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disciplinary approach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휴머노이드 로봇의 안전한 차량 주행 전략 및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Tele-operation Interface and Stable Navigation Strategy for Humanoid Robot Driving)

  • 신세호;김민성;안준우;김상현;박재흥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904-91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driving system by the humanoid robot to drive a vehicle in disaster response situations. To enhance robot's capability for substituting human activities in responding to natural and man-made disaster, the one of prerequisite skills for the rescue robot is the mounted mobility to maneuver a vehicle safely in disaster site. Therefore, our driving system for the humanoid is developed in order to steer a vehicle through unknown obstacles even under poor communication conditions such as time-delay and black-out. Especially, the proposed system includes a tele-manipulation interface and stable navigation strategies. First, we propose a new type of path estimation method to overcome limited communication. Second, we establish navigation strategies when the operator cannot recognize obstacles based on Dynamic Window Approach.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developments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s, which demonstrate suitable system for driving a vehicle in disaster response.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for Water Pollution Control: Case Studies on Application of Natural Systems

  • Polprasert, Chongrak;Liamlaem, Warunsa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85-195
    • /
    • 2014
  • Despite the enormous technical and economic efforts to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currently about 40% of the global population (or 2 billion people) are still lack access to safe water supply and adequate sanitation facilities. Pollution problems and transmission of water- related diseases will continue to proliferate.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will lead to a reduction of arable land, thus exacerbating the food shortage problems and threaten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atural systems in this context are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which employs the activities of microbes, soil and/or plants in waste stabilisation and resource recovery without the aid of mechanical or energy-intensive equipments. Examples of these natural systems are: waste stabilisation ponds, aquatic weed ponds, constructed wetlands and land treatment processes. Although they require relatively large land areas, the natural systems could achieve a high degree of waste stabilisation and at the same time, yield potentials for waste recycling through the production of algal protein, fish, crops, and plant biomass. Because of the complex interactions occurring in the natural systems, the existing design procedures are based mainly on empirical or field experience approaches. An integrated kinetic model encompassing the activities of both suspended and biofilm bacteria and some important engineering parameters has been developed which could predict the organic matter degradation in the natural systems satisfactorily.

Multidisciplinary Team Research as an Innovation Engine in Knowledge-Based Transition Economies and Implication for Asian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of Team Science

  • Lee, Yong-Gil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2권1호
    • /
    • pp.49-63
    • /
    • 2013
  • This work identifi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of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R&D projects in transition economies by integrating knowledge management, organizational, inter/intra-collaboration (open-innovation), and leadership perspectives, while also addressing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of team science, which is an integrative approach to R&D. This is followed by providing the major sub-constructs of team scien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better facilitate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R&D projects in knowledge-based transition economies.

Yemen's Cholera Epidemic Is a One Health Issue

  • Ng, Qin Xiang;Deyn, Michelle Lee Zhi Qing De;Loke, Wayren;Yeo, Wee S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4호
    • /
    • pp.289-292
    • /
    • 2020
  • Yemen has been faced with the worst cholera epidemic of modern times, with more than 1 million suspected cases and 3000 deaths at the time of writing. This problem is largely due to the longstanding civil war between pro-government forces and the Houthi armed movement, which has severely damaged already vulnerable sanitation and healthcare facilities and systems in the country. It is further compounded by a dire lack of basic amenities, chronic malnutrition, and unfavourable weather conditions. Another contributory component may be aerial transfer by cholera-infected chironomid insects. To contain the spread of cholera in Yemen, a nation-wide armistice should be negotiated, and national and local committees must be convened to coordinate efforts on the ground. Community isolation facilities with proper sanitation, reliable disposal systems, and a clean water supply should be set up to isolate and treat sick patients. The continuity of vaccination programmes should be ensured. Public health campaigns to educate local communities about good hygiene practices and nutrition are also necessary. The One Health paradigm emphasizes a multi-sectoral and transdisciplinary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prevent and mitigate the threat of communicable diseases. This paradigm is highly applicable to the ongoing cholera crisis in Yemen, as it demands a holistic and whole-of-society approach at the loc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The key stakeholders and warring parties in Yemen must work towards a lasting ceasefire during these trying times, especially given the extra burden from the mounting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outbreak worldwide.

지속가능한 영농·영림을 위한 국내외 연구동향 및 향방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and Forest Management)

  • 김학영;최성원;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6-247
    • /
    • 2015
  • 국내 영농과 영림은 최근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환경 변화와 더불어 급격한 경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열쇠로 "지속가능성"이 검토 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영농 영림을 위한 국내외의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살펴본 결과 1) 지표접근법, 2) 계정접근법, 그리고 3) 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해 지속가능한 영농 영림 지수 등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한 지속가능한 영농 영림 관련 연구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이에 대한 연구는 그간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기상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에서 확보한 영농 영림 기상 및 생태자료와 특히, 지난 10여 년간 농경지와 산림에서 플럭스 관측을 통해 확보하고 있는 대기-생태계간 에너지, 물 및 이산화탄소 교환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국제 사회의 노력에 발맞춰 지속가능한 영농 영림을 위한 연구 역량을 충분히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계별 연구 추진을 제안한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과 도덕의 통합교수모델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of mathematics and ethics for social justice)

  • 이예진;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13-32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 주제를 중심으로 수학과 도덕을 통합한 통합교수모델을 개발하고 통합교수모델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주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통합교수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2015 개정 수학 교육과과 3~4학년군, 5~6학년군 수학 교과서, 2015 개정 도덕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수학과 도덕 교과에 사회정의 소재가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앞선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도덕, 사회정의를 3개의 축으로 하여 융합모형 틀과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과 도덕의 통합교수모델을 구안하였다. 통합교수모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학과 도덕의 통합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과 사회적 의식, 창의적 사고력 및 비판적 사고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비시가화지역의 경관친화적 계획 유도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관련 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District Unit Planning to Induce Landscape-Friendly Planning in Non-Urban Areas)

  • 김진효;나정화;권오성
    • 농촌계획
    • /
    • 제27권2호
    • /
    • pp.1-11
    • /
    • 2021
  • In this study, in order to induce landscape-friendly various development plans established at the district level,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appearing in domestic laws and systems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and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to advance the district-level landscape plan. The main focus was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methodology for th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 prescribed in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the landscape plan content for natural elements and the landscape plan content for artifacts appeared mixed. Next,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s in the Landscape Act,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and the landscape plan establishment guidelines, it is analyzed that the content mainly intended to improve the artificial landscape in terms of aesthetics, such as color, lighting, and buildings. Became.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s in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ment guideline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for the skyline, night view, color, advertisements, and viewpoint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s in the preceding study, the plan contents for ecological, recreational, and micro-visual aspects were revealed, and all three aspects aim to establish a landscape plan within the range of minimizing damage to nature. there was. Appeared to b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able to induce more landscape and nature-friendly district unit plans being conducted at the district level.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저출산 정책과 대중인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Low Fertility Policy and the Public Perceptions using Text-Mining Methodology)

  • 배기련;문현정;이재일;박미나;박아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9-42
    • /
    • 2021
  • 한국의 저출산 심화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과 그에 대한 대중인식을 비교하여 근본적인 차이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네 차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과 제3·4차 기본계획 발표 직후 2주간의 뉴스 댓글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빈도분석, 동시출현단어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책문서 빈도분석결과 제1·2차 시기는 직접적인 보육지원이, 제3·4차 시기부터는 사회구조적인 접근이 눈에 띄었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에서는 정책과 댓글 모두 '육아'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향하였다. '결혼'과 '출산'의 경우 댓글은 연속성, 정책은 단절성이 두드러지며 특히 주거와 고용문제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댓글의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에서는 대중들의 자녀 양육환경에 대한 관심, 정책 실효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대중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므로, 이에 근거한 정책 개선 등 향후 저출산 대응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른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학제적 연구 (A Transdisciplinary and Humanistic Approach on the Impacts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김동윤;배상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11-419
    • /
    • 2019
  • 오늘날 인공지능은 과학기술 공학 분야에 가장 중요한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방송미디어를 포함한 모든 과학기술은 완전히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급격한 변화의 시대를 맞고 있다. 여럿의 핵심 기술과 그것의 운용이 전례없는 새로운 방식으로 융합하는 현상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NBIC 기술융합현상을 꼽을 수 있다.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능력과 속도가 기하급수적(exponentially)로 발달함으로서 나노, 바이오생명, 디지털 테크놀러지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 모든 기술융합의 현상의 중심에 인공지능이 위치한다. 인공지능 기술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에플 등 거대 플랫폼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디지털기술과 사이버네틱스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플랫폼 기업에 결정적인 전략자산이 될 것이 확실하다. 이러한 맥락과 배경에서 트랜스휴머니즘(더나아가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북미와 서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역능을 개선, 향상(강화)하고 전통적인 휴머니즘에 도전하는 기술기반의 새로운 사상의 흐름을 말한다.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촉발되었지만, 이것은 인간과 인류문명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기술영역을 넘어 횡단적이고, 특히 인문과학 중심의 학제적인 논의를 필요로 한다. 방송미디어가 단순히 기술공학 만이 아니라 정치와 문화영역, 즉 인간의 일상과 인류의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라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인공지능기술과 그것의 다양한 함의에 대한 초학제적이고 복합적인 연구와 논의가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