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fall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8초

기계학습 기반의 낙상 검출 (Machine Learning based Fall Detection)

  • 김인경;김대희;허성실;이재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7-550
    • /
    • 2020
  •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라 노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노인 낙상을 발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낙상 사고의 경우 낙상을 일으킨 원인보다 낙상이 제때 감지되지 않아 발생하는 이후의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낙상이 발생했을 때, 바로 낙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다양한 낙상 검출을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그 중 착용이 쉽고 원격지에서 관찰 및 관리가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한 낙상 검출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 러닝 모델들을 사용해서 낙상 검출 성능 비교 및 적절한 모델을 제안한다. 기계 학습 기반의 모델인 결정 트리(Decision Tree), 랜덤 포래스트(Random Forest),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실제 측정된 데이터에 낙상 검출 학습 능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모델의 입력 값에 적용한 데이터 분할, 전처리 및 특징 추출 방법을 통해서 효율적인 낙상 검출을 위한 기계학습 관점에서의 타당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요소 엽면시비에 따른 온주밀감의 질소회수율 (Nitrogen Recovery of Foliar Applied Urea by Satsuma Mandarins)

  • 강영길;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2-139
    • /
    • 1999
  • 요소 엽면시비가 온주밀감 잎의 질소함량 수체 및 토양의 질소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8년 7년생 흥진조생에 질소 기준량 표충시비($124kg\;ha^{-1}yr^{-1}$, 나무당 86 g). 기준량의 50% 엽면시비($62kg\;ha^{-1}yr^{-1}$), 나무당 43 g), 기준량의 25% 엽면시비($31kg\;ha^{-1}yr^{-1}$, 나무당 22 g)처리를 두고 봄 여름, 가을 비료로 56(2반복 $^{15}N$ 표지 요소, 5반복 일반 요소), 11((2반복 $^{15}N$ 표지 요소, 5반복 일반 요소). 33%(7반복 모두 일반 요소) 비율로 분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나무(본)당 과실수량 및 품질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당년 봄순의 엽신의 전질소함량은 9월 상순까지는 엽면시비구에서 많았으나 11월 16일(수확기)이후에는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다. 수체(樹體)에 의한 질소회수율은 어느 수체 부위에서나 25% 엽면시비구에서 가장 높았고, 50% 엽면시비구에서 다음으로 높았다. 수체 전체의 질소회수율은 25, 50% 엽면시비구, 표층시비구에서 각각 29.2, 17.7, 8.0%이었다. 봄과 여름에 시용된 질소의 토심 0~40 cm에서의 잔류율은 25, 50% 엽면시비구 표층시비구에서 각각 50.3, 45.6, 51.8%이었다. 전체(수체, 낙엽, 잡초, 토양) 회수율은 25, 50% 엽면시비구, 표층시비구에서 각각 81.8, 65.1, 60.6%이었다.

  • PDF

ETA를 활용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떨어짐 사고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Unsafe Acts and Fall Accident of Workers Using ETA)

  • 정은빈;최재욱;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8-38
    • /
    • 2020
  • 최근 건설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로 인해 고소작업이 증가하며 떨어짐 사고(이하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이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지며, 불안전한 행동 예측 및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사고의 관계를 확률로 제시하여 불안전한 행동의 개선 효과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확률(이하 사고 확률)을 산출하였다. 사건수 분석 기법(Event Tree Analysis; ETA)을 활용하여 불안전한 행동의 조합에 따른 최종 사고 확률과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불안전한 행동별 사고 확률은 음주 후 작업 수행(95.41%)이 가장 높았고, 장비 및 기계 활용(65.70%)이 가장 낮았다. 불안전한 행동의 조합에 따른 사고 확률은 불안전한 행동을 모두 수행한 경우(13.23%)가 가장 높았고, 불안전한 행동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0.00%)가 가장 낮았다.

동백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의 생활사, 발생소장 및 천적의 종류 (Life History, Seasonal Occurrence and Natural Enemies of Caloptilia theivora (Lepidoptera: Gracillariidae) at Tea Tree Plantation)

  • 이승찬;김상수;김도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33
    • /
    • 1995
  • 우리나라 주요 녹차재배지에 발생하는 동백가는나방(차굴나방 전가칭. Caloptilia theivora (Walshingham))의 생활사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백가는나방은 야외 사육상 조건에서 년 6세대 경과하였는데, 난에서 우화까지의 평균기간은 봄.가을에는 32.1~38.6일, 여름에는 24.8~32.7일이었으며, 성충수명은 봄.가을에 8.4~14.5일, 여름에는 6.3~8.6일이었고 산란수는 55~71개였다. 유충의 연중 발생소장을 보면, 1992~1993년에는 5월 중순에 발생 peak를 보이기 시작하여 3~4회의 peak가 나타났으나 1994년에는 발생량이 감소하여 초기에는 뚜렷한 발생 peak가 나타나지 않다가 9월 하순~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잎에서 용태로 월동하였다. 동백가는나방의 유증기생봉으로는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Sympiesis ringoniellae Kamijo, S. dolichogaster Ashmead와 Elasmus sp.등 4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S. dolichogaster가 우점종이다.

  • PDF

미국흰불나방(Hyphanria cunea)에 대한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against Fall Webworm, Hyphanria cunea (Lepidoptera: Arctiidae))

  • 박형순;김형환;정헌관;조윤진;전흥용;장한익;김동수;추호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3-200
    • /
    • 2004
  •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을 이용하여 미국흰불나방 (Hyphanria cunea)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와 포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병원성은 미국흰불나방의 령기에 따라 병원성의 차이가 있어 2령충과 $3\~4$령 혼재 처리에서는 미국흰불나방 유충 당 20마리 이상 선충 처리에서는 $100\%$치사하였으나, 5령충에서는 80마리 선충 접종 시에도 처리 3일 후 $34\%$의 치사율을 보였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접종농도가 높을수록 미국흰불나방의 치사율은 증가하였다. Pot 실험에서 수종 (뽕나무와 버즘나무)간이나 선충 농도간에 미국횐불나방 유충에 대한 치사율은 차이가 없어 $70\%$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상수원수 및 정수처리공정별 가시아메바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Acanthamoeba spp. in Raw Water and Water Treatment Process)

  • 정은영;정미은;박홍기;정종문;노재순;유평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21-1127
    • /
    • 2008
  • The free-living amoeba and Acanthamoeba sp. are widely distributed in fresh water, soil, air and dust in the world. We studied distribution of amoeba from low Nakdong River(Mulgum and Maeri) and removal efficiency in water treatment process of Busan metropolitan city. During this investigation, water quality showed pH $7.4{\sim}9.6({\pm}1.1)$, water temperature $2.0{\sim}29.0({\pm}17)^{\circ}C$, turbidity $4.8{\sim}27.4({\pm}11.0)$ NTU, chlorophyll-a $10.3{\sim}109.0({\pm}44.3)\;mg/m^{3}$, BOD $1.7\sim4.9({\pm}2.6)$ mg/L, COD $3.1\sim-6.9({\pm}5.0)$ mg/L and total coliform $17\sim920({\pm}200.5)$ MPN/100 mL. The free-living amoeba were detected highly than Acanthamoeba sp., 11 out of 22 in raw water samples were positive (50%) for Acanthamoeba sp. from February 2005 to December 2005.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ree-living amoeba and Acanthamoeba sp. in raw water were mainly distributed through the spring to the early fall. When tree-living amoeba and Acanthamoeba sp. were passed through the water treatment of pilot-plant, approximately 80% was sure to be removed through pre-ozonation, sedimentation, send filtration. 100% was removed after post-ozonation process. All of the isolated amoebas from Nakdong River were Acanthamoeba sp. AC311 18S ribosomal RNA gene with 98%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대기의 오존에 의한 스트로브 잔나무 잎의 가스교환과 아스코르브산, 글루타치온의 농도 변화

  • 이웅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397-408
    • /
    • 1993
  • 대기의 오존농도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스트로브 잣나무의 가스교환과 아스코르브산, 글루타치온의 농도변화를 1988년 6월부터 시작하여 10개월간 측정하였다. 오존에 의해 가시적 피래를 입은 나무의 당년잎의 건중량과 길이는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 의해 각각 60~75%와 45~60% 작았다. 순광합성량과 잎의 전도율은 전체적으로 가스교환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늦은 9월까지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증산작용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당년잎의 아스코르브산과 글루타치온 농도는 여름, 가을 동안 계속 증가하여 겨울에 최고치를 나타내다가 봄에 감소하기 시작했다. 아스코르브산 농도는 4월에 감소하기 시작할 때 까지 일년 내내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예민한 나무와 저항성이 있는 나무사이의 아스코르브산 농도차이는 겨울동안보다 (8~19%) 여름에 (25~30%)) 훨씬 컸다. 글루타치온의 농도는 에민한 나무와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중부지방 자생 비목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ve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Central Korea)

  • 이동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5-182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ck shelling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Linedra erythrocarpa where are Jeondeung temple and Jugsu temple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was 344.4ha and the total number of Linedra erythrocarpa was 3,224. The total number of femle Linedra erythrocarpa was625(22.2%) except the seedlings under 2cm of DBH(Diameter breast of height). For the estimation of tree age by counting of tree ring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79X+9.47($R^2$=0.83, DBH=cm). The soil acidity of stands studied was $pH4.6{\sim}pH5.8$. And the soil acidity of Seoul was $pH4.2{\sim}pH4.5$ So for the Planting Linedra erythrocarpa in Seoul area, the soil acidity of planting area should be changed to $pH4.6{\sim}pH5.8$. The flower size of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flowers per flowering bud of male and female were 13.4, 11.2, respectively. The flower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1 days from May 2 to May 22. And The leaf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03 days from April 7 to October 27. And the fall-foliage color continuing period was 10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7. The fruit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61 days from September 26 to November 26.

  • PDF

해안 환경림 조성용 식물개발을 위한 위성류의 증식과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ag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amarix chinensis for Development of Plant Using in Coast Environmental Forests)

  • 박종민;김용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79-90
    • /
    • 2006
  • Tamarix chinenis blooms twice a you and its flowers, branches and leaves make the adjustment of tree shape. Propagation method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 chinensis were studied in order to ascertain its potential use as one of vegetation resources for coast forestation and landscaping.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1 or 2 you old hard wood cuttings showed higher rooting ratio than greenwood or semi hard wood cuttings. One to one mixture between vermiculite and pearlite appeared to be the best for bed soil, and sea sand and silt(loess) mixture was the next. Sea sand and granitic soil followed after. In terms of seasonal differences, spring cuttings showed the best rooting ratio, root number, and root length. Fall cuttings followed after spring cutting, and summer cuttings showed worst results regarding rooting ratio, root number, and root length. The best rooting promotion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were observed with sea sand bed soi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wth regulators in terms of rooting and shoot growth. Low concentration below 100 ppm of growth regulators was enough for rooting promotion effect. In general, the number and mean length of roots and shoots were showed the excellent records in the sites with high rooting ratio. The study result strongly showed that T. chinensis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tree for coast forestation and landscaping because of its easy cutting propagation and rapid growth on saline lands.

Production of Mass and Nutrient Content of Decaying Boles in Mature Deciduous Fores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Korea

  • You, Young-Han;Kim, Joon-Ho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127-131
    • /
    • 2002
  •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rop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 of dead bole in mature ecosystem, we surveyed the dynamics of decaying bole of old-aged deciduous forest in 1993 and 2002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In addition, we and estimated annual bole production, water content, wood density and nutrient conten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temperate ecosystem. Total dead wood biomass was estimated to be 5.6ton/ha in 1993 and 17.6ton/ha in 2002. Standing dead tree accounted for a total of 1.1ton/ha in 1993 and 4.8ton/ha in 2002, which was 20% and 27% of the sum of dead bole mass in 1993 and 2002, respectively. Annual production of bole biomass was 1.3 ton/ha/yr. These values fall into the low range of dead wood biomass for the mature temperate ecosystems. Tree species composing standing bole was mainly Quercus and Carpinus trees. This bole species composition resembles alive species composition of this forest. Water content of bole increased as positive logarithmically, but wood density of bole decreased as negative exponentially along with the progress of decay. N, P, Ca and Mg concentrations in decaying boles generally increased with decay, except for K. Annual nutrient input via dead bole is 1.6kg/ha/yr for N, 0.04 kg/ha/yr for P. 1.0 kg/ha/yr for K, 1.7kg/ha/yr for Ca and 0.3 kg/ha/yr for Mg,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