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oding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19초

비밀분산기법을 이용한 분산 트랜스코딩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ed Transcoding System using Secret Sharing Techniques)

  • 송유진;구석모;김의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233-239
    • /
    • 2014
  • 초고해상도 콘텐츠는 파일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기존의 부호화 기술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고효율의 부호화 기법인 HEVC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전송이 가능하나 압축시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분산 트랜스코딩 시스템이 필요하다. 분산 트랜스코딩 시스템은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한 뒤 다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그러나 분산 트랜스코딩 시스템은 분산된 정보가 노출되거나 내부관리자의 공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해상도 콘텐츠를 트랜스코딩 할 때, 분산 트랜스코딩 시스템의 기밀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우리는 SNA를 이용하여 데이터 노드에서 HEVC로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밀분산기법을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했다. 결과적으로 안전한 분산 트랜스코딩이 가능하고, 내부관리자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Degraded Quality Service Policy with Bitrate based Segmentation in a Transcoding Proxy

  • Lee, Jung-Hwa;Park, Yoo-Hyu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245-250
    • /
    • 2010
  • To support various bandwidth requirements for many kinds of devices such as PC, notebook, PDA, cellular phone, a transcoding proxy is usually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adapting multimedia streams to the client by transcoding, but also caching them for later use. Due to huge size of streaming media, we proposed the 3 kinds of segmentation - PT-2, uniform, bitrate-based segmentation. And to reduce the CPU cost of transcoding video, we proposed the DQS service policy. In this paper, we simulate the combined our previous two researches that are bitrate-based segmentation and DQS(Degraded Quality Service) polic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mbined policy outperforms companion schemes in terms of the byte-hit ratios and delay saving ratios.

네트워크 적응적 QoS를 위한 오토노믹 멀티미디어 트랜스코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nomic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for Network Adaptive QoS)

  • 서동만;정인범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A호
    • /
    • pp.131-139
    • /
    • 2007
  • The recent advance in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has enabled the streaming media service on the mobile devices such as PDAs and cellular phones. Since the wireless network has low bandwidth channels and mobile devices are actually composed of limited hardware specifications, the transcoding technology is needed to adapt streaming media to given mobile devices. Futhermore owing to the diversity of bandwidth in the wireless network by reason of mobile users' movements and environments, it is difficult to provide stable QoS. In this paper, the autonomic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is proposed in order for users to provide network adaptive QoS. Our proposed system is based on the estimation of available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for seamless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various mobile clients. In experiments, we evaluate its seamless multimedia streaming and the adaptation transcoding bit rat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 PDF

Real-Time Transcoding and Advanced Encryption for 360 CCTV Streaming

  • Le, Tuan Thanh;Jeong, JongBeom;Lee, Soonbin;Jang, Dongmin;Ryu, Il-Woong;Ryu, Eun-Seok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4-146
    • /
    • 2019
  • Recently, accord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urveillance information,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has become an indispensable component in security systems. A lot of advanced technologies of encryption and compression are implement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security levels of the CCTV system. Especially, 360 video CCTV streaming is promising for surveillance without blind areas. However, compared to previous systems, 360 CCTV requires large bandwidth and low latency. Therefore, it requires more efficiently effort to improve the CCTV system performance.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360 CCTV streaming, transcoding is an essential process to enhance the current CCTV system. Moreover, encryption algorithm is also an important priority in security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transcoding solution in combination with the ARIA and AES algorithms.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achieved around 195% speed up transcoding compared to FFMPEG libx265 method. Furthermore, the proposed system can handle multiple transcoding sessions simultaneously at high performance for both live 360 CCTV system and existing CCTV system.

  • PDF

확률 기반의 블록 모드 결정 기법을 이용한 H.264에서의 고속 비트율 감축 트랜스코딩 (Fast Bitrate Reduction Transcoding using Probability-Based Block Mode Determination in H.264)

  • 김대연;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48-35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H.264로 부호화 된 비트스트림을 이전보다 낮은 비트율을 갖는 비트스트림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고속 비트율 감축 트랜스코딩을 제안한다. 제안된 트랜스코딩 기법은, 복호기에서 나온 블록 모드 정보와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확률 기반의 블록 모드 결정 기법과 움직임 벡터 재사용 및 정제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직렬 화소 영역 트랜스코딩과 비교하였을 때 약 0.1$\∼$0.3 dB 정도의 화질 저하가 있지만, 부호화 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약 40배 빠른 결과를 얻었다.

종단간 상이한 QoS를 갖는 멀티미디어 연출 재생을 위한 CFG 기반의 변환 경로 생성 알고리즘 (A Context Free Grammar based Algorithm for Generating Playable Transcoding Paths of the Multimedia Presentation with Different End-to-End QoS)

  • 전성미;임영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5호
    • /
    • pp.699-708
    • /
    • 2002
  • 멀티미디어 연출을 재생하는 단말기나 통신망이 다양해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근원지의 데이터 서비스 품질과 재생하는 목적지의 서비스 품질이 다른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연출을 재생하기 위해서 근원지의 데이터를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재생 서비스 품질에 맞추어 변환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문제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연출 프로그램이라도 그것이 재생되는 단말기나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변환 경로가 달라져야 한다는 점이다. 즉 고정된 변환 경로를 사용할 수 없고 재생되는 단말기나 통신망이 정해지면 그에 맞는 변환 경로를 다시 생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주어진 변환 자원과 통신망을 고려하여 근원지 데이터를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재생 서비스 품질에 맞게 변환하는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과 그 경로가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에 맞게 재생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이 제시한 변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변환 자원과 변환 규칙을 문맥 자유 문법(Context Free Grammar)으로 기술 할 수 있도록 함으로 변환 경로를 컴파일러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재생 가능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변환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지연 등을 계산하는 방법과 요구하는 시간 내에 이루어 질 수 있는지 검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을 실험실에서 개발한 Transcore라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엔진과 VIP라고 하는 저작도구에 구현하였고 간단한 시나리오에 적용한 결과를 마지막으로 기술하였다.

G.729A와 SMV 음성부호화기를 위한 파라미터 직접 변환 방식의 상호부호화 알고리듬 (Transcoding Algorithm for SMV and G.729A Vocoders via Direct Parameter Transformation)

  • 장달원;서성호;이선일;유창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6호
    • /
    • pp.71-8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G.729A와 SMV 음성부호화기를 위한 새로운 파라미터 직접 변환 방식의 상호부호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상호부호화를 위하여 부가적인 복호화, 부호화 과정을 거쳐야하는 기존의 Tandem 방식과 달리 제안된 파라미터 직접 변환 방식에서는 양 음성부호화기가 음성을 부호화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파라미터들이 직접 변환된다. SMV 에서 G.729A로의 트랜스코딩에서는 LSP 변환, 피치 지연 변환, 낮은 전송률에서의 트랜스코딩 등의 알고리듬을 제안하고, G.729A에서 SMV로의 트랜스코더에서는 LSP 변환, 피치 지연 변환, 전송률 결정 등의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해본 결과 기존의 Tandem 방식과 비교하여 계산량과 지연 시간을 줄이면서도 동등한 음질 또는 향상된 음질을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랜스코딩 프록시에서 세그먼트 기반 캐쉬 교체 정책 (Segment-based Cache Replacement Policy in Transcoding Proxy)

  • 박유현;김학영;김경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1호
    • /
    • pp.53-60
    • /
    • 2008
  • 최근 스트리밍 미디어는 인터넷 상의 많은 트래픽을 유발하고 있다. 기존의 웹을 위한 객체와 마찬가지로 스트리밍 객체 또한 프록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여러 이점이 있긴 하지만, 스트리밍 미디어를 캐슁 하는 방법은 기존의 웹을 위한 객체보다 매우 크고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또한 많은 종류의 단말들의 다양한 대역폭을 적절히 서비스 하기 위해서 프록시 기능과 트랜스코딩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프록시가 유용하다. 기존의 프록시는 객체가 프록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만 고려되었으나, 트랜스코딩 프록시에서는 같은 객체의 다양한 버전에 대해서 종합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최적의 버전 집합을 저장 해야 한다. 또한 최근의 멀티미디어 캐슁 시스템들은 접근 빈도가 높은 앞부분을 캐슁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많은 연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관리를 위해서 객체를 세그먼트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 캐슁을 사용하는 트랜스코딩 프록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후속 작업을 결정하기 위해 4개의 기본 이벤트를 이용하여 9개의 이벤트로 정의한다. 또한 트랜스코딩 프록시 시스템을 위하여 세그먼트 기반의 관리정책을 제안한다. 실험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 지연시간, BHR와 트랜스코딩 데이터의 양이 적음을 보여준다.

움직임 벡터의 활동성과 방향성을 고려한 트랜스 부호화기의 비트율 제어 (Bit-rate control of transcoder considering the activity and direction of motion vector)

  • 구성조;장해원;황찬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2C호
    • /
    • pp.1209-1216
    • /
    • 2003
  •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상에서 실시간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주문형 비디오 및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론 사장자가 제공받기 위해서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비트율을 다양한 채널의 대역폭에 맞추는 트랜스 부호화(transcoding)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 부호화 과정에서 움직임 벡터 추정시 매크로블록의 활동도와 방향성을 이용하여 계산랑을 줄이면서 화질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매크로블록의 활동도와 방향성의 임계치는 복호화 과정에서 추출한 중간정보 중에서 DCT 계수를 사용하여 비디오마다 적합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안된 비디오 트랜스 부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H.263 환경에서 영상의 비트율 변환을 통한 실험으로 적절한 수준의 하질 유지와 계산량의 감소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상에서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객체 버전 트랜스코딩 (Object version Transcoding for Streaming Media Service in Wireless Mobile Networks)

  • 이종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55-363
    • /
    • 2011
  •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상에서 트랜스코딩은 지연을 줄이고, 스트림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그러나 무선 모바일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는 제한된 네트워크 대역폭과 자원 등으로 인하여 혼잡, 간섭 및 지연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간섭과 지연은 QoS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의 응답성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 버전 트랜스코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객체 버전들을 분석하여 트랜스코딩 그래프를 구축한다. 스트리밍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참조율 기반 제어 함수를 이용하며, 지연 절약을 위해 MVDS(Multiple Version Delay Saving)를 측정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기법이 다른 비교 결과 기법들에 비해서 지연율, 캐시 히트율이 증가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