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intrus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5초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채 압하된 치아의 자연회복: 증례보고 (Spontaneous Recovery of an Intruded Tooth Bounded by Implants: a Clinical Report)

  • 차민상;이양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99-406
    • /
    • 2013
  • 자연치아와 연결한 임플란트 수복물에서 종종 자연치아의 압하가 보고되곤 하지만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자연치아의 압하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56세의 여성을 하악 우측 제1소구치는 임플란트로, 제 2소구치 치근은 포스트 수복 후 지르코니아로 각각 수복했다.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는 이미 임플란트로 수복되어 있었다. 기능 4개월 후 제 2소구치의 압하로 인한 대합치와의 간격이 분명히 관찰되었으나 불편감을 비롯한 이상증상은 없었다. 예후에 대한 자세한 설명 후 별다른 조치 없이 경과 관찰을 시작하였다. 3개월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상에서 원위치로의 치아 회복 시작이 관찰되었으며 다시 11개월이 경과한 후 치아의 추가 정출로 교합의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졌다. 압하를 인지한지 2년 3개월째 관찰 중이다.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자연치가 압하되고 저절로 회복되는 과정의 관찰을 통해 압하가 생기는 원인과 저절로 회복된 기전을 추정할 수 있었다.

NiTi 호선을 이용한 초기 배열 후 디지털 방식 투명교정장치의 적용 (Digital fabrication and application of clear aligner after alignment with NiTi archwires)

  • 임성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7호
    • /
    • pp.551-562
    • /
    • 2016
  • 경미한 I급 부정교합의 경우, 회전 및 경사 조절은 먼저 NiTi 호선을 사용하여 달성한 후, 순설 이동 및 약간의 수직 조절은 투명교정장치로 이루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tooth capture가 잘 안 되는 부위에서는 slingshot 또는 수직 고무줄을 사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 PDF

임플란트 사이에 있는 자연치 함입 증례 (Intrusion phenomenon of natural tooth bounded by implant-prostheses: a clinical report)

  • 김중현;양순봉;조영성;박영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24-330
    • /
    • 2014
  • 임플란트와 자연치를 연결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경우, 자연치에 함입현상이 일어날수 있음은 여러 보고로 알려져 있다. 이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이에 임플란트와 자연치를 연결 하는 보철물 형태는 권장되지 않는다. 본 증례는 임플란트와 인접 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 자연치가 인접면 접촉과 연관되어 함입이 일어난 증례이다. 68세 여성이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발치후, 임플란트 수술 및 보철수복을 받았으며, 임플란트 사이의 제1대구치는 크라운 치료를 받았다. 2.5년 후, 제2대구치 근심면의 접촉이 느슨해져 상기 보철물의 근심면 합착을 시행하였다. 그로부터 7개월후, 제1대구치의 약 2 mm 함입이 발생하였으며, 치주문제로 인한 통증도 발생하였다. 제1대구치의 크라운을 제거하고 다시 정출이 일어났고, 치주 통증도 사라졌다. 이에 본 증례를 분석, 보고하는 바이다.

Laser 반사측정법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 함입시 저항중심의 수평적 위치에 관한 연구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IN THE HORIZONTAL PLANE DURING INTRUSION BY USING LASER REFLECTION TECHNIQUE)

  • 박기호;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19-631
    • /
    • 1993
  • Tooth movement by segment is one of the mean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daily orthodontic practice. When we retract or intrude a tooth or teeth, we should recognize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certain tooth or teet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center of resistance of a single tooth, not so much was about the tooth-segment. At the present study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by using laser reflection technique and metal splints on the human dry skull. The variables of intrusive force magnitud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50g and 100g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composed of the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at the mesial portion of canine crown at the coronal level. 2.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composed of the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is between the canine and the 1st premolar crowns at the coronal level.

  • PDF

The effects of alveolar bone loss and miniscrew position on initial tooth displacement during intrus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Finite element analysis

  • Cho, Sun-Mi;Choi, Sung-Hwan;Sung, Sang-Jin;Yu, Hyung-Seog;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10-322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loading conditions for pure intrusion of the six maxillary anterior teeth with miniscrews according to alveolar bone loss. Metho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created for a segment of the six anterior teeth, and the positions of the miniscrews and hooks were varied after setting the alveolar bone loss to 0, 2, or 4 mm. Under 100 g of intrusive force, initial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teeth in three directions and the degree of labial tilting were measured. Results: The degree of labial tilting increased with reduced alveolar bone height under the same load. When a miniscrew was inserted between the two central incisors, the amounts of medial-lateral and anterior-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central incisor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other conditions. When the miniscrews were inserted distally to the canines and an intrusion force was applied distal to the lateral incisors, the degree of labial tilting and the amounts of displacement of the six anterior teeth were the lowest, and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was distributed evenly across all the teeth, regardless of the bone loss. Conclusions: Initial tooth displacement similar to pure intrusion of the six maxillary anterior teeth was induced when miniscrews were inserted distal to the maxillary canines and an intrusion force was applied distal to the lateral incisors. In this condition, the maximum von Mises stresses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cross all the teeth, regardless of the bone loss.

개개 치아의 inclination과 angulation을 측정하는 보조 기기를 이용한 tooth positioner의 제작 (A New Method of Tooth Positioner Fabrication using Modified T.A.R.G. to Measure the Inclination and Angulation of Individual Teeth)

  • 권오원;황해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7-146
    • /
    • 1999
  • 교합기에 거상된 모형 상에서 각 치아의 순, 협설측경사와 근원심경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된 측정기구를 교정 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술자가 원하는 보다 정확하고 좋은 교합으로 유도하는 tooth Positioner의 제작을 위한 셋업 모형 제작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 주고자 한다.

  • PDF

골성 고정원과 편측 분절호선을 이용한 정출된 상악 중절치의 압하 치료 (Intrusion of the extruded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skeletal anchorage system and unilateral segmental intrusion arch)

  • 권은영;백영재;박수병;김성식;김용일;최윤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80-190
    • /
    • 2019
  • 병적 치아 이동된 상악 전치를 가진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는 치태 관리를 통한 치주 염증의 해소뿐만 아니라 치아를 재위치 시키기 위한 교정치료가 함께 필요하다. 이 때의 교정치료는 더 적은 힘의 적용과 치아의 저항중심, 최적의 힘 등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하는데, 이동하고자 하는 치아에만 적용되는 분절호선은 이동의 예측성을 높여주고, 힘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교정치료 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치아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차단하여 구치 교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 설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골성 고정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정출되고 변위된 상악 전치를 가진 환자에서, 철저한 치주 치료와 적절한 힘과 역학이 설계된 교정 장치로,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므로, 소개하고자 한다.

Autotransplantation combin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a case involv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ith root resorption after traumatic injury

  • Ferreira, Manuel Marques;Ferreira, Hugo M.;Botelho, Filomena;Carrilho, Eunic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3호
    • /
    • pp.236-240
    • /
    • 2015
  • Traumatic dental injury can result in avulsion of anterior teeth. In young patients, it is a challenge to the dental professional because after replantation, late complications such as ankylosis require tooth extraction. Although prosthetic and orthodontic treatment, and implant placement have been described as the options for intervention, autogenous tooth transplantation could be an effective procedure in growing patients if there is a suitable donor tooth available. This case presents the treatment of a patient who suffered a traumatic injury at 9 years old with avulsion of tooth 21, which had been replanted, and intrusion of tooth 11. Both teeth ankylosed; thus they were removed and autotransplantation of premolars was carried out. After transplantation, the tooth underwent root canal treatment because of pulpal necrosis. Orthodontic treatment began 3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and during 7 years' follow-up the aesthetics and function were maintained without signs of resorption.

외상에 의하여 함입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AFTER THE TRAUMATIC INTRUSION OF UPPER CENTRAL INCISOR)

  • 한윤범;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송제선;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3-297
    • /
    • 2009
  • 외상에 의한 치아의 함입은 치아가 치조골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이다. 함입성 탈구는 다른 유형의 탈구성 손상에 비하여 드물게 발생하고, 낙상에 의한 경우가 많으며, 소녀보다는 소년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치아가 함입되었을 때, 치수괴사나 유착, 치근흡수, 근관폐쇄, 변연골 상실 등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치아 경조직과 치아 지지조직 등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예후를 예측하고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함입된 치아의 치료는 자발적으로 재맹출하기를 기다리거나,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으로 재위치 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좌측 중절치가 함입되었다는 주소로 내원한 6세 7개월 된 여아에서, 함입된 치아의 자발적인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맹출이 되지 않아서, 교정적으로 견인하여 맹출시킨 경우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장안모를 보이는 치주 질환자에서 하악 전치의 압하를 통한 과개 교합 치료: 8년 경과 관찰 (Orthodontic intrusion treatment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a periodontal patient with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8-year follow-up)

  • 권은영;정경화;박수병;김성식;김용일;최윤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1호
    • /
    • pp.48-60
    • /
    • 2021
  • 치아의 병적 이동으로 전치가 정출되고 수직 피개가 깊은 치주염 환자에서는 치주 염증 치료와 더불어 정출된 전치의 위치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깊은 수직 피개로 교정 장치 부착이 어렵고, 역학적으로 전치 압하보다 구치 정출이 더욱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골격적 장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구치 정출을 통한 상대적 전치 압하는 안모의 악화를 야기하므로, 치료 계획에서부터 이를 차단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가 정출되어 과개 교합을 보이는 치주염 환자에서, 철저한 치주 치료와 하악 전치에 부착한 cute bracket과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고정원 보강으로 하악 전치의 양호한 압하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8년간 경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