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heid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19초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방사조직(放射組織) 특성(特性)에 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硏究) (Anatomical Studies on the Features of Rays in Compression Wood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 정연집;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19-131
    • /
    • 1989
  • 본(本) 실험(實驗)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잘 형성(形成)된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의 굽어진 수간(樹幹)과 곧은 지재(枝材) 및 지면(地面)에 노출된 측근(測根)에서 압축이상재율(壓縮異常材率)과 편심율(偏心率)변이에 따른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과 방사조직(放射組織)의 수량적(數量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 검토(檢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본(本) 시험(試驗)에서 수간(樹幹)은 지상(地上)에서 수고방향(樹高方向)으로 상승함에 따라, 지재(枝材)는 수간(樹幹)에서 가지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압축이상재율(壓縮異常材率)과 편심율(偏心率)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20cm간격으로 각각 4개씩의 원판(圓板)을 채취(採取)하여 시편(試片)으로 사용(使用)하였다. 또한 근재(根材)는 압축이상재(壓縮異狀材)가 가장 양호(良好)하게 형성(形成)된 부위(部位)에서 한 개의 원판(圓板)을 채취(採取)하여 사용(使用)하였다.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횡단면상(橫斷面上) 가도관(假導管)의 둥근형태(形態), 춘재(春材)로 부터 추재(秋材)로의 매우 점진적(漸進的)인 가도관이행(假導管移行), 가도관선단부의 뒤얽힘 및 나선강(螺旋腔)과 세포간극의 존재 등 측면재(側面材) 및 대응재(對應材)와 다른 특성(特性)을 나타냈으며, 압축이상재율(壓縮異常材率)과 편심율(偏心率)이 작아짐에 따라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간조직학적(側面材間組織學的) 특성(特性)의 차이(差異)가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특성(特性)은 유지(維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단위면적 당 수직 수지구수는 대응재(對應材)다 적었으나 단위연륜당 수직수지구의 수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대응재(對應材)보다 많았으며 단위면적당 방추형방사조직(紡錘形放射組織)(평균수지구(水平樹脂溝)의 수(數와) 단열방사조직(單列放射組織)의 수(數)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간(側面材間)에 차이(差異)가 없였다. 그렇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방추형방사조직(紡錘形放射組織)과 단열방사조직(單列放射組織)의 폭(幅)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보다 넓으나 이들의 세포고(細胞高)는 낮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어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의 폭(幅)과 세포고(細胞高)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고유한 특성(特性)이라 생각되었다.

  • PDF

Investigation of Layered Structure of Fiber Cell Wall in Korean Red Pine by Confocal Reflection Microscopy

  • Kwon, Ohky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2호
    • /
    • pp.61-67
    • /
    • 2014
  • Layered structures of fiber cell wall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were investigated by confocal reflection microscopy (CRM). CRM micrographs revealed detailed structures of the fiber cell wall such as S1, S2, and S3 layers as well as transition layers (S12 and S23 layers), which are present between the S1, S2, and S3 layers. Microfibril angle (MFA) measurement was possible for the S2 and S3 layer in the cell wall.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CRM is a versatile microscopic method for investigation of layered structures and MFA measurement in individual sub layer of the tracheid cell wall.

은행나무 유식물에 있어서 반응조직의 분화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Anatomical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of Reaction Tissues in Ginkgo biloba L. Seedling)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285-292
    • /
    • 1990
  •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Ginkgo biloba seedling in horizontal position. The righting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took place at the middle portion and gradually proceeded to the base during the primary growth. Reaction tissues we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igh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compression wood was gradually developed on the lower side only. The anatomical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also extended longitudin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where it coincid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occurs acropetally from basal to apical portion. Eventually, som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occurred at the primary growth. And the typical compression wood is gradually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ary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tracheid and ray were long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side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However, difference in the width of ray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ides.

  • PDF

Characterization of Burned Architectural Woods by Fire Using SEM-EDXS and Computerized Tomography

  • Lee, Hyun-Mi;Hwang, Won-Joung;Lee, Dong-Heub;Son, D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16-522
    • /
    • 2014
  • Old architectural wood materials damaged by a fire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wood specie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bservation of wood tissues in combination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S) analysis. Results of SEM observation showed that tracheid wall thickness of burned parts was very thin compared with undamaged and sound wood, and tylosoid in the resin canals disappeared after the exposure to fire. SEM-EDXS analysis indicated that carbon and oxygen peaks occurred in the original energy band, and the carbon peak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xygen in the burned part. A computerized tomography was also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arbonization layer formed by fire and possible internal defects.

Solanum nigrum L.의 약배양에 관한 연구 II (Studies on The Anther Culture of Solanum nigrum L. II)

  • 한창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2호
    • /
    • pp.7-10
    • /
    • 1971
  • Haploid cell obta-ined from microspores of Solanum nigrum were cultured on two kinds of medium, "Callus-inducing medium" and "Differentiation medium", in order to conduct histological studies of callus and examine differentiation of plantlets. On the callus-inducing medium the calli grew rapidly. The bulk of callus mass was light brown colored "Wet callus" covered on the surface with thin layers of rough and gleaming "White callus". The wet callus was consisted of parenchyma and meristematic tissues, while the white callus had no meristematic tissues. Large parenchyma cells, by successive divisions, became multicellular or poly nucleate cells which developed later to be meristematic tissues. The calli embedded on the differentiation medium quickly turned to dark brown color. Plantlets, however, came out later from these blackened callus mass. In the callus sectioned about ten weeks after imbedding on the differentiation medium, radially elongated tissue, concentric tissue, epidermis, tracheid-like structure, and plant jprimordia were observed.ure, and plant jprimordia were observed.

  • PDF

벼의 약배양에 관한 연구 2. 분화배지에 이식된 Haploid Callus의 발생 및 분화 (Studies on the Anther Culture of Rice 2. Histological observation of haploid callus inoculated on differentiation medium)

  • 한창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3호
    • /
    • pp.17-19
    • /
    • 1970
  • Histological observation of micropore-originated haploid rice callus was reported previously.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growth or development of the calli when they were transferred to differentiation media prepared exclusively for differentiation of plantlets. When the callus was transferred to differentiation medium, the cells and tissues became radially elongated. Meristematic tissues were present but few in number, and their structur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grown in the propagaton medium. Differentiation of tracheid, chloroplast, and epidermis-like cell layer, and formation of gap in the callus tissue were more conspicuous in differentiation media. Approximately ten days after transfer of callus to differentiation medium, plantlet was formed.

  • PDF

무리우산버섯균의 배양적 특징과 목재부후 특성 파악 (The cultivate characteristics and the wood rotting ability and type of the Kuehneromyces mutabilis Sing. et A. H. Smith)

  • 윤대령;채정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92-199
    • /
    • 2004
  • 무리우산버섯균의 기초적인 자료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인공재배 및 균사체 대량증식법 등의 연구에 있어서 발판이 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된 무리우산버섯균은 액체배지의 경우 Glucose pepton에서 202mg/18일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고체배지는 YMG배지에서 81mm/8일로 가장 좋았다. 2. 균사생장 최적 온도는 $20{\sim}25^{\circ}C$이며, 최적 산도는 pH 5.5~6.0 이였으나 pH 6.0~7.0에서는 생장이 급속히 감소하였다. 3. 무리우산버섯균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영양원으로 탄소원에는 다당류인 Inulin이였으며, Dextrose를 제외하고는 균사생육에 있어서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질소원으로는 무기태질소원인 $NaNO_3$였으며 다른 질소원들은 생장이 저조하였다. 4. 최적 톱밥배지 선정에 있어서 졸참나무가 가장 좋았으며 미송, 아카시나무, 상수리나무, 포플러 순으로 생장이 좋았고, Corn cob의 경우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5.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목섬유의 세포벽의 일부분이 침식되고 세포 내강에서 중간층으로 점차 얇아지는 박벽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6. 균사의 밀도는 도관과 방사유세포에 높게 나타났고, 일부 목섬유에서도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도관 내에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목섬유와 유세포에 비해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7. PDA배지에 tannic acid를 첨가한 Bavendam 반응에서 배지의 재색이 암갈색으로 변하는 양성 반응을 보여 리그닌 분해 효소중의 하나인 laccase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8. Dry weight에서 5.9%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6.07에서 4.31로 배지가 산성화 되었다. 또한 온수추출물에 있어서 톱밥과 미강(4:1 w/w)의 경우 12.98%의 추출량을 보여주었으며 무리우산버섯균이 배양된 배지의 경우 8.56%를 보여주었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 수간의 조직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Kom.) Ohwi] Stem)

  • 이보덕;박병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7-292
    • /
    • 2009
  • 최근 천연의 의약품과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약리성분이 우수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겨우살이 [Viscum album var. coloratum(Kom.) Ohwi] 와 겨우살이의 기주식물인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가지의 조직특성을 조사하고 인공재배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겨우살이 종자가 기주목에 부착되면 종자로부터 성장한 흡기가 수피를 뚫고 들어가 형성층 부위에서 왕성한 세포분열을 통하여 여러 갈래로 분지를 형성하며, endophyte가 수피 속에서 성장하다가 일정한 시기가 되면 수피 외부조직으로 발달하여 줄기와 잎으로 성장하였다. 겨우살이 기주목인 상수리나무의 가지는 심재화가 진행되지 않았지만 타일로시스가 부분적으로 발달한 것은 겨우살이 endophyte의 침투영향으로 생각된다. 겨우살이 줄기의 구성세포는 도관상 가도관, 후벽세포, 방사유세포, 축방향유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엽수로 분류되지만 도관이 분포하지 않았고 도관의 역할을하는 도관상 가도관이 있는 것으로부터 기주목 도관의 벽공과 겨우살이 가도관의 천공부가 결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겨우살이 줄기의 구성세포 분포비율은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후벽세포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겨우살이 조직은 일반 목본식물에 비하여 유세포의 분포비율이 높고 세포내에 많은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었다.

소나무 고목재와 건전재의 물리, 기계, 화학적 특성 차이 (Differences of Physical,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Between Old and New Wood)

  • 심국보;이도식;박병수;조성택;김광모;여환명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1-8
    • /
    • 2006
  • 안동 봉정사 대웅전의 지붕구조로 사용되었던 해체부재와 새로이 벌채된 소나무재의 물리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다. 고목재의 해부학적 분석에 의해 만재부위에서 수지의 응고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열화에 의한 비중의 감소, 가도관의 미세할렬이 발생하였으며, 가도관 미세할렬은 S2층 마이크로휘브릴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목재의 휨강도,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는 모두 35-27% 가량 감소하였으며, 초음파 비파괴시험에 의한 동적탄성계수는 목재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재의 열화는 비중과 동적탄성계수의 측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길이방향 동적탄성계수의 측정으로부터 기계적 성능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목재의 부후를 판정할 수 있는 1% NaOH 추출 결과 고목재에서 부후가 많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목재의 열화는 화학조성분의 분석에 의해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나무의 물성 변화 분석으로부터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목재의 물성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자료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Anatomy of the Korean mistletoe and their haustorial features in host plants)

  • 최경;박광우;김혁진;이재동;구자춘;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1
    • /
    • 2009
  • 한국에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4종, 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등에 대해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주식물별 2차 흡기구조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한국산 겨우살이과 4 분류군을 종과 속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잎에서는 향축면과 배축면의 축, 중앙맥에 발달된 유관속 형태, 후벽세포의 발달 여부 등이, 줄기에서는 횡단면에서 줄기의 전체적인 형태, 큐티클층의 발달 정도, 유관속의 배열, 후벽세포와 수의 발달 여부 등이 표징형질로 조사되었다. 기주별 2차 흡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에서 각각 7종류 및 5종류의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지상부 흡기 발달 정도, 종단면에서 2차 흡기의 모양과 플랜지 발달 여부, 기주내 침투 지역과 흡기 축의 발달 여부, 2차 흡기에서 흡기세포의 위치와 짧은 흡기 가도관의 발달 여부 등 형질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에서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편, 기주식물의 강도와 흡기의 발달 정도에 따라 2차 흡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기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침투 지역, 흡기 짧은 가도관 세포의 발달 등 정성적인 형질들은 기주와 발달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여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징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