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e metals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8초

Determination of Trace Metals in Atmospheric Particulates by Ion Chromatography

  • Lee Yong-Keun;Kim Hak-Chul;Lee Dong 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12호
    • /
    • pp.1045-1049
    • /
    • 1994
  • A simple and fast ion chromatographic method i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nsition metals such as Fe, Cu, Ni, Zn and Co in atmospheric particulates. The method involves acid digestion, on-column preconcentration, and subsequent ion chromatogaphic detection. The precision of the method is less than 3${\%}$ RSD at parts per billion level for the metals studied. No significant interferences are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with this method agree well with those by ICP-AES.

가로림만 표층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특성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Garolim Bay, Korea)

  • 박경규;최만식;조동진;장동준;박소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2호
    • /
    • pp.9-25
    • /
    • 2020
  • 가로림만 퇴적물에서 미량금속의 인위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0년과 2015년 총 77개의 표층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적 특성 요소(입도 및 비표면적)와 지화학적 요소(주성분(Al, Ca, Fe, K, Ba) 및 미량금속(Mn, Cs, Cr, Co, Ni, Cu, Zn, Pb), 유기탄소 및 탄산칼슘)들을 분석하였다. 가로림만 표층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0.51-5.58 Ø(평균 3.98 Ø) 범위였으며 외만에서부터 내만으로 증가하였고, 수로에서 육지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일부 원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 농도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비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미량금속의 농도를 조절하는 요인을 추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총 3개의 요인을 추출(총 변이의 92.7%) 하였다. 요인 1은 총 변이의 71.3%를 설명하였는데 입도 요인이었고, 요인 2는 총 변이의 14.2%를, 요인 3에서는 총 변이의 7.2%를 설명하였다. 배경농도를 이용하여 농축인자를 계산하였다. 농축인자가 1.5 이상인 금속과 그 시료 수는 Cr 4개(정점 1, 16, 27, 39)와 Pb 1개(정점 39)였으나 이 들 금속에 대한 용출 금속 농도에서는 타 시료와 차이가 없었다. 가로림만의 총 금속 농도에 대한 1M HCl 용출 금속 농도의 백분율은 Pb~Co>Cu>Zn~Mn>Ni>Cr 순서로 감소하였으며 Pb은 입도에 따른 변화를 보였으나 다른 금속들은 모래를 제외하면 매우 일정한 값을 보였다. 이 값을 오염된 지역 및 청정 해역과 비교하면 모든 지역에서 Cu, Zn 및 Pb의 농도 수준과 관련없이 금속별 백분율이 유사하였다. 이는 1M HCl 용액과 퇴적물 구성 성분 사이의 반응 여부에 따른 결과라고 판단되고, 농축 정도를 판단하는데 이 용출 비율을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Trace elements analysis in some medicinal plants using graphite furnace-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 Anal, Jasha Momo H.;Chase, Petevin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47-255
    • /
    • 2016
  • Ten trace elements (Mg, Ca, V, Cr, Mn, Fe, Cu, Zn, Mo, and Cd) were determined in seven traditionally used wild medicinal plants of the Nagas in the North-East India viz Cynoglossum furcatum Wallich, Elsholtzia blanda Bentham, Lycopodium cernuum Linnaeus, Potentilla fulgens Wallich ex Hooker, Swertia macrosperma C.B. Clarke, Thalictrum foliolosum DC and Valeriana jatamansi Jones. Plant samples were dried, weighed, digested and analyzed for their mineral distribution level ranging from trace to major elements by graphite furnace-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ll the medicinal herbs studied were found to contain the ten elements analyzed. The elemental concentration is given in mg/kg. Mg and Ca are present in high concentrations in both the roots and leaves of the plant samples. Among trace transition metals Fe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Mn, Cr, Cu, V, Zn, and Mo. Analysis showed that the toxic Cd element was at a lower concentration and is within the permissible limit of FAO/WHO, California standards and United States Pharmacopeia Limit for Nutritional Supplements.

미곡중(米穀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관(關)하여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Rice)

  • 김명찬;심기환;하영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99-305
    • /
    • 1978
  • $1976{\sim}1977$년의 2년간 서부경남 일원에서 생산된 미곡을 도정도, 지역및 품종별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중금속의 함량은 조곡, 현미, 7분도미, 9분도미 순으로 도정도가 커짐에 따라 그 양이 적었으며 각지역과 벼의 품종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미곡중의 중금속 함량은 구리 $0.80{\sim}2.89{\;}ppm,$ 아연 $3.23{\sim}17.60ppm$, 망간 $6.72{\sim}70.25ppm$, 그리고 납은 0.64ppm 이하였다. 3. 조곡에서 니켈과 크롬의 함량은 각각 $2.04{\sim}60.64ppm,\;5.09{\sim}39.95\;ppm$범위이었으며 7분도미와 9분도미에서는 아주 미량이 검출되었다. 4. 수은과 카드뮴은 몇 종의 조곡에서 미량이 검출되었을 뿐 7분도미와 9분도미에서는 추적되지 않았다.

  • PDF

금강 부유물중 미량 금속의 함량과 이동 (Trace Metal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in the Keum River)

  • 최만식;이창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71-381
    • /
    • 1995
  • 금강 기원 부유물중 금속의 함량과 이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류의 한 지점에 서 1년 동안 총 18개 부유물 시료를 주기적으로 채취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주성분 원소(Al, Fe, P, Mn)와 미량 원소(Cr, Co, Ni, Cu, Zn, Cd, Pb, U)를 분석하였다. Al 및 Fe을 제외한 금속들의 함량은 계절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였으며, 유랑이 작고 부유물 농도가 낮은 겨울철에 최대값을, 부유물 농도가 높은 홍수기와 봄철에 최소값 을 보였다. 각 금속별 함량은 중국의 황하와 양자강의 부유물에 비해 Fe, Co, Cr, Cu 및 N은 비슷하였으나 Mn, Zn, Cd, Pb 및 U의 함량은 금강에서 매우 높았다. 이러한 하 천간 금속함량 차이는 집수역의 지질(U) 및 인위적인 영향의 차이(Mn, Pb) 때문으로 해석된다. 금강을 통한 입자상 금속의 이동량은 부유물 농도가 높은 홍수기에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Mn, P 및 Cd을 제외한 모든 금속에서 풍수기 동안 이동되는 양이 전체 이동량의 7%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동 형태별 금속의 이동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유 물중 금속의 존재형태를 쇄절성 및 비쇄설성 부분으로 나누었고, 각 부분의 이동량을 용존상과 함께 비교하였다. 각 금속별 용존상과 비쇄설성 부분의 합이 차지하는 비율 은 총 이동량의 50%(Co)에서 92%(Mn) 범위였으며, Mn>Cd, U>Cu>Zn>Ni>Pb>Co 순으로 이 부분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 PDF

한반도 서·남해 주요 갯벌 퇴적물의 시·공간적 변화: 입도, 유기물, 중금속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Sediments of Major Tidal Flats in the Western and Southern Korean Coasts: Grain Size, Organic Matter, Trace Metals)

  • 김은영;류상옥;최대업;이재환;오하늘;오선관;고병설;김영남;여정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54-63
    • /
    • 2019
  •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강화남단, 가로림만, 증도, 순천만 등 한반도 4개 대표 갯벌에서 시계열 변화에 따른 퇴적환경 및 유 무기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 및 지역별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강화남단 $5.0-5.3{\varnothing}$, 가로림만 $4.5-4.8{\varnothing}$, 증도 $6.1-6.5{\varnothing}$, 순천만 $8.6-8.7{\varnothing}$이었다. 전반적으로 강화남단에서 순천만으로 남하함에 따라 입도가 조립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순천만에서 가장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조사시기별로 강화남단과 증도의 경우 2015년보다 2017년에 평균입도가 보다 세립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열감량은 2015년 순천만에서 15.5%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2016년 8.3%, 2017년 7.0%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 미량금속 농도는 증도와 순천만의 일부정점에서 Zn와 As가 주의기준(TEL)을 초과하였으나 기타 금속의 경우 오염농도 이하의 범위로 분석되어 오염의 개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지역내 퇴적물중 평균입도와 미량금속 농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증도의 경우 수은을 제외한 모든 미량금속과 강열감량이 평균입도와 정의 상관성(r=0.40-0.88, P < 0.05)을 보였다. 반면 순천만의 경우, 입도와 미량금속은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강열감량과 미량금속 간에 음의 상관성(p < 0.05)을 나타내었다. 퇴적물의 미량금속 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농집지수 $I_{geo}$를 계산한 결과, Cu, Zn, Pb, Cd, Hg에 대해서는 1보다 작은 범위로 오염되지 않았고, As의 경우 순천만과 증도의 일부정점에서 약간 오염된 수준에 해당되었다.

2001년 11월 오염시기와 2002년 봄 황사시기 제주도 고산에서의 미량원소 농도 변화 (Concentration Variations of Trace Elements in Gosan, Jeiu During the Polluted Period in November 2001 and the Yellow Sand Period in Spring 2002)

  • 한진석;김영성;문광주;안준영;김정은;류성윤;김영준;공부주;이석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1
    • /
    • 2004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M$_{2.5}$ was measured at Gosan, Jeju for two weeks each in November 2001 and spring 2002. In the latter part of the measurement period of November 2001, designated as the polluted period in this work, secondarily formed ion components as well as primarily emitted elemental carbon were high. PM$_{2.5}$ mass concentration was also high in this polluted period compared with the yellow sand period, in which daily average of PM $_{10}$ peaked up to 520 $\mu\textrm{g}$/㎥. Increase of major components of anthropogenic origin in the polluted period was not correlated with the variation in sea salt components while increase of crustal components in the yellow sand perio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variation in sea salt components. Trace elements were generally higher in the yellow sand period; however, toxic heavy metals such as zinc, cadmium and lead were the highest in the polluted period.d.d.d.

Trace Metals In Several Edible Marine Algae Of Korea

  • Pak, Chan Kirl;Yang, Kyung Rin;Lee, In Kyu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7
    • /
    • 1977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nine kinds of trace metal contents among 79 samples, more than 20 species of edible marine algae collected during 1973∼1975 along the coasts of Korea. Among the metals detected by th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Mg content is variable in 2.09∼13.84mg/g-dry on an average and 5.31mg/g-dry in a mean of green, brown and red algae, whereas Fe is 0.148∼2.343 and 0.747mg/g-dry; Mn 0.015∼0.191 and 0.063mg/g-dry; Zn 0.007∼0.082 and 0.030 mg/g-dry; Cu 0.005∼0.054 and 0.017mg/g-dry; Pb 0.0017∼0.082 and 0.0043mg/g-dry Co 0.0009∼0.0024 and 0.0016mg/g-dry; Cd 0.0002∼0.0034 and 0.0011mg/g-dry, and Cr is 0.0007∼0.0074 and 0.0021mg/g-dry, both on an average and in a mean respectively. The trace metal contents in the seaweeds investigated are variable according to species, collecting seasons, places and kinds of metal It is interesting that in Sargassum thunbergii some metal contents such as Fe, Mn, and Zn are specially high in September1974 through the year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