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tal vitamin A

검색결과 1,387건 처리시간 0.03초

성장배지 혈액 유무가 구강미생물의 적색 형광 발현에 미치는 영향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is affected by blood in the growth medium)

  • 정승화;양용훈;이민아;김세연;김지수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90-295
    • /
    • 2017
  • Objectives: Dental plaque emits red fluorescence under a visible blue light near the ultra-violet end of the light spectrum.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each microorganism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stud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red fluorescence of oral microorganisms that is affected by blood in the culture media. Methods: The gram-positive Actinomyces naeslundii (AN, KCTC 5525) and Lactobacillus casei (LC, KCTC 3109) and gram negative Prevotella intermedia (PI, KCTC 3692) that are known to emit red fluorescence were used in this study. Each bacterium was activated in broth and cultivated in different agar media at $37^{\circ}C$ for 7 days. Tryptic soy agar with hemin and vitamin $K_3$ (TSA), TSA with sheep blood (TSAB), basal medium mucin (BMM) medium, and BMM with sheep blood (BMMB) were used in this study. Fluorescence due to bacterial growth was observed under 405-nm wavelength blue light using t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device. The red, green, and blue fluorescence values of colonies were obtained using image-analysis software and the red to green ratio (R/G value) and red to total RGB ratio (R/RGB value) were calculated for quantitative comparison. Results: The QLF-D images of the AN, LC, and PI colonies showed red fluorescence in all media, but the fluorescence of all bacteria was reduced in TSA and BMM media, compared with in TSAB and BMMB media. Both the R/G and the R/RGB values of all bacte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rowth media without blood (P<0.001). Conclusions: Based on this in vitro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can be affected by growth components, especially blood. Blood-containing medium could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It can be further hypothesized that bleeding in the oral cavity can increase the red fluorescence of dental plaque.

엽산: 2020 영양소 섭취기준과 한국인의 영양상태 (Folate: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 한영희;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30-347
    • /
    • 2022
  • 엽산은 비타민 B군에 속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핵산 합성과 아미노산 대사에서 단일탄소를 전달해 주는 반응의 조효소 역할을 한다. 엽산은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어 성장하는 임신기와 성장기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며, 여성의 임신 전 적절한 엽산 영양상태는 신경관 결손증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엽산 섭취 부족은 빈혈,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심혈관질환, 암, 인지 장애, 우울증 등 다양한 질병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엽산은 전 생애주기 동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0 한국인 엽산 섭취기준의 개정 근거를 살펴보고, 국민건강영양조사로부터 엽산 섭취량과 혈청 엽산 농도를 성별, 연령대별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엽산 섭취기준 개정에 참고할 만한 내용을 제언하였다. 표준체중의 변경에 따라 영아 후기의 충분섭취량과 15-18세의 평균필요량이 2015년과 달리 변경되었으나,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대부분의 연령에서 엽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15-29세 여성의 섭취량이 권장섭취량 대비 매우 낮았다. 임신부와 수유부의 엽산 섭취량도 권장섭취량 대비 60% 이하로 낮았으나, 혈액수준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아 보충제를 섭취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보충제 섭취량도 조사해야 할 것이며, 엽산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서는 생식품, 조리된 식품, 강화식품 중의 엽산 함량에 대한 DB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혈청 엽산 뿐 아니라 적혈구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분석방법에 대한 질 관리가 필요하다.

염장토하 숙성시 나오는 액즙을 이용한 김치의 품질연구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Salt-fermented Toha Jeot Juice)

  • 박복희;오봉윤;조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25-633
    • /
    • 2001
  • 염장 토하젓 부산물인 토하액즙으로 제조한 토하액젓 배추김치와 다른 젓갈(무첨가, 멸치액젓, 새우젓)을 첨가해서 제조한 김치의 맛과 숙성에 관여하는 발효 미생물의 생육 및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의 발효 숙성 중 pH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 감소되다가 pH 4.0부근에서 변화속도가 둔화되었으며, 총산도는 pH와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모든 시료에서 숙성 7일동안 빠르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28일 동안 거의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산화환원전위는 전체적으로 대조구에서 전위값의 변화가 적었으며, 각 시료간에 큰 차이는 없었지만 토하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가장 느리게 변하였고 휘발성 산도는 모든 시료에서 발효 숙성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35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발효숙성 4일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숙성적기 7일째에는 빠르게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대체로 완만히 감소하였다. 비타민 C는 발효숙성 4일에는 모든 김치가 약간 증가했으며, 7일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토하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다른 군들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김치의 발효숙성 중 경도는 숙성 전 기간동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토하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다른 시료에 비해 조직이 덜 물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 발효숙성 중 총균수는 숙성 7일까지는 모든 시료가 비슷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 28일에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젖산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젓갈첨가 김치가 발효 전 기간 중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효모의 수는 토하액젓을 첨가한 김치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토하액젓에 함유되어 있는 chitin oligosaccharide에 의한 산막효모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김치 담금 초기에는 멸치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김치의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토하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유의적으로 좋은 점수를 얻었다.

  • PDF

딸기 '설향' 및 '매향'의 관비재배 시 질소 및 칼리의 공급원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and Potassium Sources o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Seolhyang' and 'Maehyang' in Fertigation Culture)

  • 김승유;장윤아;문지혜;이준구;이상규;차선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441
    • /
    • 2009
  • 본 실험은 국내육성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의 관비재배 시 질소와 칼리의 비종이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체 생육 중 생체중 및 건물중은 두 품종 공히 요소 + 황산가리 혹은 유안(황산암모늄) + 황산가리 처리에서 높았으며 기타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관부직경 등은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딸기의 수량 역시 생육과 같은 경향으로 특히 '설향'에서 요소 + 황산가리와 유안 + 황산가리 처리에서 수량이 높았다. '매향'에서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과실의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 경도 비타민C 등은 처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종료 후 토양분석을 한 결과 토양의 EC는 요소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반대로 유안 처리에서는 크게 높아졌는데 이는 금후 시험에서 식물체에 염류농도 장해를 일으킬만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딸기 관비재배 시 생육, 수량, 토양 EC 농도, 비료의 용해도 등을 고려하였을 시 질소질 비료로는 요소가 칼리질 비료로는 황산가리가 적합한 것으로 추천되었다.

사업장(事業場) 근로여자(勤勞女子)의 영양실태(營養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Nutritional Survey for Working Females at a Factory)

  • 조미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권4호
    • /
    • pp.143-153
    • /
    • 1969
  • 여성(女性)의 노동(勞動)과 영양(營養)의 문제가 근로자의 건강과 생산성(生産性)과의 중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世代)의 건강에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관점에서 1969년 8월 13일부터 8월 20일까지 1주일간(週日間) 서을 시내 소재 한 가발공장 여자 기숙사 근로자 949명(名)에 대하여 식품및 영양 섭취상태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대상자의 신장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중(中) 임의유출법(任意油出法)에 의하여 선정된 44명(名)에 대하여 임상조사 및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조사대상자는 체위(體位)가 표준치(標準値)에 미달(未達)이었고 16세(歲)${\sim}$20세(歲)가 전인원(全人員)의 82%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여자 근로자로서, 노동정도는 중등노동(中等勞動)에 속하였다. 급식(給食)상황에 있어서는 기초식품의 배합이 고르지 못하여 누락된 식품군이 매(每)식단마다 발견할 수 있었다. 완전영양을 위한 균형식사가 여기에 강조되어야 하겠다. 식단(食單)이 너무 단순한 탓으로 저(低)칼로리와 저(低)영양상태를 초래하고 있으며 열량, 단백질의량에 있어서도 권장량보다 부족되며 특히 동물성 단백질량이 부족된다. 그러나 단백질의 질적(質的)문제에 있어서는 비록 그 양은 적으나 75의 단백가(蛋白價)로서 비교적 양질(良質)이다. 여기서 식물성단백질에서 섭취되는 좋은 현상을 발견할수 있다. 그리고 지방질의 섭취량이 평균 1일(日) 1인당(人當) 8.8g으로 매우 적고 무기질 및 비타민의 섭취량도 모두 우리나라 권장량 보다 저치(低値)를 나타내고 있다. 임상조사(臨床調査)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검사결과(檢査結果)에 있어서도 비타민 결핍증과 빈혈(貧血) 특히 철(鐵)결핍성 빈혈을 초래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급식은 장구히 계속 된다면 근로자의 체위저하(體位低下)는 물론 작업능력 및 건강에도 악(惡)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특수환경에 있는 대상에 대해서 앞으로 영양관리와 건강관리에 대한 채선이 시급히 요망된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 PDF

생리활성을 강화한 기능성 축산식품의 연구개발 동향과 전망 (Current Trend and Perspectiv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Biologically - Active Livestock Products)

  • 이복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7-271
    • /
    • 1996
  • Livestock products like meat, milk and egg have been principal food sources for human beings since the historic periods of time. Nowadays consumption of these food items have been avoided due to its high contents of SFA, cholesterol and total fat which are major culprits of chronic adult diseases causing major deaths of peopl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vestock products and diseases is not always true because the amounts of fat and cholesterol and types of fatty acids in meat and meat by-products depend on the part of the meat and types of animals. Although meat intakes do not always cause mai or adult diseases, still the developmental necessity does exist for animal foods equipped with biologically active properties, which in turn can improv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more than ever Meat with high protein lean part and low fat can be produced by applying synthetic somatotropin and beta-adrenergic agonists like clenbuterol, cimaterol etc. during breeding. This application brings benefits like higher growth rate, lower fat contents and improve feed efficiency ratios. Meats fortified with long chain PUFA($\omega$-3 fatty acids) can also be produced by modulating feed composition.Egg Products have faced the reduced sales annually because of its high cholesterol contents. Recently brand eggs fortified with special nutrients or chemical components having functional proper ties in the human body system are very popular Research Interests have been focused on eggs with low cholesterol and high omega-3 fatty acids. Low cholesterol eggs and high omega-3 eggs can be produced in several different ways, but popular way to increase is feeding the feeds with different oil sources containing high omega-3 and 6 fatty acids such as fish oil, perilla oil, linseed oil and lecithin etc. But proper compositon of feed formula should be found and economically beneficial. Brand eggs fortified with vitamin, mineral, unknown growth factors are also manufactured. Low cholesterol and high $\omega$-3 PUFA milk are marketed recently Cholesterol removal technology is not completely established and has several limitations to be overcome. Milk fortified with $\omega$-3 fatty acids is made by incorporating high &13 fatty acid foods in feed despite of extraordinary way of fatty acid metabolism In cow. All these biologically active products will be very beneficial and useful for human consumption when limitation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such as safety and lowered sensory qualities are resolved. Furthermore, thorough and precise tests and quality control for these products should be perform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in terms of improving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in general. However one caution should be pointed out to lay people informing that these items are nothing but a food and not panace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only way of maintaining good health is absolutely through consuming balanced diet.

  • PDF

가열처리한 떫은감 농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능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by boiling)

  • 홍진숙;채경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9-716
    • /
    • 2005
  • 본 실험은 떫은감을 7, 15, 23, 31시간으로 가열하여 제조한 농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 tannin함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떫은감 농축액의 조리적성을 제시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떫은감 농축액의 수분함량은 각각 48.26, 43.16, 36.57, 33.24%로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농축액의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열농축에 의해 조단백질, 조섬유, 조회분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열처리에 의해 많은 양이 감소하였으며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의 폭이 컸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농축시간별 당도는 각각 45, 52, 63, $70^{\circ}Brix$였으며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당도와 점도가 증가하였다. pH는 떫은감의 경우 5.41이었으며 23시간 농축액의 pH가 4.71로 가장 낮았다.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는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떫은감이 가장 높았고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떫은감과 농축액 모두 92% 이상으로 측정되어 대조구로 사용한 기존의 항산화제인 BHA 0.0002% 첨가구의 전자공여능인 43.3%보다 항산화력이 2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떫은감 농축액의 경우 모든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페놀성 물질 중 chlorogenic acid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flavanol tannin(catechin)함량이 높았다. 감농축액에 대한 관능평가는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에서 23시간 농축액이 6.83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그 다음으로 31, 15, 7시간 순으로 좋게 평가되었다. 31시간 농축액의 경우에 단맛은 가장 강하면서 쓴맛, 떫은맛, 신맛이 가장 적고 부드럽게 평가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색과 향이 매우 강해서 기호도가 약간 감소하였다. 반면 23시간 농축액의 경우는 단맛, 쓴맛, 떫은맛, 신맛에 대한 평가가 31시간 농축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상대적으로 색과 향을 적당하게 평가함으로써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3시간의 가열 농축은 31시간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떫은감을 가열 농축하여 제조한 23시간 농축액은 자연적인 강한 단맛을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항산화성과 탄닌성분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식품조리와 식품가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용피의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 이윤상;윤향식;이상영;이정관;박철수;서우덕;김소영;우선희;송인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44-649
    • /
    • 2012
  • The edible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which have essentially vanished in the farmhouses environment and in agricultural germplasm were evaluated with the aim of restoration as a crop. The proximate components and mineral elements of milled millet were nutritionally similar or better than brown rice, and the vitamin contents of $B_1$ and $B_2$ exceeded those of rice by 1.3 times and 2.3 times, respectively. ${\beta}$-Carotene which is absent from brown rice was detected at levels ranging from 15~31 ${\mu}g$ in millet samples. Nine essential amino acids, including histidine and arginine and eight non-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were detected. The sum of all amino acids was determined to be IEC518>525>510 in the range of 69~106 mg/g.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via their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revealed values ranging from 3.4~8.2%, with the total polyphenol component being 51.1~69.4 mg/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bility determined as 8.3~10.9%. In terms of agronom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barnyard millet, three millet varieties(IEC510, 518, and 525) were suitable as edible crops. IEC525 was selected as optimum variety for cultivation on the basis of nutritional ingredients,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nd yield.

Protopectinase를 이용한 참다래의 가공 특성 (Processing Properties of Kiwifruit Treated with Protopectinase)

  • 이대희;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1-406
    • /
    • 2000
  •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조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B.subtilis EK11 유래의 PP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주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Pase를 참다래에 작용시켜 참다래 고유의 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의 파손 없이 단세포를 유리하였다. 참다래 조직으로부터 제조된 단세포화물의 착즙 후 관찰된 회수율과 잔사율은 각각 82%와 18%로써, 기계적 마쇄물에서의 60%와 40%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과 낮은 잔사율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단, sucrose,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에 대해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전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PPase로 처리시 가장 불안정한 비타민 C가 1일 경과 후에도 95% 이상이 보존되는 것으로 보아 단세포에 의한 일반적인 구성성분이 안정하게 유지 보호됨을 알 수 있다. PPase로 처리된 참다래 단세포물을 $4^{\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며 색조를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변색이 일어났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뚜렷한 색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PPase로 처리한 참다래 단세포물을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짧은 처리에도 극심한 변화를 보였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아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Pase는 참다래의 단세포화물에 응용 가능하여 참다래 음료제조 및 원료 보존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 진다. 또한 PPase을 이용한 참다래의 효율성 제고와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한의학 전공 대학생과 식품영양학 전공 대학생의 영양지식과 식생활 태도 비교연구 (A Study of the College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Attitude by comparing those of Korean Oriental Medicine major students and those of Food and Nutrition major students)

  • 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51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habit of the students majoring food & nutrition(218 students) and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286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intake of vegetable and dairy products is high for the students majoring food & nutrition(p<0.01), and the intake of instant food is low for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p<0.01). 2)In the value of diet, the ratio which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 and the nutrients is high for the students majoring food & nutrition (p<0.01), and the ratio which acknowledges the diet as the way to remove hunger or to enjoy eating is high for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p<0.01). The ratio of the students who acknowledge taste, nutrition and preference as th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foods is high for the students majoring food & nutrition(p<0.01). The ratio of regularity in each meal, consuming time, and the food quantity is high for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p<0.01). 3)The total score of 20 inquiring items about nutritional knowledge is high for the students majoring food & nutrition(p<0.01), and especially the mark is high in such items inqui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 fat and nutrition(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obesity(p<0.05), the relationship between cholesterol and food(p<0.01), the recommended energy quantity(p<0.05), and the vitamin B group (P<0.01).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hard to determine that there is inevitabl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et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The students majoring food and nutrition know better than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health and nutrients however they can not practice what they blow when selecting food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 show lower marks in food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than those of the students majoring food and nutrition; however, they show higher marks in practicing regular diet.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ubjects related nutrition in the curriculum not only lot the students majoring food & nutrition to practice their nutritional knowledge in their actual life but also for the students majoring Korean oriental medicine to obtain correct nutri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