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ning data deficiency proble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딥러닝 기반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에 있어 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전이학습의 응용 (Applying Transfer Learn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based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Model with Insufficient Training Data)

  • 정지호;정진아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5호
    • /
    • pp.551-562
    • /
    • 2024
  • 인공신경망과 같은 데이터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하수위 모니터링 관정이 새로 개발되거나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예를 들어, 결측치 또는 이상치)가 다수 관찰되는 경우, 예측 모델을 적절히 학습하기 위한 데이터셋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이는 예측 정확도의 저하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이 학습(Transfer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게이트 순환 유닛(Gated Recurrent Unit, GRU)을 예측을 위한 기본 데이터 기반 모델로 사용하였다. 전이학습 과정을 위한 GRU 기반 사전 학습 네트워크(Pretrained network)는 국내 전역의 89개 모니터링 지점에서 수집된 지하수위 및 이에 대응하는 강우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그 후, 타겟 모니터링 관정에서 확보된 소량의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전 학습된 네트워크에 대한 미세 조정(Fine-tuning) 을 통해 최종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이학습 알고리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서로 다른 지하수위 예측 모델을 비교 평가하였다: 1) 타겟 관정의 불충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된 GRU 기반 지하수위 예측 모델 및2) 전이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GRU 기반 예측 모델. 두 개의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관정에서 획득한 지하수위 자료에 대한 비교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전이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모델이 다른 모델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사용 가능한 학습 데이터의 양에 상관없이 전이학습 알고리즘이 지하수위 예측 모델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임상간호사의 리더십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적용 (Leadership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 이병숙;어용숙;이미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71-68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Methods: During 2014,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held with a total of 20 clinical nurses participating.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s they were spoken and transcrib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fteen categories emerged from the five main themes. 1) Thoughts on the leadership category: to lead others, to cope with problem situations adequately and to serve as a shield against difficulties. 2) Situations requiring leadership: situation that requires correct judgement, coping and situations that need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3-1) Leadership behaviors: other-oriented approach and self-oriented approach. 3-2) Leadership behavior consequences: relevant compensation and unfair termination. 4-1) Facilitators of leadership: confidence and passion for nursing and external support and resources. 4-2) Barriers to leadership: non-supportive organization culture and deficiency in own leadership competencies. 5) Strategies of leadership development: strengthen leadership through self-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clinical nurses' leadership role in healthcare. Enhanc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leadership programs focused on enlarging leadership experience, constant self-development, leadership training, and development of leadership competencies suited to the nursing environment.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and Classroom Practice of Practical Problem-Focu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 고미영;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9-17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들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에서 중학교에서 가정교과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 150명의 설문지 응답과 중학교 가정과교사 6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SPSS/Win(Ver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의 목적에 대해서 대부분이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가정과교사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 정도는 낮았으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과 실행 정도에 상관관계가 없어서 가정과교사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부조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특성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과 실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특성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이 유의하게 차이나지 않았으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실행 정도의 경우 교사의 교직경력, 발령교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직업 만족도에 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과 실행 정도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실천적 수업의 필요성 인식보다 실행 정도와의 상관관계가 더 컸다. 이로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선행연구에서 밝힌 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검증 뿐 아니라 교사의 직업만족에도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동료교사와 자료 및 정보공유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을 촉진하는 요인이며, 수업시수나 시간 부족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련 교수 학습 과정안과 같은 학습 자료의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수업시수의 확보, 이 수업의 밑바탕에 깔린 가정교과철학관련 연수, 이 수업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게 하는 장기간의 교사 연수를 필요로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