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fermented food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3초

Inhibitory Effects of Kochujang Extracts on the Tumor Formation and Lung Metastasis in Mice

  • Park, Kun-young;Kong, Kyu-Ri;Jung, Keun-Ok;Rhee, Sook-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87-191
    • /
    • 2001
  • Effects of kochujang (Korean red pepper soybean paste) extracts on tumor formation,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in spleen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in liver were investigated in the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mic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samples on lung metastasis of colon 26-M3.1 cells were also evaluated in the Balb/c mice. The injec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traditional kochujang I (TK I, 0-day fermented), II (TKII, 6-month fermented), commercial kochujang (CK, 1-month fermented) and red pepper powder (RPP) significantly reduced tumor formation in Balb/c mice (p<0.05), TKII decreased tumor growth by 46% compared with control, resulting in the smallest tumor weight. The transplantation of sarcoma-180 cells increased the spleen/body weight ratio of Balb/c mice, while TKI and TKll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index (p<0.05). The effect of TKll and CK, fermented kochujang, on the NK cell activity of splenocytes was higher than that of sarcoma-180 cells transplanted control group. TK II recovered the activity of hepatic GST that was decreased by the transplantation of sarcoma- 180 cells in to the mice. All kochujang-treated mice had significantly fewer lung metastatic colonies than control mice. TKII w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ng lung metastasis of colon 26-M3.1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ptimally ripened (6-month) TK had more suppressive effects on tumor formation and lung metastasis than RPP and kochujang without fermentation and commercially prepared kochujang in mice.

  • PDF

김치유산균(Weissella koreensis HO20, Weissella kimchii HO22)으로 발효한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이를 이용한 절편의 제조 (Fermentation of rice flour with Weissella koreensis HO20 and Weissella kimchii HO22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use in the making of jeolpyeon)

  • 최혜정;이화원;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7-274
    • /
    • 2013
  • Demand for a rice cake, a popular traditional food in Korea, is rising, but its industrial-scale production is extremely difficult due to its short shelf-life caused by starch retrogradation and microbial spoilage. By means of the sourdough fermentation technique, we attempt to develop rice cakes with a longer shelf-life.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Weissella koreensis HO20, Weissella kimchii HO22) isolated from kimchi were used to ferment wet-milled rice flour for their abilities to produce exopolysaccharides and to inhibit the microbial spoilage of rice cakes. After 24 hr of fermentation at $25^{\circ}C$, viable cell counts in rice dough increased from $10^6$ CFU/g to $10^8$ CFU/g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05% to 0.20%, whereas pH decreased from 6.5 to 5.1. Fermented rice flour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ak, trough, and final viscosities as well as breakdown and setback viscosities measured by rapid viscoanalyzer. Both lactic acid bacteria showed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enicillium crustosum isolated from rice cakes. The antifungal activity remained constant after the treatments with heat, proteinase K and trypsin, but fell significantly by increase of pH. Rice cakes made of fermented rice flour were found to retard mycelial growth of P. crustosum.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as measured by the hardness of the rice cak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use of fermented rice flour. The results suggest that use of fermented rice flour has a beneficial role in retarding starch retrogradation and in preventing fungal growth, hence extending the shelf-life of rice cakes.

고초균에 의한 탈지대두 grits 발효물의 항혈전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Antithrombotic and Cholesterol Reduction Effects of Defatted Soybean Grit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NUC1)

  • 이성규;김현정;임남경;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3-4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탈지대두 grits(DSG)와 B. subtilis NUC1균주로 발효시킨 탈지대두 발효물(FD)을 제조한 다음 열풍건조한 시료를 물 추출하여 이들 DSG 물추출물(DW)과 발효된 DSG 물추출물(FDW)의 항혈전 활성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FDW는 DW보다 항혈전 활성 및 혈소판의 응고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유의적으로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가졌다. 그러나 DW와 FDW 처리군 둘다 HepG2 세포를 이용한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능을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세포 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흡착능에서는 FDW만 약 90% 정도의 높은 흡착능을 보였고, DW는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발효된 DSG는 원료인 DSG 보다 항혈전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죽염 자리젓의 품질 특성 및 정미성분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Fish, Jari-Jeot with Bamboo Salt)

  • 박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66-673
    • /
    • 2012
  • 젓갈은 전통적인 수산 발효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높은 염 함량을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문제시 되고 있는 염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일반 염 대신 죽염을 첨가한 자리젓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성분 및 미생물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리젓 숙성 후 저장기간 동안의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죽염을 사용한 자리젓 시료가 일반염 사용 시료에 비하여 미생물 수가 적은 결과로부터 미생물의 생육은 일반염과 비교하여 죽염에 의해 더욱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저장기간 중의 pH의 변화는 일반염이나 죽염을 사용한 경우 모두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그리고 b값은 저장기간 중 일반염, 죽염 공히 지속적으로 큰 변화 없이 진행되었으며, 일반염과 죽염을 사용한 자리젓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중 큰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자리젓의 염 종류와 염도의 차이에 따른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염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분의 함량이 높아졌으며, 또한 죽염 25%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죽염을 사용한 시료의 경우가 수분함량이 약간 적었다. 핵산관련물질의 정량실험에 있어서는 일반염, 죽염 공히 다른 ATP분해 산물과 비교하여 hypoxanthine의 축적이 숙성기간 중에 더욱 진행되었다. 일반염과 죽염 첨가 자리젓의 유리아미노산 분석을 수행한 결과, lysine,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leucine, isoleucine, arginine 및 histidine이 많아 총 유리아미노산의 69~74%를 차지하였으나 taurine은 극미량 검출되었다.

전통된장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A Plan for Improving Quality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 최동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8-223
    • /
    • 2003
  • This study is proceeded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method for making soybean paste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Fermentation condition of Meju was 1) Pre-fermentation : 30 days in about 20$^{\circ}C$ room, 2) Main fermentation : 5 days in 30$^{\circ}C$ or upper temperature, 3) Post fermentation and drying : 30 days in well sunlightened room in January. Meju was soaked in 18% salt solution(Meju 7kg/salt solution 20L) for 35~40 days (from late February to early April) and after soaking Meju was filtered as unsoluble solute and crushed and put into traditional Korean receptacle(named 'Dok'). Crushed Meju was stored from early April to mid September and Meju was changed into soybean past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amino acid nitrogen in Doen-jang was slightly increased in early period and decreased lately. It has been proved that by panel test soybean paste made by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as more excellent than commercially fermented soybean paste.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production of soybean paste made by traditional method.

지역별 옹기에서 발효된 한국 전통간장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from Different Regions)

  • 박선영;이상기;박수인;김인용;정윤화;유성률;신삼철;김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47-85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전통간장을 각기 다른 지역별 옹기에서 숙성시키면서 변화하는 색도, protease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120일간 지역별 옹기에서 발효한 간장의 색도는 적색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갈색도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120일째 예산 옹기 간장의 갈색도가 가장 높았다. 간장의 protease 활성은 발효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강진 옹기의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모든 지역 옹기에서 발효된 간장은 발효될수록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강진 옹기의 간장은 총 페놀 함량(16.6 mg GAE/mL), FRAP(54.3 mg AAE/m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43.6%)이 지역별 옹기 중에서 가장 높았다. 갈색도와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성은 낮으나 protease 활성과 총 페놀 함량과의 상관은 높았다(R=0.85). 120일 동안 발효된 간장의 항산화 활성, protease 활성, 갈색도, 총 페놀 함량은 지역별 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시판된장의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Isoflavone의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 오만진;정재홍;김종생;이상덕;최성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5
    • /
    • 1998
  • In order to establish the quality standard of commercial soybean paste, pH, color, moisture, crude protein, isoflavone, free amino acid and organic acid contents of the fermented soybean food in both traditional and commercial products were analyz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from 5.0 to 11.9% in commercial soybean pasted of Samjang and traditional soybean paste of Chungugjang, and the latter showed higher value than those of the former. The contents of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were less than those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Total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were distributed from 301 to 4,602mg%, respectively, in which Chungugjang showed the smallest value of 301mg% and the traditional soybean paste showed the most abundant one of 4,602mg%. The ratio of glutamic acid to total free amino acids were 15.9% and 30.1% i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commercial soybean paste, respectively. The major organic acid both commercial soybean paste and Samjang was citric acid containing 109.9~196.5mg%. On the other hand, tha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Chungugjang was oxalic acid containing 82.8~130.1mg%. This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brewed periods, microflora, processing methods and used raw materials.

  • PDF

전통 식혜의 기호도와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Actual Condition of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ikhe)

  • 김향희;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06-514
    • /
    • 2006
  • Sikhe a general Korean traditional drink, is a sweet drink fermented with malt powder rice(or glutinous ric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behavior of Sikhe, 35.2% of the male and 64.8% of the female adults in Daegu and Kyungbuk area were surveyed. The methods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36.1% of the participants usually preferred the traditional drinks and 94.7% of them had experienced Sikhe among the traditional drinks. Most respondents liked Sikhe owing to its good taste. In addition, the responses to 7 questions about the Sikhe were also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statement 'Sikhe is a traditional food' and 'Sikhe is a natural food' received high positive responses and adults in their 50's had a generally better knowledge of Sikhe than the counterparts. furthermore, 54.8% sometimes purchased commercial Sikhe, but 40.7% didn't buy it at all due to bad taste. Therefore, to increase the intake of commercial Sikhe, the taste needs to be improved, and 59.8% of adults suggested that 'Add other ingredients and the taste can be improved', while 58.8% replied 'maintenance' prospects for Sikhe consumption.

  • PDF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발효식초 유래 다당의 화학적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Vinegar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 김동수;허병석;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199
    • /
    • 2015
  • 전통발효식초의 면역증진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원재료로부터 제조된 국내외산 6종의 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화학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6종의 발효식초 유래 조다당 중에서 국내 현미 식초 유래 조다당(KBV-0)과 일본 현미식초 유래 조다당(JBV-0) 및 국내 감식초 유래 조다당(KPV-0)에서 발효식초 대비 높은 수율이 얻어졌으며, in vitro 상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우수한 interleukin(IL)-6의 생산 유도 활성을 보여 고 면역활성 다당으로 선별하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편 선별된 발효식초 유래 3종의 다당 획분 KBV-0, KPV-0 및 JBV-0는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지만 KBV-0와 KPV-0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ITCH_{50}$ 62% 및 65%의 활성을 보여 JBV-0에 비해 높은 항보체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KBV-0, JBV-0 및 KPV-0는 mouse 복강 macrophage에 대해 특별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IL-6, IL-12 및 TNF-${\alpha}$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KPV-0의 활성이 각 처리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전통발효식초에는 타 영양성분 외에 특이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초 유래 다당이 인체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추정하게 하였다.

김치젖산균에 의한 당근 발효음료의 물리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 조순자;오수명;장은경;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0-21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당근을 이용하여 점질물 생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당근주스로부터 분리한 후 당근 발효음료 제조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발효 당근음료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당근 생즙으로부터 분리된 점질물 생성 젖산균은 16S rDNA sequencing에 의해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으로 동정되었다. Dextran의 최적생산을 위하여 $0{\sim}20%$(w/v)의 sucrose를 첨가한 당근 주스를 $25^{\circ}C$에서 24시간 발효한 결과, sucrose 농도 15%(w/v)일 때 발효 당근음료의 점조도가 $3.5\;Pa{\cdot}s^n$으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pH 3.8, 산도 0.88%를 나타내었다. 최적 조건에서 발효한 당근발효음료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circ}C$에서 4주 동안 저장한 결과 pH 및 산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점조도 값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발효 및 저장 기간 중의 ${\beta}-carotene$ 함량의 변화는 발효 전에는 $142\;{\mu}g/mL$에서 24시간 발효 후에는 $72\;{\mu}g/mL$으로 49% 파괴율을 나타내었다. 냉장 저장 1주에는 $54\;{\mu}g/mL$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젖산균을 이용하여 당근주스의 젖산발효를 수행하는 경우 탄소원 sucrose를 첨가함으로써 dextran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당근 발효음료의 침전물 억제 및 물성 개선을 할 수 있었다. 특히, 당근발효음료는 냉장 저장 4주 동안에도 색, 맛, 풍미, 물성 및 기능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