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olyphenol contents

검색결과 1,144건 처리시간 0.035초

가열처리한 대추 농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Concentrates Prepared by Boiling)

  • 박병학;채경연;홍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0-19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oking conditions in preparing jujube concentrates using various boiling times (5, 10, 15, 20 hour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concentrate samples ranged from 38.86 to 42.36%.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the 15 hr-boiled concentrate, crude fat was highest in the 20 hr-boiled concentrate and both the 15 and 20 hr boiled concentrates had high crude fiber cont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lor L- and a-values by boiling time; however, the b-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The pH levels of the concentrates ranged from 5.24 to 5.27, and the brix level in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Glucose was the primary of free sugar in the concentrates and its highest level was 102.3 ${\mu}M$ in the 20 hr-boiled concentrate. The 15 hr-boiled concentrate ha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to 46.68%.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concentrates ranged from 21.53 to 24.56%, in which the 15-boiled concentrate had the highest level (24.56%).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15-hr-boiled concentrate again performed well, showing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From these results, 15 hrs was the optimal boiling time for preparing jujube concentrate in terms of obtaining functional compounds and overall product acceptability.

  • PDF

삼잎국화 추출물의 피부세포 생리활성 효과 (Effect of Rudbeckia laciniata Extract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HaCaT Cells)

  • 김준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5-340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obtain vitamin, mineral, flavonoid, and polyphenol profiles of Rudbeckia laciniata (R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extract of RL (RLE) on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aCaT keratinocyte for the utilization of RL as natural raw materials to develop functional food.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hecke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nutrients of RL. The contents of vitamin A, vitamin $B_1$ and vitamin $B_2$ were $7.49{\mu}g/g$, $51.96{\mu}g/g$, and $132{\mu}g/g$ respectively, while vitamin C and vitamin $D_3$ were not detected. The contents of mineral such as Ca, K and Fe were 2.01 mg/g, 6.06 mg/g and 0.03 mg/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RLE were 0.25 mg/g, and total polyphenol were estimated as 1.43 mg/g. Because RL contains high levels of vitamin A which is associated with skin aging,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LE on physiological function of keratinocytes with respect to skin aging. We found that R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HaCaT cells and reduced ultraviolet radiation B (UVB)-induced cellular toxicity. Also, the extract of Rudbeckia laciniata attenuated the UVB-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aCaT cells. In addition, treatment with the extract dose-dependently increased migration activity of HaCaT cells. Thu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RLE could regul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eratinocytes, and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추출용매에 따른 참죽나무 순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edrela sinensis Tender Leaf Powder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김민정;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9-10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식품 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참죽나무 순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얻은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참죽나무 순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섬유, 칼슘과 칼륨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참죽나무 순 분말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함량이 더 높았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또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죽나무 순 분말은 영양성과 식이섬유소의 기능성이 높아 식품의 재료로 이용가능성이 높으며, 참죽나무 순 분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서는 7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 이상일;이예경;최종근;양승환;이인애;서주원;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06-713
    • /
    • 2012
  • $Monascus$ $pilosus$에 의한 발효뽕잎차(FMM: fermented mulberry leaves tea)의 monacolin K 함량, citrinin의 유무, 관능적 품질, total polyphenol 및 total flavonoid의 함량, ROS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ROS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을 건조뽕잎(UFM: unfermented mulberry leaves)과 비교하였다. FMM은 UFM에 비하여 색상 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FMM에 함유된 total monacolin K 함량은 0.056%(dry basis)로 활성형이 83.93%를 차지하였으며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함량 모두 UFM에서 현저히 높았다.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높았으며 UFM이 FMM에 비하여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의 경우도 UFM과 FMM 모두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UFM에서 FMM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Ferrous iron chelating 활성의 경우에도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증가의 정도는 UFM이 FMM에 비해 더욱 강하게 나타났으나, 4.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한편 polyphenol 또는 flavonoid 함량 당의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 및 FRAP는 FMM이 UFM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뽕잎을 $M.$ $pilosus$로 발효시킨 FMM은 홍국의 기능성을 가짐과 더불어 상당히 강한 항산화능과 기호성을 관찰할 수 있어 ROS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쉽싸리(택란) 괴경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 of Lycopus lucidus Trucz Tubers)

  • 양미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3-113
    • /
    • 201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ive preprocess methods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ycopus lucidus Trucz tubers extract. Lycopus lucidus Trucz tubers (LlTT) were treated with D (Dried), SD (Steamed and Dried), ASD (Alcohol-Steamed and Dried), DR (Dried and Roasted), SDR (Steamed, Dried and Roasted), and ASDR (Alcohol-Steamed, Dried and Roasted). Solid content was high in Lycopus lucidus Trucs tubers, which were roasted after drying (especially SDR, ASDR).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high in roasted one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 upon alcohol-steaming in both the dried and roasted groups. Antioxidant activities of LlTT extracts showed effective nitrate scavenging ability,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 a result, roasting or steaming process (especially using alcohol) can be helpful to obtain the highly antioxidative extract of Lycopus lucidus Trucs tuber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arious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 Choi, Hae-Yeon;Jung, Kyung-Hee;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1051-105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The total phenolic contents in leaf, stem, and root were 165, 74, and 30 tannic acid equivalent mg/g of dried extract or fraction respectively. The butanol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lotus parts showe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e similar result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its fraction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Comparative study on the bioactive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ccoli cooked with different methods

  • Eun-Sun Hwang;SiA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79-589
    • /
    • 2024
  • To compare the cooking methods (boling, steaming) for broccoli, the extracts from water or 80% ethanol were us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both fresh and boiled or steamed broccoli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80% ethanol extract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Nine glucosinolates were identified in broccoli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glucosinolate content was found to be higher in steamed broccoli compared to fresh broccoli; however, in boiled broccoli, the glucosinolate content decreased by 5.74-18.64% compared with fresh broccoli. It was confirmed that antioxidant activity decreased through heat treatment such as boiling or steaming compared to unheated broccoli. 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in boiled broccoli than in steamed broccoli.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ould be preferable to use raw or steamed broccoli rather than boiling it in water to minimize the loss of bioactive substances when consuming broccoli.

품종별 고추(꽃고추, 홍고추 및 홍피망)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Study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변의백;박우용;안동현;유영춘;박철환;박원종;장범수;변의홍;성낙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5-770
    • /
    • 2016
  • 꽃고추(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는 Capsicum annuum 속의 변이종으로 열매 성숙과정에 따라 고추의 색이 초록색, 보라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및 검은색으로 변하여 오색고추라고도 명명한다.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생리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의 기능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꽃고추와 국내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2종(Capsicum annuum, 홍고추;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홍피망)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비교해 보았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꽃고추가 국내에서 식용으로 널리 알려진 고추 2종보다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꽃고추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도 다른 2종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가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충분함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토마토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억제활성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tive and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s of Domestic Tomatoes)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79-887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산 토마토의 총 폴리페놀 및 플리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Rafito, Momotaro 및 Medion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44±1.84, 11.14±1.95 및 12.26±1.82 mg/g(dry weight)이었으며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각각 3.62±0.57, 3.24±0.35 및 3.87±0.60 mg/g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뚜렷한 radical 소거활성을 보여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주와 암세포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이 없었고 폐암 세포(A549)에는 생육억제 효과가 없었으나 자궁경부암세포(HeLa)와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의 생육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유용성이 검증되었다.

덖음 시간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 유정식;황인국;우관식;장영득;이철희;정정학;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7-302
    • /
    • 2008
  • 덖음 처리가 감국차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감국 꽃을 $230^{\circ}C$에서 5, 7.5, 10, 12.5 및 15분간 덖음 처리 후 감국 꽃 침출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L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여 차의 색은 점차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총 질소함량은 3.15-3.33%의 범위를 보였고 구성 아미노산은 감칠맛의 주성분인 glutamic acid를 비롯하여 18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Chlorophyll 함량은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nnin,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덖음 시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분 덖음 시 각각 0.63 mg gallic acid equiv./g, 13.85 mg tannic acid equiv./g 및 9.77 mg catechin equiv./g이었다.전자공여능은 15분 덖음 시 9.93%, 총 항산화력은 10분 덖음 시 19.33 mg ascorbic acid equiv./100 g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덖음 감국 꽃차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12.5분, 맛과 향 및 종합적 기호도는 10분 덖음 처리된 차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