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bacterial number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8초

신선 채소류의 부패에 따른 세균의 다양성 변화 및 세균에 의한 채소 부패 조사 (Changes of Bacterial Diversity Depend on the Spoilage of Fresh Vegetables)

  • 이동환;유정일;박소연;노은정;오창식;정규석;윤종철;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38-43
    • /
    • 2011
  • 채소류가 소비되기까지 약 10~30%에 이르는 양이 부패에 의해 버려지고 있다. 채소류는 수확 후 수많은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들에 의해 부패가 이루어진다. 채소류의 부패와 세균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세균의 다양성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신선한 상추와 깻잎, 치커리에서의 총 호기성 균 수는 각각 $2.6{\sim}2.7{\times}10^6$, $4.6{\times}10^5$, $1.2{\times}10^6\;CFU/g$ of fresh weight이었으며, Pseudomonas spp., Alysiella spp., Burkholderia spp.와 그 외의 18개의 다양한 속들이 확인되었다. 신선한 채소류를 $28^{\circ}C$에서 일주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세균 다양성에 변화가 생겼다. 총 호기성 균의 수는 상추와 깻잎, 치커리에 대하여 각각 $1.1{\sim}4.6{\times}10^8$, $4.9{\times}10^7$, $7.6{\times}10^8\;CFU/g$ of fresh weight로 나타났으며, 이는 약 $10^2$배 정도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세균 다양성은 단순해져서 보다 적은 수의 세균이 분리, 동정되었다. Pseudomonas sp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48%), Arthrobacter sp., Bacillus sp.가 그 뒤를 이었다. 동정된 세균 각각의 부패능을 검정하고자 무균배양한 상추에 접종하였으며, 그 결과 Pseudomonas fluorescence와 Pantoea agglomerans가 상당한 부패를 야기하였다.

Effect of Lactobacillus salivarius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incidence, fecal bacterial population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suckling pigs challenged with F4+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 Sayan, Harutai;Assavacheep, Pornchalit;Angkanaporn, Kris;Assavacheep, Anongnar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308-1314
    • /
    • 2018
  • Objective: Gut health improvements were monitored with respect to growth performance, diarrhea incidence, fecal bacterial population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suckling pigs orally supplemented with live Lactobacillus salivarius (L. salivarius) oral suspensions and challenged with $F4^+$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Methods: Two groups of newborn pigs from 18 multiparous sows were randomly designated as non-supplemented (control: n = 114 piglets) and L. salivarius supplemented groups (treatment: n = 87 piglets). Treatment pig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2 mL of $10^9$ colony-forming unit (CFU)/mL L. salivarius on days 1 to 3, then they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5 mL of $10^9CFU/mL$ L. salivarius on days 4 to 10, while those in control group received an equal amount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solution. On day 24 (2 weeks post supplementation), one pig per replicate of both groups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10^8CFU/mL$ $F4^+$ ETEC, then they were euthanized on day 29 of experiment.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pigs in treatment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verage daily gain, body weight and weight gain, and tended to lower diarrhea throughout the study. Numbers of Lactobacillus population in feces of treatment pigs were higher than control pigs, especially on day 10 of study. Numbers of total bacteria in intestinal contents of control pigs were also increased, but not Coliform and Lactobacillus populations.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of villous height and villous/crypt ratio of duodenum, proximal jejunum and distal jejunum parts of treatment pigs compared with controls. Duodenal pH of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Oral supplementation of live L. salivarius during the first 10 days of suckling pig promoted growth performance and gut health, reduced diarrhea incidence, increased fecal Lactobacillus populations and improved intestinal morphology.

Bacterial adhesion and colonization differences between zirconia and titanium implant abutments: an in vivo human study

  • De Oliveira, Greison Rabelo;Pozzer, Leandro;Cavalieri-Pereira, Lucas;De Moraes, Paulo Hemerson;Olate, Sergio;De Albergaria Barbosa, Jose Ricard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2권6호
    • /
    • pp.217-223
    • /
    • 2012
  • Purpose: Several parameters have been described for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dental implants. The surface properties of transgingival implant components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long-term success of dental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endency of two periodontal pathogens to adhere to and colonize zirconia abutments and titanium alloys both in hard surfaces and soft tissues. Methods: Twelv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abutments were connected. Five weeks following the abutment connections, the abutments were removed, probing depth measurements were recorded, and gingival biopsies were performed. The abutments and gingival biopsies taken from the buccal gingiva were analyz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compare the DNA copy numbers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otal bacteria.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abutments was calculated using the sessile water drop method before replacement. Data analyses used the Mann Whitney U-test, and P-values below 0.05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present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NA copy numbers of A. actinomycetemcomitans, P. gingivalis, and total bacteria for both the titanium and zirconia abutments and the biopsies taken from their buccal gingiv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surface energy of the abutments had no influence on the microbiological findings. Conclusions: Zirconia surfaces have comparable properties to titanium alloy surfaces and may be suitable and safe materials for the long-term success of dental implants.

이화학적 수질인자가 부영양화된 마산저수지의 세균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Bacterial Community in Eutrophic Masan Reservoir)

  • 남귀숙;손형식;차미선;조순자;이광식;이상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5-101
    • /
    • 2003
  • 부영양화된 농업용저수지인 마산지(충남 아산)에서 DAPI와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방법을 이용하여 세균분포의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화학적 수질인자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0년 6월부터 11월 동안의 월평균 수온은 12.3~$27.5^{\circ}C$, 수소이온농도(pH) 7.5~9.0, 용존산소량(DO) 7.1~12.8 mg/L의 범위를 보여주었다. 생화학적산소요구량(COD)(6.4-13.0 mg/L)과 엽록소 a(Chl-a)(30.5-99.0 mg/㎥), 총질소(TN)(1.748~3.543 mg/L)는 7뭘, 8월에 높게 나타난 반면, 부유물질(55)(7.5~25.7 mg/L), 총인(TP)(0.104~0.581mg/L)은 9월에 가장 높게 나타나 강우의 영향과 퇴적층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세균수는 0.4~9.6$\times$$10^{6}$ cells/ml로 총세균수를 기준으로 중영양~부영양상태를 나타내었으며, 총균수에 대한 Eubacteria의 비율은 67.6~88.0%로 높은 범위를 보여주었다. 총세균수 및 Eubacteria group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이화학적 수질인자를 검토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결과 수온보다는 Org-N, Org-P등 유기성의 영양염류가 세균군집크기와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Proteobacteria group은 Org-P, Org-N과 가장 큰 영향을, 수온, 전기전도도(EC), COD, 무기질소 등도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C-F group은 Org-N에 HGC group은 수온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외 항목에서는 Proteobacteria group보다 영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DO, BOD, SS등의 항목에 대해서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a와는 유의성있는 상관성이 전혀 없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마산지에서는 식물플랑크톤보다는 강우현상과 그에 따른 유기물질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농업용저수지인 마산저수지의 세균군집의 계절적 분포는 수생태계내의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보다 강우현상 및 호소내부의 유기오염물질변화, 수온 등의 환경요인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오염된 농업용저수지에서 세균군집 변화에 대한 좀더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에서 다양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Activity in the Various Urban Soils)

  • 공학양;조강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69-375
    • /
    • 2000
  • 도시에서 토양을 보존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도시 토양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이처럼 과도하게 관리되고 교란된 토양의 특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인천의 산림, 잔디밭, 가로수, 나지 및 포장 밑 토양에서 답압에 의한 견밀화에 의하여 토양 가밀도가 높았다. 또한 다양한 도시 토양에서 수분함량은 전원지 산림 토양에 비하여 적었고 지온은 높았다. 화학적으로는 도시 토양에서 pH가 중성에 가깝고 유기물 함량이 적었다. 도시 토양의 총세균수는 전원지 산림 토양의 단지 5∼50% 수준이었다. 단계식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토양 유기물함량이 총세균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선정되었다. 대부분의 도시 토양에서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전원지 산림 토양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아스팔트 포장 밑 토양에서는 낮았다 그러므로 견밀한 도시 토양에서 낮은 유기물함량이 물질 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 수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 PDF

의암땜 하류수역의 분변성 오염세균류의 분포 (Occurrence Of Fecal Pollution Bacteria In The Water Of Lake Eui-Am)

  • 최상;김건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9-64
    • /
    • 1970
  • 지표를 스치며 많은 분,지류가 모여 이루어지는 각 하천수에는 적지않은 수량의 세균류가 혼입된다. 이것들은 결국 바다로 유입되어 연안 동,식물에 섭취되거나 또는 부착되어 또다시 우리의 식생활에 이입되는 순환을 거듭하고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각종 질병의 원인이 유발되는 수가 적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수의 세균오염은 우리의 보건위생면에서, 가정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이용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이라고 하겠다.

  • PDF

FISH법으로 분석한 주암호의 세균군집구조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Using FISH in the Juam Reservoir)

  • 박지은;여상민;이영옥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19-225
    • /
    • 2006
  • 빈영양호에서 부영양호로 전이과정에 있는 주암호에서 물질순환과 에너지흐름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균 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수계에 주로 존재하는 ${\alpha}\;{\cdot}\;{\beta}\;{\cdot}\;{\gamma}$-subclass proteobacteria와 Cytophaga-Flavobacterium (CF) group 세균군, 그리고 질소순환에 관여하는 질화세균을 FISH법으로 2005년 4일부터 2006년 1월까지 4회에 걸쳐 검출하였다. 총세균수는 엽록소-a농도가 높을 때 많이 검출되었고 엽록소-a농도가 낮을 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계에 존재하는 물질순환에 관여하는 세균들의 동태를 파악하는데 속(genus)수준의 세균군이 아닌 그룹별세균, 즉 ${\alpha}\;{\cdot}\;{\beta}\;{\cdot}\;{\gamma}$-subclass proteobacteria와 Cytophaga-Flavobacterium (CF) group 세균군을 동정하여 정량화하면 특정 세균군들에 관한 세부적인 정보는 얻을 수 없지만 해당수계의 거시적인 자정작용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변화양상을 보면 빈영양 상태의 호수에서 주종을 이루는 ${\alpha}\;{\cdot}\;{\beta}$-subclass proteobacteria이 4월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남세균 등조류의 번식이 왕성했던 6${\sim}$9월에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는데 이는 이 시기에 우점하던 남세균, M. aeruginosa이 생성하는 독성물질이 이들 세균의 물질대사를 저해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해가 용이한 저분자 유기물을 이용해 빨리 성장하며 배지로 분리배양이 가능한 대부분의 종속영양세균(heterotrohs)을 포함하는 ${\gamma}$-subclass proteobacteria도 조류의 번식이 왕성하던 6${\sim}$9월보다는 4월과 1월에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이시기에 주암호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분해 및 자정작용에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CF group세균군은 1월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비율로 관찰되었다. 아울러 질화순환에 관여하는 질화세균도 동절기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때 수계의 높은 DO가 그들의 활성에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 상·중·하 수역에서의 질화세균군의 변화 (Changes of Nitrifying Bacteria in the Different Zone (Upper·Mid·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 이영옥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4-220
    • /
    • 2008
  • Nitrifying bacteria were detected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method at 6 sampling sites with different eutrophication degree in the Nak-Dong River and their tributaries. And conventional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NH_4-N$, $NO_3-N$, and TN were determined concurrently. In rainy period (July),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ammonia/nitrite-oxidizing bacteria detected at each site except Sang-Ju and the ratio of nitrifying bacteria to total counts stained by DAPI varied in 6~33%. By contrast, in the dry period (October), both of bacterial population was increased differently and the ratio of nitrifying bacteria to total counts ranged more widely from 6% in heavily polluted water zone, Hwa-Won to 60% in upper tributary with high agricultural land use. Byung-Sung-Chun. In January, the numbers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was reduced up to one tenth, while those of nitrite-oxidizing bacteria was apparently increased maybe due to high DO and low DOC.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5-Stage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with Step Feed System

  • Park, Jong-Bok;Lee, Han-Woong;Lee, Soo-Youn;Lee, Jung-Ok;Bang, Iel-Soo;Park, Eui-So;Park, Doo-Hyun;Park, Yong-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6호
    • /
    • pp.929-935
    • /
    • 2002
  • The 5-stage biological nutrient removal (BNR) process with step feed system showed a very stable organic carbon and nutrient removal efficiency ($87\%\;COD\,;79\%\;nitrogen,\;and\;87\%$ phosphorus) for an operation period of 2 years. In each stage at the pilot plant, microbial communities, which are important in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investigated using fluorescence in-situ hybridization (FISH) and 165 rDNA characterization. All tanks of 5-stage sludge had a similar composi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The totat cell numbers of each reactor were found to be around $2.36-2.83{\times}10^9$ cells/ml. About $56.5-62.0\%$ of total 4,6-diamidino-2-phenylindol (DAPI) cells were hybridized to the bacterial-specific probe EUB388. Members of ${\beta}$-proteobacteria were the most abundant proteobacterial group, accounting for up to $20.6-26.7\%$. The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l group and Cytophaga-Flexibacter cluster counts were also found to be relatively high. The beta subclass proteobacteria did not accumulate a large amount of polyphosphate. The proportion of phosphorus-accumulating organisms (PAOs) in the total population of the sludge was almost $50\%$ in anoxic-1 tank. The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and Cytophaga-Flexibacter cluster indicate a key role of denitrifying phosphorus-accumulating organisms (dPAOs). Both groups might be correlated with some other subclass of proteobacteria for enhancing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in this process.

A Comparative Study on the Rumen Microbial Population of Cattle and Swamp Buffalo Raised under Traditional Village Conditions in the Northeast of Thailand

  • Wanapat, M.;Ngarmsang, A.;Korkhuntot, S.;Nontaso, N.;Wachirapakorn, C.;Beakes, G.;Rowlinson,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918-921
    • /
    • 2000
  • A comparative study on rumen bacterial and protozoal population and fungal zoospores in cattle (Brahman$\times$Native) and swamp buffalo (Bubalus bubalis) was conducted. Forty animals, twenty of each, with same sex and similar age which were raised under similar condition in the Northeast of Thailand, were used. Rumen digesta were sampled immediately post slaughtering for total microscopic counts of bacteria, protozoa and fungal zoospores. It was found that total bacterial population were higher in swamp buffalo that those in cattle (1.6 vs $1.36{\times}10^{8}cells/ml$) having more population of cocci, rods and ovals. Lower rumen protozoal pupulation in swamp buffalo with lower numbers of Holotrichs and Entodiniomorphs were found as compared to those in cattle. Significant higher fungal zoospore counts were in swamp buffalo than those in cattle being 7.30 and $3.78{\times}10^6$, respectively. Study under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Anaeromyces sp. with acuminate apex were more predominant in the rumen of swamp buffalo. With these findings, cattle and swamp buffaloes showing differences in rumen bacterial, protozoal population and fungal zoospore counts, offer new additional information as why swamp buffaloes exhibit conditionally better than cattle especially during long dry season without green gr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