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mato root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3초

Efficacy of Soil Amendment with Medicinal Plant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Tomato

  • Kim, Young-Ho;Hafeez, U.Khan;Kim, Jung-Ho;Jeon, Yong-Ho;Lee, Eun-Jung;Chang, Sung-P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38-142
    • /
    • 2003
  • Soil amendments with oriental herbal medicines such as fruit of Anethum graveolens, flower buds of Syzygium aromaticum, rhizome of Cnidium officinale, rhizome of Coptis chinensis, root bark of Paeonia suffructicosa, stem bark of phellodendron amurense, and stem bark of Cinnamomum cassia at the rate of 0.2% (weight by volume of soil) significantly reduced Meloidogyne incognita infection (root gall formation) of tomato seedlings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were root bark of p. suffructicosa and stem bark of C. cassia as they gave minimum numbers of galls on tomato roots (4.7% and 8.9%, respectively, relative to control)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nother study with root bark of p. suffructicosa and C. cassia at different application doses also showed consistent results in reducing gall number. The control efficacy decreased as the application doses were lower-ed, indicating their dose-dependent control activities. These treatments significantly enhanced aboveground plant growths (total masses).

Enhancing Effect of Shimizuomyces paradoxu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nola, Plant Growth of Cucumber, and Harvest of Tomato

  • Sung, Gi-Ho;Shrestha, Bhushan;Park, Ki-Byung;Han, Sang-Kuk;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7-11
    • /
    • 2011
  • Shimizuomyces paradoxus showed no inhibitory effect against plant pathogen fungi, such as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and Alternaria solani. The S. paradoxus culture filtrate showed highe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tes in canola than distilled water and potato-dextrose broth. A conidial suspension of $1.0{\times}10^4/mL$ resulted in the highest growth stimulating effects on total plant length, and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s and roots in cucumber, when compared to the highest suspension concentration. Total plant length and shoot weight increased with the foliar spray treatment, and root length and root weight increased by simultaneous treatments of soil drenching and foliar spray in cucumber. Lower concentrations of the S. paradoxus conidial suspension increased the harvest of tomato fruit.

Cadmium-Induced Phytotoxicity in Tomato Seedlings Due to the Accumulation of H2O2 That Results from the Reduced Activities of H2O2 Detoxifying Enzymes

  • Cho, Un-Hai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107-114
    • /
    • 2004
  •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seedlings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CdC1_2$ (0∼100 $\mu$M) in the nutrient solution for up to 9 days were analyzed with the seedling growth, $H_2O_2$ production, glutathione levels and activity changes of enzymes related to $H_2O_2$ removal. The growth of seedlings was inhibited with over 50 $\mu$M Cd, whereas the levels of $H_2O_2$ and glutathione were enhanced with Cd exposure level and time. Meanwhile, Cd exposure increased the activities of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but decreased the activities of dehydroascorbate acid reductase (DHAR)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in both leaves and ro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tere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particularly involved in the $H_2O_2$ removal and the subsequent $H_2O$$_2$ accumulation could induce the Cd-induced phytotoxicity.

균근균 Glomus sp. 접종에 따른 고형배지경 오이와 방울토마토의 균근 형성과 생육 (Mycorrhizal Root Infection and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Plants by the Inoculated with Glomus sp. In solid Medium Culture)

  • 조자용;김영주;진서영;강성구;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1-349
    • /
    • 2004
  • 오이와 방울토마토에 Glomus sp.를 종자파종과 고형배지경에 정식시 각각 접종하여 생장과 수량반응 및 균근 감염 양상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오이와 방울토마토의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건물중 등의 전반적인 생장은 무접종 < 정식시 균근균 접종 < 파종시 균근균 접종의 순으로 양호하였으며, 과실수량반응은 종자파종시에 균근균을 접종할 경우 과실의 생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실의 당도도 증가하였다. 균근감염은 오이와 방울토마토 모두 주로 균사에 의하여 이루어 졌고. vesicle와 arbuscule에 의한 감염은 극히 적었다. 뿌리체내 균근균 감염율은 종자파종시 균근균 접종원 처리의 경우가 정식시에 균근균 접종원을 처리한 경우보다 높았다. 균근균 접종에 따른 과실 수확을 보면 오이의 경우 주당 과실수가 증가하였고, 토마토의 경우 주당 과실의 수확 중량이 증가하였다.

음이온에 의한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 $H^+-ATPase$ 활성 저해 (Inhibition of Microsomal $H^+\;-\;ATPase$ Prepared from Tomato Roots by Various Anions)

  • 신대섭;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67-72
    • /
    • 2001
  • 식물 뿌리세포의 원형질막 및 액포막에 위치하는 $H^+-ATPase$들은 세포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H^+-ATPase$의 생리활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마토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고, $H^+-ATPase$의 활성에 미치는 음이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음이온들이 $H^+-ATPase$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특히 효소의 저해정도가 다른 citrate와 인산을 선택하여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Citrate에 의한 ATPase활성저해는 3 mM 이상에서 나타났고, 20 mM citrate는 활성을 50-60% 저해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저해효과는 $Mg^{2+}$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여, citrate에 의해 저해된 ATPase 활성은 $Mg^{2+}$에 의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 mM $Mg^{2+}$을 첨가하였을 때, citrate에 의한 활성저해는 관측되지 않았고 ATPase활성은 대조활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citrate는 Mg^{2+}을 chelation함으로써$H^+-ATPase$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인산에 의한 ATPase활성저해는 3 mM 이상의 농도에서 나타났고, 30 mM 인산은 ATPase의 활성을 50% 저해하였다. 인산에 의해서 저해된 ATPase의 활성은 $Mg^{2+}$니 농도증가에 의해 회복되지 않아, 인산에 의한 저해효과는 $Mg^{2+}$과 무관하였다.

  • PDF

$Hg^{2+}$에 의한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 $H^+-ATPase$의 가역적 저해 ([$Hg^{2+} $-induced Reversible Inhibitions of Microsomal $H^+-ATPase$ Prepared from Tomato Roots)

  • 신대섭;조광현;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298-303
    • /
    • 1999
  • 토마토 뿌리조직의 마이크로솜 ATPpase활성에 대한 중금속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였고, enzyme-coupled assay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솜 이온펌프(ATP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여러 가지 중금속 이온들 중 $Hg^{2+}$은 마이크로솜 ATPp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Gd^{3+}$$Fe^{3+}$, $La^{3+}$, $Zn^{2+}$, $Pb^{2+}$ 등은 마이크로솜 ATPpase의 활성을 저해하면서 동시에 assay에 사용된 효소를 저해하였다. 그러나, $Cs^+$$Ba^{2+}$은 마이크로솜 ATPpase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Hg^{2+}$은 원형질막과 액포막에 위치하는 $H^+-ATPase$들의 활성을 $10\;{\mu}M$ 이상의 농도에서 현저히 저해하였고, 1 mM 이상의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하였으며, 두 효소들에 대한 활성저해의 Ki 값은 각각 $80\;{\mu}M$, $58\;{\mu}M$로 나타났다. $Hg^{2+}$에 의해 저해된 ATPpase의 활성은 DTT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회복되어, $Hg^{2+}$에 의한 ATPpase 활성저해는 가역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Hg^{2+}$이 원형질막과 액포막에 위치한 $H^+-ATPase$들을 비선택적이고 가역적으로 저해함을 보여준다.

  • PDF

고품질의 토마토묘 생산을 위한 광처리 기술개발 -일몰 후 광처리가 토마토묘 소질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Light-Treatment Technology for Producing Tomato Transplants of High Quality -Effects of End-of-day Light Treatment Affecting on the Quality of Tomato Transplants-)

  • 이귀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0
    • /
    • 2001
  • 일몰 후 적색 및 원적색 광처리가 토마토 묘 소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4일간의 광처리 기간동안 12일 간격으로 묘의 초장, 제1절간장, 줄기직경을 측정하였고, 실험 마지막 날에는 묘의 뿌리와 줄기를 분리 건조하여 각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적색광 처리는 식물의 초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적색광 식물의 초장신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적색 및 원적색광 처리가 식물의 초장에 미치는 효과는 광처리 시간이 10분 또는 20분이든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적색광 처리된 식물의 줄기직경이 대조구 및 원적색광 처리된 식물의 줄기 직경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광 처리는 원적색광 처리 및 대조구에 비해 줄기·뿌리의 건물중비가 작았다. 토마토 묘의 충실도에 미치는 광처리 효과는 적색광 처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원적색광 처리된 묘의 충실도가 가장 낮았으며 광처리 없는 대조구는 그 중간정도의 충실도를 나타내었다.

  • PDF

충북지방의 뿌리혹병 감염 포도나무 뿌리에서 분리한 Agrobacterium속 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grobacterium spp. Isolated from Roots of the Crown Gall-infected Grapevine in Chungbuk)

  • 양승업;박세정;이영기;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77-82
    • /
    • 2009
  • 최근 혹병이 심하게 발생한 충북지방의 포도나무의 뿌리로부터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속 세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분리균의 지방산 분석을 통한 MIDI에 의한 동정, 16S rDNA 염기서열, 생화학적 특성, 종 특이적 primer을 이용한 PCR 결과로 13개 분리균은 모두 A. tumefaciens로 동정 되었으며, 포도나무 혹병균인 A. vitis는 분리되지 않았다. 모든 분리균은 토마토와 포도나무의 줄기와 뿌리에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ep-PCR 결과 분리균은 A. tumefaciens와 일부 유사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병원균인 A. tumefaciens와 A. vitis와는 유사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충북 일부 지방의 MBA와 거봉에서 발생한 혹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토양이나 뿌리로부터 전반되지 않고 묘목을 통해서 전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점적핀 위치 관리 (Management of Dripper Position in Tomato Perlite Bag Culture)

  • 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3-419
    • /
    • 2009
  •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효율적인 점적핀설치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서, 지제부로부터 5cm 위치에 고정(F5), 15cm 고정(F15) 및 5cm~15cm로 이동(M5-15)의 3처리구를 두었다. 점적 핀 위치에 따른 배지 내 뿌리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루 배지를 9등분해 염색한 결과, F5 처리구에서는 다른 처리에 비해 뿌리량이 지제부 가까이에 좀 더 많았고 지제부에서 멀어질수록 뿌리량은 적었다. 지제부에 가까울수록 뿌리는 하위로 많이 발달해 있으며, 멀수록 배지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F15 처리구에서는 지제부에서 멀수록 뿌리가 많이 밀집되어 있었고 지제부에서 멀어질수록 위쪽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점적 핀 위치가 지제부로부터 5cm 위치에서 15cm로 이동한 M5-15 처리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뿌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펄라이트 자루 내 배지 부위별 수분 분포를 생육단계에 따라 조사한 결과, 처리에 관계없이 수직분포는 하부로 갈수록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하부에서 특히 많았다. 관수종료 1시간 후에는 상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중부 및 하부에서는 지제부에 가까울수록 수분함량이 많았다. 중앙과 양측 면 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수확량은 F15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는 점적핀을 지제부로부터 15cm에 위치시키는 것이 뿌리분포나 수확량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substance from Burkholderia cepacia, an endophytic bacteria obtained from roots of cucumber.

  • Park, J.H.;Park, G.J.;Lee, S.W;Jang, K.S.;Park, Y.H.;Chung, Y.R.;Cho, K.Y.;Kim, J.C.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5.2-96
    • /
    • 2003
  • In order to develop a new microbial fungicide for the control of vegetable diseases using endophytic bacteria, a total of 26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fresh tissues of 5 plant species. After they were cultured in broth media, their antifungal activities were screened by in vivo bioassays against Botrytis cinerea(tomato gray mold), Pythium ultimum(cucumber damping-off), Phytopkhora infestans(tomato late blight), Colletotrichum orbiculare(cucumber anthracnose),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barley powdery mildew). As the results of screening, 38 bacterial strains showed poten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at least one of 5 plant pathogens. A bacterial strain EB072 displayed potent disease control activities against 3 plant diseases. Among the bacterial strains with a pot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ucunlber anthracnose, three bacterial strains, EB054, EB151 and EB215, also displayed a potent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cutatum, a fungal agent causing pepper anthracnose. A bacterial strain EB215 obtained from roots of cucumber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 cepacia based on it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165 rRNA gene sequence. An antifungal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liquid cultures of B. cepacia EB215 strain by ethyl acetate partitioning,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invitro bioassay, Its structural determination is in progress by various instrumental analy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