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ring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6초

모바일 환경에서 블루투스 스캐터넷 형성 알고리즘 분석 (Analysis of Bluethooth Scatternet Formation Algorithm over Mobile Networks)

  • 이대봉;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01-207
    • /
    • 2003
  •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기술은 기기들이 한의 중심기기에 7개의 보조기기가 연결된 소형 네트워크를 피코넷 구성하게 하는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스캐터넷은 피코넷과 피코넷 간의 통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캐터넷의 형태로는 트리와 링 형태가 있다. 그리고 링 형태가 모바일 환경에 더욱 적합하다고 한다. 본 노문은 트리와 링 구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형태가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성능 측정은 단말기들이 빈번하게 추가 삭제되는 모바일 환경에서 스캐터넷 형성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스캐터넷 형성시간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노드 수의 증가에 따라 트리 구조보다는 링 구조가 스캐터넷 형성 시간이 빠르고 시간의 차이의 폭이 넓어졌다.

예산 예림지구 출토 목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Identification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for Coffin Woods Excavated at Yerim Site in Yesan, Chungnam, Korea)

  • 손병화;이인동;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6-1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pecies and tree-ring dates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Yerim site in Yesan, Chungnam, Korea. We sampled 12 pieces of woods from two coffins. The species of all coffin woods were identified as red pine group, most likely, $Pinus$ $densiflora$. The last rings of both coffins were dated A.D. 1557 and A.D. 1601, respectively. The tree-ring dates indicated that the coffins were made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y.

  • PDF

지형적 특성에 따른 월악산 신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 Growths of Mongolian Oaks with Variou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Mt. Worak, Korea)

  • 서정욱;박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6-45
    • /
    • 2010
  •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factors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total precipitation) and tree-ring growths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Mongolian oak) with different topographic sites in Mt. Worak, more than 10 trees were selected from each of seven stands. Two cores from each tree were measured for ring width. After crossdating, each ring-width series was double standardized by fitting first a negative exponential or straight regression line and secondly a 60-year cubic spline. Seven stand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using cluster analysis for tree-ring index patterns. Cluster I (four stands) was located in higher elevation (550-812 m) with aspects of east, west and northwest, and cluster II (three stands) was located in rather lower election (330-628 m) with aspects of north and northwest. The aspects of two clus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sponse-func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sponse to March precipitation for both clusters. It indicates that moisture supply during early spring season is important to radial growth because the cambial growths of ring-porous species, such as Mongolian oak, start before leaf growth. Cluster II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precipitation of middle and late growing season, too.

레지스토그래피를 이용한 수령조사 가능성 검토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Investigating Tree Ages Using Resistograph)

  • Oh, Jung-ae;Seo, Jeong-Wook;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90-100
    • /
    • 2019
  • 본 연구는 수목의 수령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레지스토그래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수종별로 가장 적합한 삽입속도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회전속도는 1,500 r/min로 고정하였다. 수종은 낙엽송, 더글라스 퍼, 잣나무, 전나무, 느티나무이다. 실험결과 수종에 따른 적합한 삽입속도는 느티나무 75 cm/min, 낙엽송과 더글라스 퍼 100 cm/min, 전나무 150 cm/min, 잣나무 175 cm/min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연륜폭이 1 mm이하일 경우 연륜경계 확인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륜폭이 1 mm이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륜폭측정기와 레지스토그래피의 연륜폭그래프는 매우 일치하였다. 향후 연륜폭이 1mm 이하인 미세연륜 확인이 가능한 레지스토그래피가 개발된다면 레지스토그래피가 수령조사를 위해 전통적으로 활용되는 생장편의 연륜관찰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지스토그래피의 연륜폭그래프는 생장량 조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소장 전통 목가구의 연륜연대 및 수종 분석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of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현채;이광희;황근연;이해주;김희채;김성식;손병화;남태광;김요정;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4-94
    • /
    • 2012
  • We present the species and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Collection of Korea National Arboretum. Seven of thirteen were successfully dated. Chest with a flap door (84-55-1) was dated A. D. 1623. Others dated were cabinet (83-41-1: A. D. 1759), Chest with a turnover door (83-39-1; A. D. 1801),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A. D. 1843), Rice chest (82-27-3; A. D. 1849),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3-40-2; A. D. 1877), Chest with a flap door (84-50; A. D. 1918). Most of existing cabinets were made in 1800s. The 84-55-1 chest was one of the earliest pieces of furniture in the collections of Korea museums. The furniture is usually composed one species. The major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Bedside cabinet (83-41-1) and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were made from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Becasue they were dated by the tree-ring chronology of Mt. Bekdu, the timber of their boards could be from the area of Mt. Bekdu.

  • PDF

남방진동지수, 나이테 자료에 대한 허스트 기억 (Hurst's memory for SOI and tree-ring series)

  • 김병식;김형수;서병하;윤강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2-796
    • /
    • 2005
  • The methods of times series analysis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tools for assisting in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Especially, After more than 40 years the so-called Hurst effect remains an open problem in stochastic hydrology. Until now, its existence has been explained fly R/S analysis that roots in early work of the British hydrologist H.E. Hurst(1951). Today, the Hurst analysis is mostly used for the hydrological studies for memory and characteristics of time series and many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analysis. So, there are many different techniques for the estimation of the Hurst exponent(H). However, the techniques can produc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persistence of a time series each other. We found that DFA is the most appropriate technique for the Hurst exponent estimation for both the shot term memory and long term memory. We analyze the SOI(Southern Oscillations Index) and 6 tree-ring series for USA sites by means of DFA and the BDS statistic is used for nonlinearity test of the series.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SOI series is nonlinear time series which has a long term memory of H=0.92. Contrary to earlier work of Rao(1999), all the tree- ring series are not random from our analysis. A certain tree ring series show a long term memory of H=0.97 and nonlinear property.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SOI and tree-ring series may show long memory and nonlinearity.

  • PDF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약장의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for Korean Wood Furniture: A Case Study on Medicine Cabinets)

  • 박원규;김상규;김요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57-64
    • /
    • 2007
  • 연륜연대측정법을 사용하여 전통약장 2점에 대해 제작연대를 밝혀 편년을 정립하고 시대 변천에 따른 약장의 형태적 차이점을 논하고자 하였다. 연륜연대측정법은 목재 내의 연륜을 측정하여 1년의 오차도 없는 정확한 절대연도를 부여함으로써 제작연대를 알아내는 것이다. 경기도산으로 달려진 경기도박물관소장 약장 1점과 덕성여대박물관소장 약장 1점에 대한 연륜분석 결과, 마지막 연륜의 연도가 1884년과 1874년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시기는 거의 같게 나타났으나 형태, 구조, 목재 재질 등의 상이함이 컸다. 이는 시대적인 차이가 아니라 제작자와 사용자의 취향, 안목, 재력 등이 제작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경기도 약장으로 분류된 것이지만 연륜패턴 일치도 분석결과 목재의 산지는 강원도 설악산과 강릉지역으로 나타나 경기 지방의 가구제작에 강원도 목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 화계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en Elements in Daewoong-jeon of Hwagye-temple, Seoul, Korea)

  • 이광희;박창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26-33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울 화계사 대웅전의 목부재에 대한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정확한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웅전 목부재(27점)의 수종은 대부분 소나무속 중 경송류로 식별되었고, 대보 1점만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 채취하였으며, TS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크로스데이팅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보와 기둥과 같은 구조재 20점들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839년에서 1870년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수피가 존재하는 5점의 벌채연도는 1869년과 1870년으로 나타내어, 2012년 실측조사에서 종도리 복장물에서 확인된 중건기록(1870년)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경 조령 주흘관(제 1관문)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the Wooden Elements Used in Juheulgwan of Joryeong (Gate No.1), Mungyeong, Korea)

  • LEE, Kwang Hee;PARK, Chang Hyun;KIM, Soo 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550-5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문경 조령 주흘관(제 1관문) 목부재에 대해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주흘관 목부재(84점)의 수종은 소나무류 76점, 잣나무류 5점, 전나무속 3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TSAP프로그램으로 크로스데이팅을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소나무류 목부재 59점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708년 여름-1709년 늦가을, 1792년 여름-1794년 초봄, 1838년 늦가을-1840년 초봄, 1867년과 1872년 초봄-늦가을로 총 4개의 벌채시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벌채시기들은 조선왕족실록, 주흘관중수기, 주흘관 성벽 각기의 수리기록과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일부 부재들은 수리기록과 벌채시기간의 약 10년 정도 차이가 나타나 당시 벌채한 목재를 저장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도 서히말리아산 블루파인(Pinus wallichiana)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 (Climate and Growth Relationship in Blue Pine (Pinus wallichiana) from the Western Himalaya, India)

  • ;;박원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2호
    • /
    • pp.95-102
    • /
    • 1997
  • Ring width chronologies of blue pine (pinus wallichiana) from two mesic sites, Kanasar(2, 400 m) and Gangotri(3, 000 m), in the western Himalayan region. India were developed to understand tree growth-climate relationship and its applicability in proxy climate studies. The resoponse function analyses of the two chronologies show that the site cond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the effect of climatic variables on tree growth. Winter temperature, prior to the growth year, has been found to play positive influence on blue pine growth at both sites. Summer temperature also has very similar response except for June and August. June temperature has negative influence at the lower in contrary to at the higher site. Low August temperature favors tree growth to precipitation has been found to vary which could be due to different precipitation regime at the two sites. Winter precipitation is important for tree growth at the higher, whereas summer at the lower si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tree ring materials of blue pine from the temperate Himalayan regions could be used to develop chronologies for the reconstruction of seasonal climatic vari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