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bramyci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다제내성을 갖는 플라스미드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Multidrug Resistant Plasmid of Staphylococcus aureus)

  • 김기현;이대운;김종명;문경호
    • 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6-490
    • /
    • 1992
  • The clinical isolate Staphylococcus aureus SA2 was resistant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methicillin, streptomycin, and tobramycin and harboured more than two kinds of plasmids. Transformation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40.98-kb plasmid(pKH2) encoded resistance to ampicillin, clindamycin, erythromycin, kanamycin, and streptomycin. The cleavage map of a pKH2 was determined by restriction enzyme mapping techniques. Cleavage map is given for BamHI, BglI, BstEII, SalI and XhoI.

  • PDF

다제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지고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플라스미드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Tetracycline Resistance Plesmid of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대운;문경호
    • 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9
    • /
    • 1995
  • The clinical isolate Staphylococcus aureus SA2 had four kinds of plasmids and was resistant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methicillin, streptomycin, tetracycline and tobramycin. Transformation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4.44 kb plasmid(pKH6) encoded resistance to tetracycline. The cleavage map of pKH6 was determined by restriction enzyme mapping techniques. The cleavage map is given for EcoRV, HindIII, HpaI, HpaII, KpnI and Xbal. Restriction endonucleases BamHl, BglI, BGIII, BstEII, EcoRI, HaellI, PstI, PvuII, SalI, Smal, and Xhol have no site on this plasmid. The restriction map revealed extensive structural homology between pKH6 and pT181.

  • PDF

돼지에서 분리한 Bordetella bronchiseptica의 항생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ordetella bronchiseptica Isolates from Pigs)

  • 조정곤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5
    • /
    • 1998
  • Susceptibility or resistance of the Bordetella bronchiseptica was determined by using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Each Bordetella bronchiseptica was tested fur sutraceptluility with 7 different antimicrobial agents.4 high prevalence of resistance (greater than 80 %) was found when Bordetella bronchiseptica was tested with amikacin (AK), ciprofloxacin ILrJl gentamlcin IGAgf, kanamycin (Kbf) and tobramycin (TM). However, the Bordetella bronchiseptica were sensitive to chloramphenicol (CP) and tetracycline (TC). Three different combination of drug resistance were observed : AM-CF-GM-TM (1 strain), AM-CF-GM- KM-TM (45 strains), and AM-CF-GM-KM-TM-CP (3 strains). The MICs against Bordetella bronchiseptica were 0.13 to >2.00 for TC, 4 to >648 for CP, 8 to >128 for CF 16 to >256 for GM, 16 to >256 for TM, 32 to >256 for KM and 64 to 256 for AM.

  • PDF

골수염 치료제인 항생제비드(CJ-40003) 유효성분의 일반약리작용 (General Pharmacology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New Antibiotic Bead (CJ-40003))

  • 김영훈;최재묵;온윤성;연규정;이윤하;김제학;이영수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1호
    • /
    • pp.97-104
    • /
    • 1999
  • A new antibiotic bead, CJ-40003 is a combination of three antibiotics, tobramycin, vancomycin and cefazolin embedded in bone cement, for the treatment of osteomyelitis. To evaluate the gen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J-40003, the effects of its active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in mice, rats, dogs and isolated guinea pig ileum. The combination of three antibiotics (CA) did not affect general behavior, central nervous system, smooth muscles, gastrointestinal system,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 and water and electrolytes excretion when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the doses of 0.3, 1 and 3 mg/kg, respectively, into experimental animals. The CA had no effect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the isolated guinea pig ileum to various spasmogen at concentrations of 1, 3 and 10 $\mu\textrm{g}$/ml,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ctive ingredients of CJ-40003 showed no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se studies.

  • PDF

소변 검체에서 분리된 Cysteine 요구성 Escherichia coli 1예 (A Case of Cysteine-Requiring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Urine Specimen)

  • 강지상;주세익;김의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7-51
    • /
    • 2009
  • A case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by cysteine-requiring Escherichia coli in a 5-years-old child with congenital vesicoureteral reflux is described. This bacterium was not grown on MacConkey agar plate for overnight culture, and after 48hrs, tiny colonies were observed. These colonies were not identified by VITEK2 and Walkaway 96i without cysteine supplementation. The isolate was susceptible for cefotetan, ciprofloxacin and imipenem, and resistant for piperacillin/tazobactam, cephalothin, cefotaxime, ceftazidime, amikacin, gentamicin, and tobramycin.

  • PDF

새로 개원한 병원 중환자실에서 주요 원내획득 폐렴 감염균의 연도별 항생제 내성율 변화 (Antibiotic Resistance for Common Hospital Acquired-pneumonia Pathoge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Newly Opened Hospital)

  • 이재형;신성준;김영찬;오승일;김미옥;박은주;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07-218
    • /
    • 2002
  • 배 경 : 중환자실은 병원 감염의 높은 발생률, 항생제 사용의 증가, 내성세균의 출현, 더욱 강력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감염증 치료 및 관리가 어렵다. 이에 중환자실 환자들의 감염증의 실태와 분리세균들의 항생제 감수성 동향에 대해서 기존의 여러 연구가 시행 된 바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5년 새로 개원하여 중환자실 시설에 병원 감염균이 없는, 한양대학교부속 구리병원의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환자실 원내획득 폐렴 3 대균주로 알려져 있는 Pseudomonas aeruginosa, MRSA, A cinetobacter species를 선택하여 항생제 감수성 동향을 관찰하고, 주요 균주의 감염증에서 합리적인 항생제 요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중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중환자실 원내획득 폐렴의 3대 균주 (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 cinetobacter species) 를 선택하여, 1995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개원이후 2000년 까지 중환자실에서 시행한 배양검사 상 흔히 사용하는 항생제의 개원 후 6년간의 연도별 내성율을 조사 하였다. 결 과 : S.aureus의 methicill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5%, 1996년 21%, 1997년 20%, 1998년 23%, 1999년 22%, 2000년 55% 였다. Pseudomonas aeruginosa의 3세대 cephalospor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50%, 1996년 50%, 1997년 78%, 1998년 40%, 1999년 77%,2000년 39%였다 lmipenam 내성율은 각각 1995년 0%, 1996년 27%, 1997년 65%, 1998년 12%, 1999년 16%, 2000년 12%였다. Ciprofloxac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0%, 1997년 56%, 1998년 36%, 1999년 57%, 2000년 58%였다. Tobramy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7%, 1996년 10%, 1997년 50%, 1998년 4%, 1999년 32, 2000년 15%였다. Gentami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4%, 1996년 36%, 1997년 67%, 1998년 36%, 1999년 65%,2000년 12%였다 Amika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4%, 1996년 30%, 1997년 61%, 1998년 16%, 1999년 39%,2000년 18%였다. Acinetobacter spp.의 3세대 cephalospor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92%, 1997년 89%, 1998년 88%, 1999년 84%, 2000년 77%였다. imipenam 내성율은 각각 1996년 50%, 1997년 48%, 1998년 45%, 1999년 49%, 2000년 50%였다. Ciprofloxac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0%, 1997년 48%, 1998년 33%, 1999년 27%, 2000년 71%였다. Tobramy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67%, 1996년 100%, 1997년 93%, 1998년 95%, 1999년 89%, 2000년 77%였다. Gentami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67%, 1996년 100%, 1997년 89%, 1998년 95%, 1999년 87%, 2000년 83%였다. Amika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33%, 1996년 83%, 1997년 82%, 1998년 88%, 1999년 75%, 2000년 69% 였다. 결 론 : 개원 후 6 년간 S.aureus의 methicillin 내성율, Pseudomonas aeruginosa의 quinolone 내성율, A cinetobacter spp의 quinolone 내성율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후 이들 항생제들에 대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새로 개원하는 병원 중환자실에서 감염증 환자의 배양검사 결과 전에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새로운 ${\beta}-lactam$계 항생물질(H-487)의 in vitro 항균활성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ovel Beta-lactam Antibiotics, YH-487)

  • 강희일;이종욱;정동효;원유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23-29
    • /
    • 1997
  • 7-Aminocephalosporanic acid (7-ACA)로부터 새로운 구조의 ${\beta}-lactam$계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7- ACA의 $C_3$ 위치에 thio1기를 도입하고 $C_7$위치 aminothiazole기를 결합시킨 신규 화합물 (YH-487)을 제조한 다음 이의 구조 확인과 항균활성, 작용기전, ${\beta}-lactamase$에 대한 안정성, 다른 항생물질과의 병용 효과 등을 검토한 결과 YH-487은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살균력이 CTX보다 우수한 신규의 제3세대 cephem계 물질이었다. 또한 YH-487의 살균작용 메카니즘은 PBP-lA, PBP-1B와 PBP-3의 친화성에 의한 세균의 세포벽 합성저해에 의한 것이었다. ${\beta}-lactamase$에 대한 안정성은 E. coli가 생성하는 TEM-1 type Pcase에는 cefotiam 또는 cefotaxime과 동등한 수준이었으나 Stahylococcus aureus가 생성하는 Pcase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생성하는 CSase와 Proteus vulgaris 생성의 Cxase에는 cefotiam 또는 cefotaxime 보다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어 ${\beta}-lactamase$에 대해 매우 안정한 약물임을 나타내었다. 한편 다른 항생물질과의 병용효과 실험결과는 gentamicin, tobramycin 그리고 amikacin과 병용시 녹농균에 대하여 상승효과가 인정되었고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하여는 amikacin과 병용시 상승작용이 있었다.

  • PDF

충청지역의 사람과 닭으로부터 분리된 Proteus속에 속하는 균주에 존재하는 항균제 내성유전자의 유전형 분석 (Characterizations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t Determinants in Proteus spp. Isolated from Humans and Chickens in the Chungcheong Province)

  • 성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7-334
    • /
    • 2016
  • 최근 사람과 가축에 항균제의 과도한 사용으로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들의 항균제 내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R과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충청지역 일개의 대학병원에 의뢰된 임상검체와 같은 지역에서 사육된 닭으로부터 분리된 P. mirabilis 균주를 대상으로 16S ribosomal RNA methyltransferase(RMTase) 유전자와 integron을 조사하였다. 또한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 sequence-based PCR (REP-PCR)을 이용하여 P. mirabilis 균주들의 역학적 연관성 조사하였다. 총 38균주의 P. mirabilis 중에서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7균주 (18.4%)만이 RMTases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amikacin, tobramycin, 및 gentamicin에 내성을 나타냈다. 또한 대상균주 중 23균주(60.5%)가 class 1 integron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lass 2 및 class 3 integron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integrons에는 aminoglycoside 내성유전자(aadA2, aadA5, aadA7, 및 aacCA5), ${\beta}$-lactmam 내성유전자($bla_{PSE}$), erythromycin 내성유전자(ereA), lincosamides 내성유전자(linF), 및 trimethoprim 내성유전자(dfrA12, dfrA17 및 dfrA32)등이 유전자 카세트로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 RMTase 유전자는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P. mirabilis 균주에만 확산되어 있었던 반면 class 1 integrons는 임상검체와 닭으로부터 분리된 P. mirabilis 균주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닭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중에는 동일한 REP-PCR 밴드패턴을 보인 균주들이 있었는데 이는 닭들 사이에서 P. mirabilis 균주가 수평확산 되었음을 의미한다. P. mirabilis 균주에서 항균제 내성유전자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내성유전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패하는 두부로부터 미생물의 분리ㆍ동정 및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Putrefying Soybean Curd)

  • 주길재;허상선;최용희;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2-298
    • /
    • 1998
  • 부패하는 두부에서부터 각종 미생물 18종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cereus, X. luminescens, A. calcoaceticus, Kl. pneumoniae, S. typhimurium, Pantoea sp., Bacillus sp., Cardiobacterium sp., E. coli, St. aureus, Yersinia sp. 등 11종의 각기 다른 미생물로 나타났다. 실온에서 두부의 부패 과정중 이들 미생물의 존재 함량은 B. cereus J55 23.37%, X. luminescens J48 22.37%, A. calcoaceticus J61 22.26%, X. Luminescens J48 22.73%, A. calcoaceticus J61 22.26%, Kl. pneumoniae J62 21.2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Bacillus sp. J58 1.43%, Cardiobacterium sp. J54 1.26%, E. coli J53 1.20%, St. aureus J60 0.93%, Yersinia sp. J50 0.05%로 존재하였다. 이들 미생물을 각각 두부에 접종하여 두부 부패성을 조사한 결과, B. cereus J55, X. luminescens J48, Ac. calcoaceticus J61, Kl. pneumoniae J62 등 4종류의 균주는 두부부패를 진행시켰으며 심한 변패취를 내었고 액즙이 혼탁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또한 proteinase의 활성 및 amylase의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7균주는 두부 부패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11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각종 항생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icacin, gentamicin, tobramycin 등 aminoside계 항생물질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penicillin G, oxacillin, cephalothin, cefazolin, cefamandole 등 $\beta$-lactamine계 항생제에 대해서 높은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경기인천 연안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항생제 내성 및 플라스미드 보유 현황 (Antibiotic Resistance and Plasmid Profile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Kyunggi-Incheon Coastal Area)

  • 한아름;윤영준;김정완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2-28
    • /
    • 2012
  • 장염비브리오는 우리나라에서 하절기에 발생하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으로 주로 해수 및 어패류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양환경 중 세균들의 분포도가 증가하고 또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병원균들이 확산되고 있어 국민보건 및 수산양식 등의 분야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지역 7곳에서 해수 및 어패류 시료를 채취하여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966건의 시료를 $CHROMagar^{TM}$ 및 TCBS 평판배지와 multiplex PCR기법으로 동정했을 때 전체 해수 시료의 61.9%, 어패류 시료의 41.8% 등 총 47.7%의 시료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3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97.3%와 87.3%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cephalothin (48.8%)과 rifampin (46.1%)에 대한 내성비율도 기타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1.7%)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91.8%)에 대해 가장 높았고, gentamycin (82.3%), tobramycin (74.8%), nalidixic acid (71.6%), tetracyclin (69.4%), cefotaxime (63.0%) 등의 순서로 감수성 비율이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69%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고 특히 11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균주도 2개 검색되었다. 항생제 내성 장염비브리오 분리균주들의 플라스미드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55.1%가 플라스미드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총 2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플라스미드 프로파일과 항생제 내성 간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