방법을 건물 하부에서 출토된 주두로 보이는 탄화 건축부재 2점에 대해 현장에서 경화처리를 실시하였다. 현장에서의 시간 제약상 PEG#400 10%로 점적한 후 바로 PEG#4000 80%를 $85^{\circ}C$로 가열하여 다시 점적하였다. 경화 처리된 주두는 실험실로 운반하여 PEG#4000 80%($85^{\circ}C$)로 재처리한 결과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보여주었다.

  • PDF

삼나무, 편백의 연륜과 기후인자 분석을 통한 강원 동해안 지역 식재가능성 검토 (A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Planting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on the East Sea Area in Gangwon-Province by Tree Ring Dating and Climatic Factor Analysis)

  • 손호준;김영설;김남영;이학봉;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36-44
    • /
    • 2014
  • We measured radial growth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growing in Gangneung, Boseong, Yangsan and Ulleung-do, respectively and analyzed its relationship wit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 found from the result of tree ring counting that forest stands of Cryptomeria japonica in Gangneung and Boseong was 40 to 50 years old and 50 to 70 years old in Yangsan and Ulleung-do.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mean temperature in Gangneung was found to be $12^{\circ}C$ to $13^{\circ}C$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Boseong and Yangsan 40 to 50 years ago. While the result of the radial growth measured from Cryptomeria japonica in Gangneung showed a slightly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other areas, Chamaecyparis obtusa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In the case of Cryptomeria japonica,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adial growth and climate related variables including both mean temperature and mean precipitation existed in Ulleung.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adial growth and mean temperature for Chamaecyparis obtusa in Yangsan,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Gangneung and Yangsan.

수도권 일대 신갈나무 숲의 토양이온, 식물체 영양염류 함량 및 생장의 비교 (Comparison of Soil Ion, Plant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i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Seoul and Its Vicinity)

  • 김준호;임병선;김종욱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1999
  • 토양산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토양의 양이온결핍과 신갈나무의 당년지 및 잎의 영양염류 함량 변화 및 연륜생장의 변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남산을 기점으로 동쪽으로 25 km 떨어진 경기도 남양주군 예봉산으로부터 185 km 떨어진 강원도 명주군 매봉산까지 신갈나무 숲 14개 지소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토양 Ca/sup 2+/, Mg/sup 2+/, Na/sup +/ 및 양이온 유효치환능(ECEC)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 pH도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당년지의 Ca과 Mg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당년지의 K및 Na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대체로 감소하였다. 신갈나무 잎의 Ca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당년지의 K 및 Mg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당년지의 생장은 경기도 지방의 것이 강원도 지방의 것보다 작았다. 대기오염지역으로서 남산과 대조지역으로서 예봉산의 연륜생장을 조사하였는데 평균연륜폭은 197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남산의 것이 예봉산의 것에 비하여 좁았다.

  • PDF

연도별 생장도일의 변화가 신갈나무의 잠재분포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early Changes in Growing Degree Days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and Growth of Quercus mongolica in Korea)

  • 임종환;박고은;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9-119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 활엽수종 중의 하나인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연도별 생장도일의 변화가 잠재분포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신갈나무 분포 지역의 기후특성을 반영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7개의 기후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에 포함된 시군에서 수집된 일평균기온 자료를 기반으로 1951년부터 2010년까지 60년 동안의 연도별 생장도일과 기온효과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신갈나무의 잠재분포 범위와 생장의 변화 추이를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적용하여 2011년부터 2100년까지 연도별 생장도일과 온도효과지수를 산출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신갈나무의 잠재분포 범위와 생장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신갈나무가 현재 분포하고 있는 지역의 생장도일을 연도별로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위도와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갈나무에 적합한 생육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지속적인 기온의 상승으로 인해 2050년 이후에는 잠재분포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장에도 큰 지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이테 분석법을 이용한 월악산 소나무 송진채취 시기 및 상처회복능력 조사 (Dating of Resin Collection from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t Mt. Worak and Investigation on the Tree' s Healing Ability using the Tree-ring Analysis Method)

  • 이요섭;서정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242-250
    • /
    • 2022
  • 나이테 분석법을 이용하여 과거 월악산에서 송진채취가 수행된 연도 및 계절을 밝혀 송진채취에 대한 정확한 역사를 밝히고, 송진채취로 생긴 상처의 자연 회복능력을 조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송진채취 시기는 송진채취 상처부에서 획득된 나이테와 반대쪽 정상부에서 획득한 나이테로 작성된 연륜폭연대기를 상호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송진채취 상처를 가지고 있는 소나무 13본을 선발하였다. 상처회복능력 조사를 위해 선발된 13본 중 3본은 고사목이며, 송진채취 상처 피복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디스크 형태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표준연륜폭연대기와 상처부 나이테를 이용하여 작성된 개체별 연륜폭연대기들을 비교하고, 최외곽 나이테에서 관찰되는 목재세포를 실체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송진채취는 1962년 봄부터 1975년 가을 사이에 수행되었다. 송진채취에 의한 상처는 42년 동안 접선방향으로 평균 15.8 cm 피복되었으며, 매년 평균 0.38 cm가 피복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록되지 않은 송진채취에 관한 정확한 시대정보와 소나무의 상처치유 능력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