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ave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34초

서울시 주말 통행특성 분석 연구 (Analysing Weekend Travel Characteristics in Seoul)

  • 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2-101
    • /
    • 2012
  • 최근 소득의 증가와 주5일제 근무확대로 인해 주말의 통행행태 및 수요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주말통행은 평일통행과는 달리 주로 쇼핑, 여가, 레저 등과 연관되어 있어 주로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까지 주요 고속도로나 간선도로의 교통혼잡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말통행수요예측이나 교통정책수립측면에서 주말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필수적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6년에 수행한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중 동일가구에 실시한 평일 및 주말 통행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평일과 비교분석을 통해 주말통행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 또한 토빗모형을 개발하여 평일과 주말(토요일과 일요일)의 통행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모형추정결과, 평일과 주말통행에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로 성별, 직업, 소득, 미취학아동수, 자가용보유 여부 등의 변수가 주말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의 통행비용함수 분석 (A Study on Travel Cost Function of Transit Assignment Model)

  • 김경태;이석;권용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02-1907
    • /
    • 2007
  • This paper suggests improvements in travel cost function of transit assignment model by analysing existing model. Two types of travel cost function are widely used for congested public networks. The one is used for strictly restricting public transport capacity. Another is non-decreasing function such as BPR function. In this paper, we analyse two types of travel cost function in case of intercity rail.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ity rail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ublic transit in urban area. Therefore travel cost function must be differently applied in each case.

  • PDF

신기성 추구유형에 따른 음식관련 체험활동 선호도 연구 (Study on Preferences for Food-related Activity Experience based on Novelty-Seeking in Tourism)

  • 이인옥;김태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3-421
    • /
    • 2015
  • A travel destination offers a form of novelty to the traveler since it can provide experiences that are not of the everyday variety. Therefore, a search for novelty is important as a motivation factor when planning leisure trips and vacation activities and to identify travel market segm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vel style, and preferred food-related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ourists' novelty seeking. This study investigated potential tourist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hich resulted in 300 usable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novelty seeking: Active novelty-seeking group and Passive novelty-seeking group. Thes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vel style, and preference of food-related-activity experi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ctive novelty-seeking group tended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females and specialized jobs, a higher level of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more frequent travel, and preference for food-related activity experience than other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tourist industry, which needs to develop culinary and food-related experience tour programs and travel market segments.

부산지역 고정식 신호교차로의 시간대별 소통체계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Optimal Design of the Travel System during the Different Time Periods on the Pretim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Pusan Area)

  • 김아영;김태곤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8
    • /
    • 1997
  • Today the congestion problem is a problem for the most of the cities to solve. Especially, traffic congestion in the big cities is occurring regardless of the rush-hours. Because the transportation facilities secured in the big cities are very low, and the financial resources and sites for the expansion of new transportation facilities are also limited. Therefore the appropriate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TSM) techniques which could improve the transportation system are absolutely required to solve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stead of the expansion of the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big cities. The purpose in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ravel characteristics on the Pretimed Signalized - Intersections under the study in Pusan area, construct the travel systems during the different time-periods based up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reviewed, and finally suggest the optimal travel systems which could reduce the traffic delay and fuel consumption of the Pretimed Signalized - Intersections based upon the travel system constructed. Based upon th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retimed signal system based upon the on-peak periods should not be applied to all the different time-periods on the Pretimed Signalized - Intersections(PSI) to reduce traffic delay and fuel consumption, and increase the travel capacity on the intersections in Pusan area.

  • PDF

중국 개인 여행객의 계절별 한국 여행경로 특성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Travel Path of Individual Chinese Travellers in Korea)

  • 왕춘염;장필식;김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3-31
    • /
    • 2019
  • 2016년 한국에 미군의 사드 미사일이 배치된 이후 중국으로부터 단체관광은 전면 중단되었다. 이후 중국인의 한국 관광은 개인 중심의 여행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12월 까지 온라인 여행노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개별방문 중국인의 계절별 한국관광 여정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은 중국인의 한국여행 허브이며 개별 방문 중국인의 주요 방문지는 서울, 부산, 제주도, 경주 및 강릉에 집중되어 있고 계절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개별 중국인의 한국 관광을 위한 관광코스의 개발, 관광 서비스 제공 및 관광 시설배치의 최적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여행 방문지와 관광명소 사이의 이동 교통방식을 연구하여 관광 일정 계획 설계에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브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단속류의 구간 통행속도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of Sectional Travel Speeds of the Interrupted Traffic Flow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be Data)

  • 정연탁;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851-1861
    • /
    • 2014
  • 본 연구는 단속류에서 수집된 프로브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성 있는 구간 통행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프로브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프로브 차량의 구간 통행시간 분포를 살펴보았고, 단거리전용통신(DSRC)을 통해 수집된 프로브 차량별 구간 통행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구간 통행시간의 분포는 이상치를 제거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DSRC 프로브 차량의 구간 통행속도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프로브 차량의 구간 통행속도 분포 특성과 수집 주기 동안에 집계된 대표값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이상치 제거 절차를 도출하였고, 추정 오차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DSRC 구간 통행속도는 실 주행차량의 관측값과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시내버스 구간 통행속도의 경우는 DSRC 구간 통행속도보다 덜 정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BIS 프로세스 개선과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시내버스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소통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유압주행모터의 변속시 발생하는 충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ock Characteristics in the Hydraulic Power Shifting System of the Hydraulic Travel Motor)

  • 이주성;이계복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305-310
    • /
    • 2001
  • Hydraulic power shifting systems of hydraulic travel motor may be far safer tha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s. Thus, hydraulic power shifting systems are widely used for speed control on the hydraulic equipments. In the case of liquid shifting lines, the rapid change of area, such as valve closing, can result in a large pressure transient. It is necessary to assure proper control method in order to obtain the smallest shift shock. This study conducts the shock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power shifting system of the hydraulic travel moto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hock pressure depends on the operating pressure, flow rate and pipe line area. The shock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for reducing shocks.

  • PDF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 분석 (Travel Patterns of Transit Users in the Metropolitan Seoul)

  • 이금숙;박종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79-3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성장과 함께 통행거리와 교통량이 크게 늘어나 심각한 교통체증현상을 보이고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교통흐름의 공간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수도권 지역의 토지이용 및 시설 분포와 연결시켜 수도권 지역의 기능적 연계의 공간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만들어 내는 통행 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통행행태와 통행흐름의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하루 천만 건이 넘으며, 각 통행거래자료 마다 승 하차 및 환승의 위치와 시간, 이용 교통수단 등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이의 효율적 분석을 위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도입하였다. 특히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고 각 지점의 통행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하여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시각화시키고, 그에 입각하여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출발 교통량, 도착교통량, 총 지지도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시도하였다. 통행수요에 있어 강남의 2호선 지하철역을 따라 가장 많은 통행 수요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강북의 구도심지역이 또 하나의 중심축을 이룬다. 그밖에도 대단위 고층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들이 부수적인 중심축을 형성한다. 기 종점 수요와 함께 통과 수송량 까지 나타내는 총지지도는 강남의 구로-신도림 역이 가장 놓게 나타나며 강남지역에 위치한 지하철 2호선 역들과 환승역들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통행패턴 분석은 일차적으로는 교통망 상의 교통흐름과 각 지점의 통행수요를 나타나며 지역 내에서 지점 간의 기능적 연계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의 교통계획은 물론 지역의 토지이용 및 시설 입지 계획 수립에 필수적이다.

  • PDF

20-30대 해외여행자의 여행활동과 쇼핑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vel Activity and Shopping Behavior of 20's-30's Korean Overseas Travelers)

  • 전양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529-539
    • /
    • 2016
  • This study confirmed shopping behavior of Korean young overseas tourists and its effect on travel evaluation. I first identified core factors of travel activity preference, travel shopping propensity, and shopping products. The effect of shopping product satisfaction on tour satisfaction and post-tour intention was then investigated. Based on travel activities, tourists were group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 online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 obtain data of 20's-30's Korean unmarried people, whil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x travel activities (city life, art/shopping, cultural experience, entertainment, field experience, and friendship), three shopping propensity (novelty/uniqueness, utility, and prestige), and four product groups (fashion goods, household goods, crafts, and foods) were found by factor analyses. Second, travel activity tended to influence shopping propensity, which then influenced shopping products preference. All factors of travel activity seemed to affect the three travel shopping propensities. Third, shopping satisfaction was shown to affect tour satisfaction, and posttour behavior. Finally, four tourist groups (active, social, pleasure, and passive) differed in terms of preferred tour activities, shopping propensity, and tour behavior. Active tourists rated the highest scores and passive ones rated the lowest for most evaluations.

통행시간 정보 정확도에 대한 운전자들의 허용수준과 화폐가치 (Drivers' Acceptable levels of the Accuracy of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ir Valuations)

  • 유정훈;최서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9-148
    • /
    • 2012
  • PURPOSES : The accuracy of travel time information is a key measure of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drivers' perception on the acceptable level of information accuracy and their corresponding valuation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executed for collecting driver perception data to capture the expectation level of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for the information. A Tobit model was adopted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acceptable level, drive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ravel attributes. Since drivers' willingness to pay for accurate travel time inform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ravel lengths, a piecewis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capture the sensitivity of values of travel time information to travel length. RESULTS :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rip purpose and travel time are two dominant factors to determine drivers' acceptable level of travel time information. For business and short trips, drivers want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for non-business and long trips. Drivers' willingness to pay for travel time information also varies depending on their incomes, trip purposes and travel lengths. The results also show that drivers' valuation of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is sensitive to their travel length. For longer trips, drivers are less sensitive to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n put less value on the information provided. CONCLUSIONS : Censored nonlinear regression models are developed to estimate drivers' acceptable accuracy for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ir valuation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findings on drivers perception to the required accuracy of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ir corresponding willingness to pay can be used in the design and deployment of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through high com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