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bacterial count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3초

Monitoring of Microbial Diversity and Activity During Bioremediation of Crude Oil-Contaminated Soil with Different Treatments

  • Baek, Kyung-Hwa;Yoon, Byung-Dae;Kim, Byung-Hyuk;Cho, Dae-Hyun;Lee, In-Sook;Oh, Hee-Mock;Kim, Hee-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67-73
    • /
    • 2007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microbial diversity and activity during the application of various bioremediation processes to crude oil-contaminated soil. Five different treatments, including natural attenuation (NA), biostimulation (BS), biosurfactant addition (BE), bioaugmentation (BA), and a combined treatment (CT) of biostimulation, biosurfactant addition, and bioaugment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egradation rate and microbial communities. After 120 days, the level of remaining hydrocarbons after all the treatments was similar, however, the highest rate (k)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degradation was observed with the CT treatment (P<0.05). The total bacterial counts increased during the first 2 weeks with all the treatments, and then remained stable. The bacterial communities and alkane monooxygenase gene fragment, alkB, were compar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The DGGE analyses of the BA and CT treatments, which included Nocardia sp. H17-1, revealed a simple dominant population structure,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The Shannon-Weaver diversity index (H') and Simpson dominance index (D), calculated from the DGGE profiles using 16S rDNA, showed considerabl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bioremediation treatment as well as between treatment conditions.

신선편의 양파(Allium cepa L.)의 유통기한 연장연구 (A study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fresh-cut onion (Allium cepa L.))

  • 이경혜;김동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4-331
    • /
    • 2009
  • 박피 알양파(PWO)를 HA 농도별 침지시간별로 각각 세척한 후 LDPE bag에 포장하여 $10^{\circ}C$$35^{\circ}C$에서 저장하여 미생물분석, 표면색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초기 총균수의 경우 1분간 침지 후 $10^{\circ}C$에서 저장한 처리구 H-II는 $2.60\;{\pm}\;0.18\;log\;CFU/g$이었고, 침지시간 3분 으로 처리한 경우 $2.10\;{\pm}\;0.18\;log\;CFU/g$로 대조구에서 보다 적게 나타났다. 처리구 H-III의 총균수는 저장 4일부터 검출되었다. HA로 처리한 PWO의 저장기간 중 총균수의 경우 침지시간이 길수록, 차아염소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은 폭으로 증가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E. coli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기간 중 모든 처리구의 L값은 감소하였고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HA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L값의 감소폭과 a값과 b값의 증가폭은 적게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외관은 $35^{\circ}C$저장 보다 $10^{\circ}C$에서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10^{\circ}C$에서 저장 12일차의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무처리구와 처리구 H-III의 외관평가는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양파특유의 향평가는 외관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8일차부터 처리구 H-II와 H-III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 < 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통기한 연장을 위하여 PWO의 세척공정에 HA을 50 ppm 이상 사용하여 $10^{\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안전성 및 품질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에서 발생한 돼지콜레라의 역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outbreak for the classical swine fever (CSF) at Incheon metropolitan area in 2002)

  • 권효정;변재원;이정구;김경호;박은정;이성모;황현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03
  • The aim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utbreak farm determined as the classical swine fever(CSF) at Gangwha-gun and Seo-gu, Incheon metropolitan area from October 7 to November 25 in 2002. Sixty pigs in six different farms were confirmed to the CSF and a total of 9,106 pigs containing 3,194 related epidemiologically was slaughtered to stop spreading of the disease. Clinical signs of pigs diagnosed with the CSF were high fever, anorexia, depression, paralysis of hindlimbs, cyanosis, etc and gross lesions were typically represented with hemorrhage of submandibular and superficial lymph node, infarction of spleen, and petechial (ecchymotic) hemorrhage of kidney and skin. But some outbreak farms had not shown remarkable symptoms, so they were confused with other bacterial diseases. White blood cell (WBC) counts, the classical swine fever virus(CSFV) antigen and antibod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and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about six farms indicated that total 60 pigs were infected with the CSFV. Although the origin and infection route of the CSFV were not clear, but the transmissions between farms were mainly through indirect contact such as the movement of farm personal and vehicles from outbreak farm.

들깻잎 분말 첨가가 돈육소시지의 표면색깔, 아질산 잔류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on the Surface Color, Residual Nitrite and Shelf Life of Pork Sausage)

  • 정인철;김영길;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4-660
    • /
    • 2002
  • 본 연구는 들깻잎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들깻잎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돈육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돈육소시지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게 나타났다. B 등급 돈육소시지의 a*값은 저장 8주 째에 가장 낮았고,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4주 째에 가장 높았으며, E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E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중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a*값이 낮았으며, b*값은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높았다.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들깻잎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B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의 pH는 4주까지 감소하다가 6주부터 증가하였다. VNN 함량은 저장초기 6.7~8.4mg%이던 것이 저장 중 증가하여 8주 째에는 16.1~19.5mg%를 나타내었다. 돈육소시지의 TBARS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저장 중 더 낮았다. 총균수는 모든 돈육소시지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았다.

쑥 분말 첨가와 원료육 등급이 돼지고기 햄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Storage Stability of Pork Ham)

  • 정인철;강세주;김영길;현재석;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1-206
    • /
    • 2004
  • 쑥 분말의 첨가와 원료육 등급이 돼지고기 햄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규격돈(B등급) 및 경산모돈(E등급)에 쑥 분말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네 종류의 돼지고기 햄을 제조하였다. $L^{*}$ 값은 $B_{o}$$B_{+}$ 햄은 저장 후기가 높았으며, $E_{o}$ 햄은 저장 2주째 가장 높았고, $E_{+}$ 햄은 저장 중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B등급육 햄의 $L^{*}$ 값이 E등급육 햄보다 높았으며, $a^{*}$ 값은 E등급육 햄이 높았다. 햄의 pH는 저장 중 감소하다가 저장 8주까지 증가하였다.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쑥 분말의 첨가는 아질산 잔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VBN 함량은 저장초기 6.90∼7.90 mg%이던 것이 저장 중 증가하여 8주 째에는 14.07∼14.83 mg%를 나타내었다. TBARS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쑥 분말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저장 4주와 6주 째에 더 낮았다. 총균수는 모든 햄이 저장 중에 증가하였으며, 쑥 분말의 첨가는 총균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자량을 달리한 Chitosan 침지처리가 한우육의 저온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Dipping Treatment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n the Meat Quality of Hanwoo(Korean Cattle) Beef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김용선;양성운;김혜정;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04
  • 분자량을 달리한 chitosan 침지처리가 한우육의 저온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 kDa과 600kDa의 분자량을 갖는 chitosan을 1% acetic acid에 0.5%씩을 용해하고 pH를 5.5로 조정한 후 한우육의 우둔부위를 5분간 침지시킨 후 $1^{\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pH는 chitosan(600 kD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명도(L*)는 저장 3일까지는 chitosan(600 kDa)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6일 이후부터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적색도의 경우는 저장 전에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2일 저장시에는 chitosan(150 kDa)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hitosan(600 kDa)처리구에서 저장 시 표면에 생성되는 metmyoglobin(%)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저장기간을 결정할 수 있는 육표면에서의 총균수 실험결과는 저장 전에는 chitosan(600 kDa)처리구가 가장 낮은 총균수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chitosan(150 kDa)처리구가 chitosan (600 kDa)처리구보다 항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저장 안정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전단력은 전체적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chitosan(150 kDa)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값을 보여 연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침지처리시 chitosan의 분자량이 한우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5-330
    • /
    • 2006
  • 식육의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냉장 저장 중 돼지고기의 삼겹살과 쇠고기의 등심의 신선도 및 품질 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기간 중 삼겹살과 등심 모두 저장 6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이 변하였다. 저장 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6일에 VBN, TBARS, 총균 수의 값도 부패 시점 기준에 도달하는 값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6일 이후에는 이취 등에 의하여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째, 저장 6일째, 저장 10일째의 향기 분석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 중 식육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변화를 고려할 때, 제작된 신선도표시계의 시료 부착을 통하여 유통 중인 식육의 선선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냉면육수의 품질에 관한 연구 - 동치미 발효 정도와 첨가량에 따른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 (A study on the quality of Naengmyon Broth -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by fermentation and addition of Dongchimi-)

  • 김형렬;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5
  • The application of Dongchimi liquid into Naengmyon broth for the improved eating quality of Naengmyon was scientifically explored by reviewing the quality properties of the product. Primarily,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Dongchimi from which the liquid portion was extracted were pursued and the optimum mixing ratio was sought on the basis of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The liquid portions which had been periodically extracted from Dongchimi at intervals of two or five days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were added to Naengmyon broth. The treatments were prepared with three levels, namely, basic broth only('A') and the ratios of 3:7(v/v, 'B') and 5:5(v/v, 'C') of Dongchimi liquid and basic broth, respectively. According to assessments of Dongchimi liquid on taste and intensity based on sensory analyses, the organoleptic factors such as color, smell, sour taste, carbonated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given higher values from day 11 to day 17 in all items. As for the assessment of Dongchimi liquid on intensity, color, sour odor, moldy odor, and carbonated taste have shown the increasing scores during with high intensities while those for clearness has stayed low. Most of the phenomena observed from the Naengmyon broth substituted with $30\%$ (Treatment 'A') and $50\%$ (Treatment 'B') of Dongchimi liquids with different storage periods ensued much of the previous fermentation pattern of Dongchimi itself. Organoleptic assessment on taste and its intensity showed that better(the best) scores could be obtained at between day 16$\~$25(17) and 13$\~$20(15) for Treatments A and B, respectively. The intensity scores of taste for color, smell, carbonated taste, sour taste, and mouthfeel were increased while those for clearness, palatability, and meaty ones were decreased with lapse of fermentation. The numbers of total cell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of Dongchimi has increased until day 13 and then decreased in the later stages. Total cell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of Naengmyon broth also increased until the 13th day and then they began to decrease. It was also proven that slightly over-ripened Dongchimi liquid was more preferable for adding into Naengmyon broth. Granting the optimum ripening period of Dongchimi liquid itself to be 13 days, both Treatment A and Treatment B were evenly favored using Dongchimi liquids slightly over-ripened at days 13 to 17. However, Treatment A was more favored than Treatment B when Dongchimi liquid over-ripened for 20 to 26 days was used.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61-767
    • /
    • 2006
  • 계육의 신선도를 판정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였고, 냉장저장 중 계육의 신선도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 중 계육의 모든 부위는 저장 3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의 변화로 신선도가 저하되었음을 제시해주었다.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시점과 같은 저장 3일에 VBN, TBARS, 총균수의 값 또한 부패시점에 도달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4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등으로 가식이 불가능하였다. 부패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차, 저장 3일차, 저장 5일차의 향기분석에서 주성분 분석값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 계육 부패시점이 3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도표시계인 신선도표시계는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확인을 실시간으로 해줌으로써 계육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쑥 분말을 첨가한 돼지고기 patty의 저장 안정성 (Storage Stability of Pork Fatty with Mugwort Powder)

  • 정인철;문윤희;강세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8-203
    • /
    • 2004
  • 본 연구는 쑥 분말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 패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쑥 분말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네 종류의 돈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쑥 분말을 첨가한 돈육 패티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쑥 분말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에 영향을 미쳤다. 돈육 패티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쑥 분말을 첨가한 것이 낮았고, B등급 패티가 E 등급보다 높았다. 돈육 패티의 a*값은 E 등급육이 B등급육보다 높았으며, 저장 중 변화는 없었고, b*값은 B등급 육으로 제조한 패티가 E 등급육으로 제조한 것보다 높았다. 돈육 패티의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낮아졌다. VBN, TBARS 및 총균수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쑥 분말의 영향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