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mission latenc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8초

ROHMIP : 이동망에서 확장된 HMIP를 적용한 경로 최적학 (ROHMIP : Route Optimization Employing HMIP Extension for Mobile Networks)

  • 노경택;정수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35-242
    • /
    • 2007
  • 이동망지원프로토콜은 이동 라우터와 연결된 이동 노드들에게 망의 이동을 투명하게 함으로써, 위치 갱신 신호의 양을 감소시키지만, 최적화되지 않은 경로선택과 다중 헤더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중첩된 이동망내에서 망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프의 지역화와 경로 최적화 그리고 특히 핸드오프 신호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확장된 HMIP 기법을 적용한 경로 최적화 (ROHMIP) 기법을 제시한다. ROHMIP기법에서 이동 망의 이동시 이동 라우터와 연결된 모든 이동망노드들(MNNs)을 대신하여 이동 라우터가 MAP에게 단지 자신의 바인딩 정보 갱신만을 통고한다. 따라서 이동망노드는 통신 노드에 위치갱신을 통보하지 않고 경로 최적화를 유지한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이 전송지연, 핸드오프로 인한 지연과 신호의 양을 감소시킴을 보였다.

  • PDF

안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효율적인 그룹 관리 메커니즘 및 구조 (Efficient Group Management Mechanism and Architecture for Secure Multicast)

  • 은상아;조태남;채기준;이상호;박원주;나재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3호
    • /
    • pp.323-330
    • /
    • 2002
  •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이 점차 다양해지고, 서비스 사용자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공격자들의 주목을 받게되고 정보의 누출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활용과 동시에 그에 대한 보안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멤버의 동적인 가입 탈퇴가 발생하는 그룹에서 효율적인 그룹 관리를 적용하여 안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한 명의 송신자와 다수의 수신자로 구성된 멀티캐스트 통신 상황에서, 보안 측면을 고려하여 많은 이용자들에게 안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구조와 성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제안하는 구조는 멤버 관리가 효율적이고, 전송 지연을 줄이면서 보다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멀티 홉 MAC 프로토콜 (Multi-Hop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조경탁;박세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6A호
    • /
    • pp.506-514
    • /
    • 2009
  •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들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사용한다. 그 중에서 RMAC [4]의 경우 Pioneer(PION) 프레임을 이용하여 한 주기 내에 여러 홉을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HE-MAC(Hop-Extended MAC)이라는 홉 연장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HE-MAC의 데이터 전송은 기존 RMAC과는 달리 한 주기 내에 전달될 수 있는 최대 홉 수 정보가 포함된 Explorer(EXP)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EXP의 정보와 Ready-to-Receive(RTR) 상태를 이용하여 RMAC에 비해 2홉을 늘림으로써 평균 전송 지연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적응적 슬립을 통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RMAC에서 나타나는 잦은 트래픽(Traffic)으로 인한 패킷 역전 문제를 해결한다. HE-MAC의 패킷 전송 지연시간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ns-2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성능평가를 하였다. 300개의 노드가 배치된 랜덤 토폴로지에서 HE-MAC은 RMAC에 비해 전력 소모량과 평균 전승 지연 시간을 14%, 20%만큼 감소시킨다.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링크 단절 예측을 사용한 지역 수정 라우팅 알고리즘 (Local Repair Routing Algorithm using Link Breakage Prediction in Mobile Ad Hoc Networks)

  • 유대훈;최웅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1A호
    • /
    • pp.1173-1181
    • /
    • 2007
  • 무선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많은 라우팅 알고리즘이 연구되어 왔다. 여기서 요구 기반 방식의 AODV 라우팅 알고리즘은 경로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Hello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경로의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그리고 경로가 단절 되었을 때, 그것을 인지한 노드가 송신지 노드에게 RERR 패킷을 전송하거나 RREQ 패킷을 지역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경로를 재설정하게 된다. 하지만 RREQ와 같은 제어 패킷을 플러딩 하기 때문에 대역폭의 낭비와 데이터 전송의 지연도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AODV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링크의 상태를 예측하여 경로를 수정하는 LRRLBP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여기서 링크의 상태는 주기적으로 수신 받는 Hello 메시지를 통한 수신 세기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경로가 단절되기 전에 지역적으로 경로를 수정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ns-2 시뮬레이터 사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다관절 차량의 분산형 제어 시스템을 위한 이더넷 기반 TCN 토폴로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TCN-Ethernet Topology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 in Railway Vehicles)

  • 김정태;황환웅;이강원;윤지훈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9호
    • /
    • pp.38-45
    • /
    • 2016
  • 본 논문은 다관절 철도 차량의 효율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해 분산형 제어 시스템 구축 시 이더넷 기반의 Train Communication Network(TCN) 적용안을 제시하고, 해당 망의 최적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적용된 TCN은 백본 망과 하위 망의 계층 구성을 갖고, 하위 망이 관장하는 차량의 수에 따른 전송 딜레이와 안정성을 경유 노드 수와 차량 간 케이블 수로 모델링한다. 이를 기반으로 목적 함수를 정의하고 최적해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차량 수의 정수 제약 조건을 완화하여 목적함수의 최적 실수해를 먼저 도출하고, 이로부터 최적 정수해를 탐색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수치 결과를 통해, 도출된 해의 특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트랜스포트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방안 (A Transport Layer Mobility Support Approach for Multimedia Streaming Services)

  • 장문정;이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917-926
    • /
    • 2005
  • PR-SCTP를 이동환경 지원이 가능하도록 확장함으로써 이동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림 전송을 요구하는 응용을 지원하는 트랜스포트 계층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uPR-mSCTP를 제안하였다. uPR-mSCTP에서는 비순서화 비신뢰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였고, 핸드오버 시 핸드오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IPv6에 uPR-mSCTP를 탑재한 경우와 UDP를 탑재한 네트워크 계층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uPR-mSCTP는 핸드오버 시 패킷전송률을 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낭비를 줄이고, FMIPv6에 근접하는 패킷손실률을 보이며, MIPv6 HMIPv6에 비해서는 훨씬 낮은 패킷 손실률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uPR-mSCTP는 UDP를 탑재한 네트워크 계층 이동성 지원에 비해 제어패킷 오버헤드를 줄이는 장점을 가진다.

센서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라우팅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uting Algorithms for Energy Efficiency in Sensor Network)

  • 정대인;채병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0B호
    • /
    • pp.619-629
    • /
    • 2005
  • 본 논문은 센서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기반 라우팅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내용으로서, 특히 에너지 인지에 따르는 여러 가지 간결한 경로 설정방식을 연구하였다. 네트워크 자가 구성과정을 통해 확보된 이웃 노드의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단일 흡 라우팅을 결정하는 네 가지 방식을 제안하였다. 다수의 경로 간에 에너지 소비를 고르게 분포시키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설계 목표이다. 에너지 상태정보로는, 각 노드의 가용 에너지양이 기본적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이웃 노드의 에너지 저하로 인해 관리노드로의 가용 경로정보가 상실된 경우, 간단한 우회 경로 탐색 방안을 제안하였고, 이는 에너지 효율성 개선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에너지 효율성,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네트워크의 수명, 전송 delay 등 여러 성능 지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단순한 구조의 라우팅 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F(Dynamic and Flexible)-MAC : WBAN을 위한 유연한 MAC 프로토콜 (DF(Dynamic and Flexible)-MAC : A Flexible MAC Protocol for WBAN)

  • 서영선;김대영;김범석;조진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8A호
    • /
    • pp.712-722
    • /
    • 2011
  •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은 인체 주변 영역에서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WBAN 서비스는 인체 내부에 이식된 의료 응용을 위한 MICS 주파수 대역과 의료 응용과 consumer electronics (CE) 응용 분야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ISM 주파수 대역에서의 서비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WBAN을 위한 MAC 프로토콜은 의료 응용과 CE 응용간의 상이한 특징과 유연성 (flexibility)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WBAN MAC 프로토콜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WBAN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WBAN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WBAN의 다양한 응용을 위한 전송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적 CFP(Contention Free Period) 할당(Dynamic CFP Allocation)을 제안한다. 또한, 경쟁 기반의 긴급 의료 데이터를 발생하는 의료 응용과 때때로 대량의 데이터를 발생하는 CE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 OCDP(opportunistic contention decision period) 구간과 4-mode Opportunity period를 제안하고, 제안한 방안을 이용하여 Inactive period와 Opportunity period를 일시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 IEEE 802.15.4 MAC 프로토콜과 제안하는 WBAN MAC 프로토콜을 비교하였을 때, WBAN 환경에서의 전송 처리량, CFP 이용율, 전송지연 측면에서 증가된 성능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포르말린 및 열성 자극 유발 통증에 대한 척수강 Melatonin의 항침해 효과 (Antinociceptive Effects of Intrathecal Melatonin on Formalin- and Thermal-induced Pain in Rats)

  • 정성태;진원종;배홍범;김석재;최정일;강명우;정창영;윤명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9권2호
    • /
    • pp.137-141
    • /
    • 2006
  • Background: It has been known that melatonin is involved in the modulation of nociceptive transmission. However, the effect of melatonin administered spinally has not been examined.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melatonin on the formalin-induced or thermal-induced nociception at the spinal level. Methods: Intrathecal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subarachnoid space of male Sprague-Dawley rats. Pain was assessed by formalin test (induced by injection of $50{\mu}l$ of a 5% formalin solution to the hindpaw) or Hot-Box test (induced by radiant heat application to the hindpaw). The effect of intrathecal melatonin was examined on flinching behavior in the formalin test or withdrawal response in Hot-Box test. Results: Intrathecal melatonin produced a limited, but dose-dependent reduction of the flinching response during phase 1 and 2 in the formalin test. In addition, melatonin delivered at evening also decreased the flinching response in both phases of the formalin test. Melatonin restrictively increased the withdrawal latency in Hot-Box tes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latonin is active against the formalin- and thermal-induced nocicpetion at the spinal level, but the effect is limited.

1-라운드 양자간 키 교환 프로토콜 (One-round Protocols for Two-Party Authenticated Key Exchange)

  • 정익래;이동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1_2호
    • /
    • pp.110-118
    • /
    • 2006
  • 양자간 암호학 프로토콜 디자인에서 잘 고려되지 않는 사항 중에 동시 메시지 전송이 있다. 즉, 듀플렉스(duplex) 채널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두 파티는 동시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양자간 키 교환 프로토콜은 두 파티가 교대로 메시지를 보내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채널을 가정해서 디자인되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듀플렉스 채널을 사용할 경우에 동시 메시지 전송을 사용해서 좀 더 효율적인 양자간 키 교환 프로토콜을 설계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세 개의 안전성 증명 가능한 1-라운드 양자간 키 교환 프로토콜들을 제안한다. 첫 번째 프로토콜은 가장 효율적이며, 세션키 독립성(key independence)을 보장한다. 두 번째 프로토콜은 세션키 독립성과 더불어 전방위 안전성(forward secrecy)을 보장한다. 세 번째 프로토콜은 두 번째 프로토콜과 같은 안전성을 보장하지만, 표준모델(standard model)에서 안전성이 증명된다. 우리가 제안하는 프로토콜들은 최초의 안전성 증명이 가능하면서 전방위 안전성을 제공하는 1-라운드 양자간 키 교환 프로토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