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5초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throughout Germination

  • Oh, Sea-Kwan;Lee, Jeong-Huei;Hwang, Hung-Goo;Lee, Dong-Hyeon;Kim, Yeon-Gyu;Lee, Jin-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221-22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total dietary fiber (TDF), amylose, protein, and fat content in brown rice through germination for 2 different years.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were also determined in different solvent extracts. Fo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GABA, TDF, protein, and fat content increased, whereas amylose levels decreased. Specially, GABA and TDF levels showed the greatest variations among cultivars and harvest years.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verage total phenolic content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in different extract solvents occurred in this order: methanol>ethylacetate>chloroform>hexane extracts. Additionally, 'Keunnun' exhibited the highest GABA levels,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and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fter germination, with increases of approximately 3.7, 2.0, and 1.9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levels before ger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cause of its high physicochemical contents and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germinated brown rice can be used as beneficial supplement.

음용 조건으로 추출한 티백 형태 순수 녹차의 카테킨 함량 및 산화방지능 (Effects of commonly used infusion method on 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pure green tea packaged in tea bags)

  • 김미선;라찬수;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6-360
    • /
    • 2019
  • 국내외 티백 녹차 10종을 $70^{\circ}C$의 생수 150 mL에 2분간 음용 조건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 카페인 및 카테킨 4종을 정량 분석하였다. 10종의 티백 녹차의 총페놀 함량은 46.3-93.9 mg GAE/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3-21.7 mg CE/g, DPPH법과 ABTS법을 이용한 산화방지능은 각각 88.8-175.6 mg VCE/g과 87.9-183.5 mg VCE/g이었다. HPLC를 이용한 정량 분석에서 카페인 함량은 9.3-24.0 mg/g, 총카테킨 함량은 33.8-74.7 mg/g이었다. 총카테킨 함량을 녹차 추출 용액 한잔(150 mL)으로 환산했을 때, 건강기능식품 고시형 기능성 원료인 녹차추출물의 기준 및 규격을 고려치 않는 가정 하에 녹차 티백 3.8-12.5잔을 마시면 카테킨 일일섭취량(300-1,000 mg)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수확시기별, 부위별 선학초의 폴리페놀함량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의 변화 (Changes 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grimonia pilosa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ous Part)

  • 장상훈;유은애;한기수;신성철;김희규;이상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97-401
    • /
    • 2008
  •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as Agrimonia pilosa well as their antioxidant capacity according to the havest time and positions were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extraction with MeOH. Among havest times harvestry in July showed highest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harvestry in May showed lowest contents of the phenolic compounds. Among the 4 positions (root, branch, leaf, flower) of Agrimonia pilosa the root contained highest contents of the phenolic compounds.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Agrimonia pilosa were increased roughly with increasing level of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positions.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the Korean diet

  • Han, Jeong-Hwa;Lee, Hye-Jin;Cho, Mi Ran;Chang, Namsoo;Kim, Yuri;Oh, Se-Young;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183-191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or estimate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the Korean diet. MATERIALS/METHODS: Eighty-one plant foods that were expected to exhibit rather high antioxidant activitie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diet using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V). These foods were categorized into 11 food groups: cereals, potatoes, legumes, nuts, vegetables, kimchies, mushrooms, fruits, fruit juices, sea weeds, and oils. The foods were mixed in the proportions specified in traditional Korean recipes and analyzed. The measured indicators for antioxidant capacities were total phenolic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RESULTS: Total phenolics were high in the fruit juices, nuts, vegetables, and fruits; and the average DPPH, ORAC, and TEAC values were high in the vegetables, fruits, fruit juices, and nu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s of each food and the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was relatively high at 0.851. The intake of total phenolics per capita per day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imated to be 127 mg. The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 value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each food, taking into account the intake of each food, were 20,763, 54,335, and $876.4{\mu}mol$ of Trolox equivalents using the DPPH, ORAC, and TEAC methods, respectively. The food group that contributed the most to the Korean TDAC was cereals at 39.7%, followed by fruits and vegetables at 27.8% and 13.9%,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legumes, nuts, fruit juices, and mushrooms was quite minimal at less than 2% each. CONCLUSIONS: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Korean diet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the high contributing food groups are cereals, fruits, and vegetables.

산뽕잎 및 은행잎 차의 항산화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Antioxidant Capacities and Flavonoid Contents of Wild Mulberry and Ginko Leaves Teas)

  • 황인욱;김지은;정신교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1-7
    • /
    • 2010
  • 산뽕잎, 은행잎 및 혼합차의 침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Folin-Ciocalteu법,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침출시간에 따라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활성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성분 함량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았으며 산뽕잎에 은행잎을 2:1로 혼합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침출시간 3분 정도에서 산뽕잎차 및 혼합차는 비교적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은행잎차는 6분 까지 활성이 증가하였다. HPLC로 분석한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quercetin이 모든 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한 침출차 들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계수는 0.87 이상으로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다.

  • PDF

재배 조건에 따른 바위솔의 총페놀함량 및 항산화효과 (Total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Grown under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 유은애;이성중;이상경;강진호;신성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4-238
    • /
    • 2006
  • 바위솔 총 페놀 함량은 조사된 빛의 양 및 질소비료의 시비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빛의 양이 증가될수록 질소비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인공적으로 재배된 바위솔보다 자연산 바위솔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산의 경우 개화 후의 총 페놀 함량이 개화 전의 총 페놀함량보다 높았다. 바위솔의 항산화능은 바위솔에 조사된 빛의 양 및 질소비료의 시비량과 관계가 있으며 빛의 양 및 질소비료의 시비량이 증가하면 대략적으로 항산화능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산 및 칼륨비료의 시비량과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사이에는 별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가열, 재래식 및 통전가열한 오디주스의 품질 평가 (Evaluation on the Quality of Fresh, Conventionally Heated and Ohmically Heated Mulberry Fruit Juice)

  • 양지원;한대석;이창호;박성진;김영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0-91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of ohmic heating over conventional heating for the sterilization of mulberry juice. Heat treatment of fresh juice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soluble solids, lowered the pH, and lower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p<0.01). Color measurements showed decreases in the L and a values and increases in the b, H and C values after heat treatment, although the total color differences were smaller after ohmic heating than after conventional heating of fresh juice. The antioxidant capacities, such as reducing power, FRAP, and DPPH, decreased in the order of fresh juice, ohmically heated juice and conventionally heated juice. Furthermore, the anthocyanin, flovonoid,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of the juic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me order. Sensory evaluation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resh and ohmically heated mulberry fruit juice excluding off-flavor, whereas conventionally heated juice received significantly lower evaluations. The microbial counts were zero in the juice after either heat treatment. Thus, ohmic heat treatment can be effectively used to sterilize fresh mulberry juice to obtain good shelf life with minimal physicochemical, color, antioxidant and sensory deterioration.

감귤류 4종의 항산화 효과의 비교 (Comparison in Antioxidant Effects of Four Citrus Fruits)

  • 박근홍;이상훈;김현영;정헌상;김은영;윤영원;남상윤;이범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5-360
    • /
    • 2011
  • 본 연구는 감귤 4품종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감귤 4품종은 '한라봉', '천혜향', '청견', '진지향'이다. 실험에 사용된 감귤은 과피, 양낭막, 과육 3 부분으로 분리시켰으며,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농축시켰다. 감귤 과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23.497~42.341 mg/g, 양낭막에서 13.285~21.872 mg/g 그리고 과육에서 6.333~11.627 mg/g을 나타냈다. 이 중에서 과피와 양낭막 에서는 진지향이 가장 높았고, 과육에서는 천혜향이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여주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과피와 과육에서 진지향이 가장 높았고, 과육에서는 천혜향이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 있어서도 역사 과피와 과육에서는 진지향이 가장 높았고, 과육에서는 천혜향이 가장 높았다. 환원력에 있어서 는 청견이 과피에서 가장 높았고, 양낭막에서는 진지향 그 리고 과육에서는 천혜향이 가장 높았다. 실험 결과, 폴리페놀 함량과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감귤 4 품종(한라봉, 천혜향, 청견, 진지향)이 분명히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부위 중 과피가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음 을 보여주었다. 덧붙여 실험에 측정된 품종 중 진지향이 대체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오레가노(Origanum majorana 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25-4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8{\mu}g$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강력한 자유라디칼에 대한 총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7.5 및 $15{\mu}g$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15.1 및 31.4 nmol Trolox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0.2 및 $0.4{\mu}g$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 및 2.4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30 및 $75{\mu}g$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0.5 및 83.9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황화철/아스코르빈산에 의해 유도된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20 및 $50{\mu}g$은 TBARS 수준을 각각 20 및 64% 억제시켰다. 이와같이 오레가노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박피 유무에 따른 전처리 백연근의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 효과 (Antioxidant Capacities and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of Dried Lotus Root by Different Pretreatment)

  • 김진숙;황동주;강은정;김경미;최송이;김기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67-671
    • /
    • 2015
  • 본 연구는 혈관벽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위벽보호, 해독작용, 치매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연근의 가공 식품 소재로써 활용 편의성을 높이고자 전처리 단계 중 인력에너지 소모가 많은 부분인 박피공정 처리 여부에 따른 연근의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을 조사하였다. 연근의 박피여부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피하지 않은 연근의 경우, DPPH 전자공여능은 85.07%, SOD 유사활성은 20.84% 그리고 ACE 저해활성은 53.4%로 박피한 연근보다 높았다. 통상적으로 연근은 조리용 또는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할 때 껍질의 떫은 맛, 색깔 등과 같은 이유로 박피 과정을 가지게 되는데, 본 실험결과, 박피로 인해 연근이 가지는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이 특성에 따라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근 사용 시 당연하게 수반되었던 박피 전처리 공정의 생략 여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연근의 껍질에도 항산화에 도움이 되는 유용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연근의 과육과 껍질의 성분 분석,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분석을 통해 연근의 껍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연근의 일반적인 박피 이외 다양한 전처리 과정을 통한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면 좋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