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classification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3초

네이밍 에이전트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 에이전트의 협력 및 노드 이주 기법 (Collaboration and Node Migration Method of Multi-Agent Using Metadata of Naming-Agent)

  • 김광종;이연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1호
    • /
    • pp.105-11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멀티 에이전트 모델에서 각 에이전트의 협력 방법을 제안하고 네이밍 에이전트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MA(Mobile Agent)의 노드 이주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멀티 에이전트의 협력은 에이전트 시스템의 안정성과 분산 환경에서의 정보 검색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멀티 에이전트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네이밍 에이전트는 상호 에이전트를 식별하고 특정 객체를 참조하도록 에이전트 이름을 지원하며, 각 에이전트는 이러한 고유의 이름으로서 특정 객체를 참조한다. 또한 네이밍 에이전트는 에이전트 특성에 따라 SPA(Server Push Agent), CPA(Client Push Agent) 및 SPA(Server Push Agent) 등으로 각 에이전트를 분류하여 네이밍 서비스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정 MA에 노드 이주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MA의 노드 이주 시 적중 문건의 수, 적중률, 노드 처리 시간 및 네트워크 지연시간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노드 이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통합된 네이밍 서비스를 위한 네이밍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적중 문건의 수, 적중률 및 탐색 문건의 수 등으로 구성된 메타데이터 구조를 보인 후, 멀티 에이전트의 협력을 통한 메타데이터의 생성과 갱신 및 적중 문건의 수에 따른 노드 이주 방법을 보인다.

실리콘 코높임술 후 코 부위 외상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Nasal Trauma in the Implanted Nasal Prosthesis)

  • 최석민;최환준;김철한;안형식;강상규;정성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597-602
    • /
    • 2008
  • Purpose: Presently, silicone rubber is chosen most frequently for nasal augmenta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extrusion with this material. Sometimes, noses are prone to be traumatized, and then silicone rubber has a possibility of deformity or deviation resulting in trauma. We experienced cases with complications and traumatic deformities after the augmentation rhinoplasty.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lanted nasal silicone prosthesis after trauma. The patients' data such as deviation of implant, shape of fracture, age and sex of the patient, time of treatment, operative methods were reviewed. From March 2001 to March 2008, this stud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The patients were 25 females and 5 males, from 24 to 60 years of age, with an average of 42. All patients had previous augmentation rhinoplasty with silicone implant. Results: All of the 30 patients were confirmed as deviation of silicone and nasal bone fractures in the facial bone CT scan. The most common cause of fracture was traffic accident. The classification of nasal trauma after augmentation was done by facial bone CT. Class I: Deviation of silicone without nasal bone fracture without extrusion(12 cases, 40%), Class II: Deviation of silicone without nasal bone fracture and with extrusion(4 cases, 13%), Class III: Deviation of silicone with nasal bone fracture and without extrusion(8 cases, 27%), Class IV: Deviation of silicone with nasal bone fracture and with extrusion(3 cases, 10%), Class V: Mild deviation of silicone with nasal bone fracture(3cases, 3%). Specially, the comminuted or trapezoid nasal fracture was confirmed in 11 cases(Class III, IV). Conclusion: The problems of silicone implant have generally been related to foreign body reactions, rigidity of the material, encapsulation, infections, and extrusion. We experienced 11 cases of comminuted or comminuted trapezoid shaped fracture below nasal implant. So, we think this phenomenon could be used in late problem of silicone implant.

위험도 기반의 하수관로 CCTV 조사 우선순위 결정 연구 (Sewer CCTV Inspection Prioritization Based on Risk Assessment)

  • 손주영;이재현;오재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85-592
    • /
    • 2017
  • 도심 내 매설된 대다수의 하수관로는 노후가 심각하게 진행되어 파손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시개발의 집중도가 높아 인구밀도나 통행량이 많으므로 하수관로가 붕괴되면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관로 파손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한정된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파손의 가능성과 피해의 규모를 동시에 고려한 위험도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여 위험도 기반의 하수관로의 조사 우선순위 결정 방법을 도출하였고 도심지 배수분구에 적용 검토하였다. 우선, 서울시 하수관로 GIS DB를 통해 확보 가능한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각 영향인자들의 가중치, 구분항목, 영향점수를 결정하여 가중치 환산법으로 하수관로 파손결과를 산정하였다. 또한, 하수관로의 예상 내용연수 대비 사용연수를 계산하여 파손가능성을 도출하였으며, 내츄럴 브레이크 방법으로 파손결과와 파손가능성을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위 방법을 서울시 내 위치한 소규모 배수분구에 적용하여 위험도 매트릭스와 위험도 등급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 대상의 26%가 위험도 4-5등급인 CCTV조사 우선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위험도 기반의 CCTV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활용하여 조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대상을 체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거골 골절 및 탈구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and Treatment of Fracture-Dislocation of Talus)

  • 이동철;김세동;정해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02-311
    • /
    • 1992
  • 1984년 부터 1991년까지 영남대학 병원에서 치료한 거골 골절 및 탈구 환자에서 최장 8년에서 최단 1년간 원격 추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30세 나이로 활동기 연령군이였으며, 전부 남자이었다. 2. 손상원인은 추락사고가 대부분이었으며, 교통사고, 스포츠손상 순이었다. 3. 거골 골절 및 탈구는 Marti-Weber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Type I 1례, Type II 1례, Type III 4례, Type IV 5례이였다. 4. 치료는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6례에서 시행하였고, 나머지 5례는 도수정북솔로 치료하였다. 5. 치료 결과에 대한 평가는 Hawkins 등급 점수표를 이용하여 약 64%의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으나, Type IV에서 결과가 좋지 않았다. 6. 합병증으로는 무혈성 괴사가 3례, 퇴행성 관절염이 8례, 불유합이 1례로 퇴행성 관절염의 빈도가 약 70%를 차지하였고, 거골하 관절에서 대부분 발생하였다. 7. 관절의 운동범위에서 건측에 비교하여, 족관절은 약 74%에서 유지되었으며, 거골하 관절은 건측에 비해 약 43%로 감소되었다. 이상에서 거골 골절 및 탈구시에는 빠른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을 실시하고, 술후 적극적인 재활 치료를 하여 무혈성 괴사증이나, 퇴행성 관절염의 합병증을 줄이면 이차적인 수술을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족관절의 기능도 가능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완골 근위부 분쇄성 골절 및 탈구에서 시행한 견관절 반치환술 (Hemiarthroplasty in Comminuted Fracture and Dislocation of the Proximal Humerus)

  • 황성관;김용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205-211
    • /
    • 1998
  • 저자들은 상완골 근위부의 골절탈구로 일차성 견관절 반치환술로 치료받은 환자 25례중 14례를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례에서 동통은 소실되거나 완화되었으나 Neer의 평가에 따라 총 14례중 5례에서만 만족할만 한 결과를 믿었으며 나머지 9례에서는 불만족한 결과를 보였다. 2. 수상시 상완곤두의 분쇄상이 심하거나, 수술이 지연되어 골편치 연화가 심한 경우 상완골 길이와 humeral offset의 유지가 힘들었으며, 견관절 반치환술 시팽한 측이 정상측보다 1cm 이상 단축을 보인 경우가 5례였으며 이 경우 능동적 견관절 운동범위가 정상측보다 감소되었다. 3. 견관절 반치환술은 분쇄상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 사용되어지며 동통의 감소와 기능의 호전은 있으나 완전한 회복은 어려우며 수술시 연부조직 손상이 적고 적당한 후염각, 결절의 재건 과 회전근개의 수복은 필수적이다. humeral offset과 길이의 유지는 술 후 능동적 견관절 운동 범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환자의 협조하에 체계적인 재활운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복부 고형장기 손상을 동반한 안정 골반골 골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 박상준;김선휴;이종화;안력;홍은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3권2호
    • /
    • pp.57-6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9 of patients with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 stable pelvic bone fracture according to Young's classification is defined as a lateral compression type I and antero-posterior compression type I.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injured group) and one without (non-injured group)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to evaluate the depend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presence of an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Data including demographics, mechanism of injury, initial hemodynamic status, laboratory results, Revised Trauma Score (RTS),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Injury Severity Score (ISS), amount of transfusion, 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ICU), and mortality were analyzed. Results: The subjects were 128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2 years old, of whom were 67 male patients (52.3%). The injured group had 21 patients(16.4%), and the most frequent injured solid organ was the liver. Traffic accident was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and lateral compress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fracture in all groups. Initial systolic blood pressure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the ISS was greater in the injured group. Arterial pH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shock within 24 hours after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more frequent in the injured group. Transfused packed red blood cells within 24 hours were 8 patients(38.1%) in the injured group and 11 patients(10.3%) in the non-injured group. Conservative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therapeutic modality in all groups. Stay in the ICU was longer in the injured group, and three mortalities occurred.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cide on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pla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for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with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nd for patients with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long with multiple associated injuries.

비골골절에 대한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Nasal Bone Fracture)

  • 임광열;김홍일;안성민;황소민;정용휘;송제니퍼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85
    • /
    • 2011
  • Purpose: Nasal bone fracture is the most common facial fracture. Although nasal bone fractures are considered to be minor injuries, the incidence of post-traumatic nasal deformity remains high. This study is designed to support management and patient satisfaction by classifying the simple nasal bone fracture, and survey the care method and result, which is compared with other studies. Methods: From May 2008 to April 2010, 334 patients with simple nasal bone fractures visited our hospital. The incidence, cause, types of nasal bone fracture, treatment, and complications are analyzed according to clinical examination, patient's record and radiographic image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30 years old, with 74% of the patients having been male, and 26% were female. The highest incidence of this fracture was between late teens to late twenties. The causes of nasal bone fracture were the following: having slipped or fallen down (39%), violence (16%), sports accident (14%), traffic accident (11%), industrial accident (6%), and others (16%). Patient's radiographic images were analyzed by Stranc and Robertson classification, frontal impact plane I was 38%, plane II was 16%, plane III was 1%, lateral impact plane I was 21%, plane II was 21%, and plane III was 3%. On average,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7.2 days after trauma under general anesthesia. Closed reduction of nasal bone fracture was performed in 99% of patients. In patients with septal injuries, septal management was performed in 76.7% of cases. Aesthetic surgery was done on same time in 24% of patients. There were some complications, such as residual nasal deformity (7.2%), nasal obstruction (0.9%) and hyposmia (0.3%).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nasal bone fractures occurred commonly in physically active age groups (age 15~29 years), as a result of having slipped or fallen down, at afternoon and at night time. And it could be treated successfully by closed reduction and septoplasty by 7 days after trauma.

연속류도로 단기 적체 교통량 개념 기반 돌발상황 자동감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IDA(Automatic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for Uninterrupted Flow Based on the Concept of Short-term Displaced Flow)

  • 이규순;신치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23
    • /
    • 2016
  • 기존의 많은 돌발상황 자동감지 알고리즘은 복잡한 구조와 계산 과정, 수많은 매개변수, 그리고 필터링/평활화 같은 선 작업 때문에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고 오보율 또한 높아 많은 교통관리센터로부터 기피 대상이 되고 있는 등 돌발상황감지의 주력 수단으로서 자동 알고리즘의 지위가 위태해진 현실은 매우 우려할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 점유율과 속도 항을 활용하여 적체 교통량이라는 신 개념을 도입, 구조가 아주 간단하면서도 검측 원시자료의 보정이 거의 필요 없는 DiFI(Displaced Flow Index) 기반의 돌발상황 자동감지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DiFI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는 2003년도 내부순환로 검지기자료를 활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2011년도 경부고속도로 검지기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이식성 검사를 이행하였다. 성능평가는 검지율, 오보율, 평균검지시간, 기타 CR, CI, PI를 사용하였는데 100%의 검지율과 2.99%의 낮은 오보율, 1분을 약간 초과하는 평균검지시간을 보였다. 이는 SAO는 물론 국내 현장에 가장 많이 접목된 APID 및 DELOS 등과 비교해서도 모든 면에서 우월한 성능을 보이는 것이었다.

개선된 터널 차수그라우팅 시공 프로세스 적용 및 그 주입시공결과를 이용한 역해석 재료선정방법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Improved Tunnel Water-Sealing Grouting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Inverse Analysis Material Selection Method Using the Injection Processing Results)

  • 김진춘;유병선;강희진;최기성;김석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01-113
    • /
    • 2022
  • 본 연구는 도심지 지하 교통망 건설 중 터널굴착 공정에 적용하는 차수 그라우팅 공사의 과학적 및 공학적인 이론적 기반 체계적인 시공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국내 터널 차수그라우팅 공사의 시공품질을 어느 누가 시공을 하더라도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개선된 터널 차수그라우팅의 주요내용은 크게 터널 차수그라우팅 적용구분과 그라우팅재료에 대한 정의, 지하수 수압조건의 그라우팅과 지하수유입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암반의 특성인자연구 및 그라우팅 시공시 필요한 요소기술 및 주입관리기술들에 검토가 될 수 있다. 세계적인 연구의 추세를 살펴보면 이론적 기반 과학 및 공학적인 그라우팅 분야의 연구가 북유럽국가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등), 일본, 독일 및 미국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 차수 그라우팅 시공기술들의 요소들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을 통해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터널 차수 그라우팅 시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시공 프로세스를 포함한 통합 솔류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항로표지사고 분류체계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Accident Classification for Aids to Navigation)

  • 문범식;김태균;송재욱;김영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28-133
    • /
    • 2023
  • 항로표지가 이용자에게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항로표지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때 가능하다. 만약 항로표지사고가 발생한다면 관리자는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유사한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항로표지사고 관리는 사고의 원인과 종류만 명시할 뿐 별도의 지침이 없어 관리자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사고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23년(00-22년)간 발생한 항로표지사고, IALA의 항로표지 정보 표준인 S-201, 사고의 범주인 교통사고와 해양사고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항로표지사고의 요인은 내부적 원인과 외부적 원인으로 구분하였고, 사고유형은 등탑사고, 부표사고, 장비사고의 3종으로 구분하였다. 1차 항목을 좀더 세분화하여 사고 원인은 계류구, 기상악화 등 7개 항목과 사고 현상(종류)은 등탑파손, 부표유실, 장비고장 등 11개 항목으로 재정립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차후 항로표지사고 통계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