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mino acid

검색결과 2,437건 처리시간 0.03초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Spinach (Spinacia oleracea) Cultivars as Influenced by Different Harvesting Time

  • Yoon, Young-Eun;Kuppusamy, Saranya;Kim, Song Yeob;Kim, Jang Hwan;Lee, Yong Bok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4-110
    • /
    • 2016
  • BACKGROUND: There is lack of comprehensive compositional data of the amino acid profile of spinach with regard to different cultivars. A more detailed knowledge in this aspect will be of benefit in the future selection of spinach genotypes with improved nutritional quality.METHODS AND RESULTS: The effects of cultivar type (Jeoncheonhu, Sagyejul, Namdongcho and Mustang) and harvest time (79th, 116th and 145th days after sowing or DAS) on the concentrations of free amino acids in field-grown spinach (Spinacia oleracea) were examined. About 35 different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and quantified by the amino acid analyzer.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amino acids, while α -aminoadipic acid and α-aminobutyric acid were present in much lower concentrations. Spinach constituted 1468.4 mg/100 g total free amino acids (TAA), of which essential amino acids, neutral/acidic amino acids and sulphur containing amino acids constituted around 15, 45 and 2% of the TAA, respectively. The most limiting amino acids among the leafy vegetables - cysteine was recorded only in Mustang harvested at 116 DAS. Free amino acid cont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spinach cultivars and also at different harvest times.CONCLUSION: The data show that, either of the spinach cultivars, preferably Mustang harvested on or after 116 DAS can serve as a significant source of nutritionally relevant amino acids to meet the demand of the growing populations.

소의 사골(四骨) 중(中)의 영양성분 용출에 대한 산, 알카리 처리효과 (The effect of acid and alkali treatment on extracting nutrients from beef bone)

  • 박동연;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6-149
    • /
    • 1983
  • 사골(四骨) 용출액중(溶出液中) 영양성분 특히 칼슘, 인, 질소성분의 용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우선 산과 알카리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산 처리로는 acetic acid를 0~0.8%까지, 알카리 처리로는 sodium bicarbonate를 0~0.05%까지 수준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 처리의 경우 칼슘은 acetic acid 농도가 증가될수록 용출량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특히 acetic acid 농도가 0.1% 이상일 때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 인은 0.3% 일 때 용출량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Ca/P 비(比)는 acetic acid 농도가 0.01%까지는 1~2를 나타냈지만 그 이상의 모든 처리에서는 2 이상을 나타냈다. ${\alpha}$-amino N과 총 질소는 모두 acetic acid농도가 0.5% 이상일 때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알카리 처리의 경우는 칼슘, 인, 총 질소는 모든 처리에서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alpha}$-amino N은 sodium bicarbonate 농도가 0.05% 일 때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산 처리에 의해 영양성분의 용출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알카리 처리에 의해서는 크게 증가되지 못했다.

  • PDF

느타리버섯의 배지별 Amino acid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of Amino acid Contents on Pleurotus ostreatus)

  • 유정;이공준;정기태;나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8-342
    • /
    • 1994
  • 배지 재료를 달리한 느타리 버섯의 갓 크기와 자루속의 아미노산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 재료별 느타리 버섯의 아미노산 함량은 톱밥배지와 폐솜배지에 비해 볏짚배지에서 적었으며 아미노산 17종이 확인 정량되었다. 2. 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Cystine 함량이 가장 적었다. 3. 느타리 버섯의 갓 크기별 아미노산 함량은 볏짚재배는 $3{\sim}7\;cm$, 톱밥재배는 3cm 이하, 폐솜재배는 7cm 이상에서 많았으며 버섯의 부위별은 자루보다 갓에서 많았다.

  • PDF

한국 전통 된장의 숙성중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성분의 변화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를 중심으로-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7
    • /
    • 2004
  • 본 연구는 콩, 메주, 그리고 된장을 제조하여 장기간(12개월) 숙성시키는 과정 중에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및 색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된장의 제조는 한국식품개발원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제조 직후, 6개월 숙성 및 12개월 숙성 후에 시료를 분석하였다. 된장의 아미노산성질소는 제조 직후에는 콩과 메주에 비하여 높았으나(p〈0.05)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된장의 아미노산 총량은 콩보다 매우 낮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매우 높았다(p〈0.05). 된장의 아미노산 총량은 숙성 중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아미노산의 비율 (유리율)은 총량으로 콩의 경우 0.8%, 메주의 경우 17.3%, 그리고 된장의 경우 숙성 중 20.4∼32.9%이었다. 된장의 숙성중 아미노산이나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변화되었으나 어느 시점에서나 지미 성분인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유리율은 21.1∼41.3%이었다. 된장의 색도(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다. 이로부터 된장의 아미노산 함량은 비록 콩에 비하여 매우 낮지만, 아미노산 유리율은 메주의 제조와 발효로부터 증가되고 된장의 숙성과정에서 더욱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된장의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에 의한 관능적 품질은 숙성 12개월 후에는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Growth and Amino Acid Contents of Spirulina platensis with Different Nitrogen Sources

  • Park, Aeran;Kim, Song-Gun;Yoon, Byung-Dae;Oh, Hee-Moc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6호
    • /
    • pp.368-372
    • /
    • 2003
  • The growth and amino acid contents of the cyanobacterium, Spirulina platensis strain NIES 46, were investigated using ammonium, nitrate, nitrite, or urea as the sole nitrogen source in a batch cultur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highest at 2,096$\mu\textrm{g}$/L in the nitrate group after 10days of cultivation, while the dry weight of S. platensis was highest at 4.5g/L in the ammonium group after 30days of cultivation.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at 174mg/g dry weight of S. platensis in the urea group at the end of the cultivation period, yet the amino acid patterns for S. platensis were similar for all the experimental groups.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growth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S. platensi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nitrogen sources, while the amino acid patterns were not changed. Also, the most efficient harvesting time for S. platensis seemed to be approximately 10 days after cultivation.

유자 첨가 사료로 사육한 뱀장어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els (Auguilla japonica) Fed a Die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황재호;이시우;라성주;정동희;한경호;신태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73-580
    • /
    • 2010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0 and 2.5%)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on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els (Auguilla japonica). Fish ($9.8{\pm}1.3g$) was fed to apparent satiation twice daily for 8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composition among the treatment groups, except for th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P<0.05). The vitamin C content of eel muscle in the yuza-added group was two-times higher than in non-added groups (P<0.05). Among eight organic acids in eel muscle, lactic acid was predominant, followed by citr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and acetic acid. Eels fed a 2.5% yuza diet had the highest lactic acid content in all groups. Six sugars were found in all groups and glucose was the major sugar. Glucose and maltose were the dominant sugars in the yuza-added group. The abundant fatty acids in the yuza-added group were C18:1 n-9, C16:0, and C16:1 n-7, which comprised over 80%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major amino acids in sample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leucine.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mong the groups. However, histidine was the predominant amino acid and constituted over 53%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국내 균근성 버섯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tional contents of ectomycorrhizal mushroom extracts in Korea)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4-173
    • /
    • 2020
  • 국내 자생하는 균근성 버섯 중 본 연구에서 수집한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 젖버섯속(L. parallelus), 송이(T. matsutake), 싸리버섯(R. botrytis)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라디컬 소거능, 철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항산화 활성과 균근성 버섯의 건조시료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균근성 버섯류 중에서 싸리버섯(R. botrytis) 열수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33.8%), 철 환원 항산화능(0.38), 환원력(0.35), 총 폴리페놀 함량(13.83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2.56 mg QE/g)이 다른 버섯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젖버섯속(L. parallelus)이 높았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붉은꾀꼬리버섯(OK1165)이 각각 1,046.1 mg/kg과 404.9 mg/kg으로 다른 균근성 버섯류에 비하여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4종의 균근성 버섯류에서 검출된 아미노산 성분 중 시스테인(Cys)이 전체 아미노산 성분 중에서 가장 높게 검출된 성분이었으며, 페닐알라닌(Phe)는 다음으로 많이 검출된 성분이었다.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의 경우 쓴맛을 내는 성분들이 함량이 높았으나 동시에 감칠맛, 단맛을 내는 성분들도 다른 균근성 버섯류에 비하여 높았으며, 송이(T. matsutake)는 감칠맛, 단맛을 내는 성분이 다른 균근성 버섯류에 비하여 높게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야생에서 수집한 4종의 균근성 버섯류 중에서 항산화능은 싸리버섯(R. botrytis)이 가장 높았으며, 아미노산 함량은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잠의 연화병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II. 연화병 바이러스 Polypeptide의 성상 (Studies on Flacherie and Ina-flacherie Viruses of the Silkworm, Bambyx mori II. Some Properties of Polypeptide of Flacherie Virus)

  • 강석권;김근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0
    • /
    • 1979
  • 1. 연화병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37,500(FP I), 30,500(FP II) 및 26,500(FP III)에 상당하는 3종류의 polypeptide가 얻어졌으며, 이들의 비율은 FP I이 6.6%, FPII가 25.0% 및 FP III가 68.4%였다. 2. 연화병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amino산 분석을 행한 결과, 17종의 amino산이 분리되었으며, 이 amino산 조성은 타곤충 바이러스의 amino산 조성과 유사하였다.

  • PDF

고려인삼(Panax RiwenR) Invertase의 화학조성과 안정성 (Chemical composition and Stabilities of Invertase from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 김용환;김병묵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21-26
    • /
    • 1990
  •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tabilities of the purified ginseng invertase were investigated. The purified enzyme was found to be a glycoprotein composed of 80.2% protein and 19.7% total sugar. The protein component of the enzyme was composed of acidic amino acid (9.3%), basic amino acid (48.9%), nonpolar amino acid (21.4%), polar amino acid (20.4%) and 6.1% S-containing amino acid. It showed especially high contents of histidine and serine. The enzyme was inactivated almost completely by the treatment with some proteases (papain, pepsin. trypsin, pancreatin and microbial alkaline pretense) and protein denatllrants (8M urea and 6M guanidine-HC1), bolt not with glyrosidase (${\alpha}$-amylase, ${\beta}$-amylase. glcoamylese and cellullase). btonosaccharides sllch as glilrose, fructose, galactose and mannose did not exert any influence on the enzyme activity.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inhibited by Ag+, Mn2+, Hg2+, Zn2+ and Al3+, whereas Ca2+, Mg2+, Ba2+ and Fe3+ gave rather activating effects on the enzyme activity. The enzyme was relatively stable in the VH range of VH 6 and 8, and at the temperatures below 35$^{\circ}C$.

  • PDF

Comparison of quality and bioactive components of Korean green, white, and black teas and their associated GABA teas

  • Choi, Sung-Hee;Kim, Il-Doo;Dhungana, Sanjeev Kumar;Shin, Dong-Hyu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28-234
    • /
    • 2022
  • Various types of tea have been cultivated to obtain different flavors and enhance their functional proper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teas produced from commercial Korean green, white, and black teas. The concentration of total minerals was reduced in GABA green tea and GABA white tea but was improved in GABA black tea. The essential, non-essential,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the GABA teas. The amino acid GABA content was increased by 561.00 and 294.20 times in GABA white tea and GABA black tea,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potential was not reduced, although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decreased in GABA green tea and GABA black t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nutritional value of commercial green, white, and black teas could be improved by processing them into GABA t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