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elapsed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31초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의 사업계획승인, 건축허가에 따른 적용시점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the Tim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Energy-Saving Plan of Buildings Based on the Approval of Business Plan and Construction Permit)

  • 김대원;김영일;정광섭
    • 에너지공학
    • /
    • 제21권3호
    • /
    • pp.265-270
    • /
    • 2012
  • 에너지절약에 대한 규제가 심하고 국민 다수가 에너지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태에서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건축물이 건축허가가 지연되어 주변 신규 사업건과 함께 입주된 지역에서 관리비가 20~30% 차이가 발생한다면 심각한 민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사업계획승인 시점에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하되 주택법 시행령 제18조로 인한 공사착수가 연장이 되어 2년이 경과 되거나 지연 될 때에는 건축허가 시점에서 현 기준에 의한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적용하는 것이 국가 에너지계획이나 민원에 대한 미연에 방지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에너지절약계획서의 목적과 요소의 기술들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단순히 인, 허가 수순에 지나지 않는다면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검토하고 자문하는 것이 무의미한 시간 손실일 것이다. 정부나 건축주가 에너지 save측면을 공감하고 건물에너지효율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의 관리를 위한 종자 발아와 유묘의 생장 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Salix gracilistyla for Invasive Species Management)

  • 최호;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9-95
    • /
    • 2015
  • To suggest ecological management plans for invasion of Salix gracilistyla, stepwise environmental sieve of seed dispersal, germination, seedling and juvenile stages were investigated. About 84% of total seeds were released between May 6 and 10. Germination rates significantly declined with decrease of light intensity from 100% to 30% and 0% (p<.001), but above 60% of seeds germinated in all treatments. Difference of germination rates with 0 and 2cm water level was not significant (p = .571). With increase of elapsed time after seed dispersal, germination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and seed viability was lost within 16 days. Considering both germination rate of seed and survival rate of seedling, survival rate of all dispersed seeds was only 5% when 8 days passed after seed dispersal. All 22-day-old seedlings (height: 1cm) died under flooding of twice level as its height. With decrease of light intensity from 100% to 30%, survival rates of seedling decreased from 90% to 33% (p<.001). In the case of 45-day-old juvenile (height: 20cm), survival rate was 70% under the water level same as its heigh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of water level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juvenile (height: p<.001, dry weight: p<.01),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was 10% under +20cm-water level and 30%-light intensity condition. The following management plans for invasion of S. gracilistyla are recommended from these results. (1) Dry condition should be maintained at fringe of wetlands for about two weeks at seed dispersal and germination stage (early May~mid May). (2) Water level should be raised to about 5cm at fringe of wetlands for about two weeks at seedling stage (mid May~early June). (3) Water level should be raised to over 20cm at fringe of wetlands for a long time at juvenile stage. Planting trees for shading can raise management effectiveness (mid June~). (4) As water level manipulating is performed as fast as possible for controlling seedling and juvenile, management become easier and more effective.

분화성 갑상선암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시 전리함과 Geiger-Muller계수관에서 방사선량률 측정값 비교 (Comparison of the Measured Radiation Dose-rate by the Ionization Chamber and GM(Geiger-Müller) Counter After Radioactive Iodine 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 박광훈;김구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65-570
    • /
    • 2016
  •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는 분화성 갑상선암 환자에서 재발을 감소시키고 생존률을 증가시키나, 환자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으로 인하여 피폭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것이 방사선안전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시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 중 전리함과 GM계수관으로 측정된 방사선량률의 감도와 측정효율을 구하였다. 방사성 요오드($^{131}I$)를 150mCi 경구투여 받은 분화성 갑상선암 환자의 상복부로부터 1 m거리에서 경과 시간에 따라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선량률에서의 감도와 측정효율은 GM계수관보다 전리함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저선량률에서의 감도와 측정효율은 GM계수관보다 전리함이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시에 검 교정이 완료된 전리함과 GM계수관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환자에게 설명함으로써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퇴원하는 환자에게 환자가족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미칠 수 있는 방사선피폭을 예측하고, 불필요한 예단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김치 두루치기의 저온 저장 특성 (Effect on Cryopreservation Stability of Kimchi Duruchigi Supplement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 양미라;노건영;강석남;김삼웅;김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62-1369
    • /
    • 2015
  • 본 연구는 열수 추출된 복분자 분말을 김치두루치기에 첨가한 후 저온저장에 따른 품질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분자 추출물의 DPPH와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은 70.63%와 57.87%로 각각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샘플은 대조구(무처리), T1 (15% 복분자 추출물), T2 (30 복분자 추출물), T3 (0.5% 아스코르빅산; 양성대조구)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복분자 추출물 첨가 샘플은 대조구와 양성 대조구에 비교하여 저장 기간에 따라 pH는 온화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구에 비교하여 보수력이 개선되었다. 육색은 대부분 시간 경과가 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대조구보다 더 낮은 변화의 폭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는 저장일수와 처리에 상관없이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변패도는 대조구에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분석 결과 T1과 T2는 대조구와 양성대조구에 비교하여 더 좋은 맛과 풍미를 가지며, 전체 기호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첨가 김치 두루치기는 제품의 저장 안정성을 개선하고, 제품의 기호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제의된다.

배구 스파이크 서브 동작의 운동학적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Kinematic Analysis of a Volleyball Spike Serve)

  • 박종철;백진호;이진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71-680
    • /
    • 2009
  • 본 연구는 실제 경기에서 프로 배구선수 스파이크 서브의 성공과 실패 동작을 3차원 영상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과학적인 자료를 현장에 제공하고, 기술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스파이크서브를 수행하는 3명을 대상으로 카메라 4대를 이용하여 60 fields/s의 속도로 촬영하였다. 3차원좌표의 계산은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방법을 사용하였으며, Kwon3D(v.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총 소요시간은 구간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중심 수직위치는 성공 시 1.87 m로 실패 시의 1.91 m 보다 낮게 나타났고, 최대 볼 높이는 성공 시 6.31m로 실패 시의 6.42m 보다 낮은 볼 위치를 나타냈다. 임팩트 시점의 손 높이는 성공과 실패 시기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점프하기 직전까지 신체중심의 전후속도를 높였다가 점프하는 시점에서 수직속도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팩트 시 손 속도(17.11m/s)와 임팩트 직후 볼 속도(23.74m/s)는 성공 시기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성공 시기에서 견관절을 신전시키면서 타점을 놀게 하고, 주관절은 적절한 각도를 유지시키면서 빠르고 정확한 임팩트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체를 전후로 크게 움직이지 않고 어깨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수성고분자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펠로디핀 서방정제의 설계 (Formulation of Sustained-release Tablets of Felodipine using Hydrophilic Polymers and Non-ionic Surfactants)

  • 이진교;양성운;이봉상;전홍렬;이재휘;최영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4호
    • /
    • pp.271-276
    • /
    • 2006
  • Felodipine, a calcium-antagonist of dihydropyridine type, is a poorly water soluble drug and has very low bioavailability. As preceding studies, use of solid dispersion systems and surfactants(solubilizers) has been suggested to increase dissolution and to improve bioavailability of felodipine. But in case of solid dispersion systems, large amount of toxic organic solvents should be used and manufacturing process time become longer than conventional process. In case of using surfactants, as time elapsed, decreasing of dissolution rate of felodipine due to crystallization has been reported. In this study, Copovidon as a hydrophilic polymer and $Transcutol^{\circledR}$ as a surfactant were combined to formulations if order to increase dissolution of felodipine and conventional wet granulation process were applied to manufacturing of formulations. The effect of Copovidon and $Transcutol^{\circledR}$ on the dissolution oi felodipine was investigated in-vitro. When Copovidon and $Transcutol^{\circledR}$ used simultaneously, the dissolution rate of felodipine was prominently increased compared with when used separately and the maximum increase in the dissolution of felodipine was 5.8 fold compared to control. This is most probably due to synergy effect by combination of Copovidon and $Transcutol^{\circledR}$. Felodipine sustained release tablets were successfully formulated using several grades of HPMC as a release retarding agent. The stability of felodipine sustained release tablet was evaluated after storage at accelerated condition($40^{\circ}C/75%\;RH$) for 6months in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bottle. Neither significant degradation nor change of dissolution rate for felodipine was observed after 6months. In conclusion, felodipine sustained release tablet was successfully formulated and dissolution of felodipine, poorly water soluble drug, was prominently increased and also stability was guaranteed by using combination system of hydrophilic polymer and surfactant.

어류뼈를 이용한 칼슘제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of Calcium-based Powder from Fish Bone and its Characteristics)

  • 최종덕;김동수;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47-152
    • /
    • 1998
  • 수산가공 부산물을 기능성 식품가공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기능성 어류 뼈 칼슘제의 제조 조건(회수방법 및 autoclaving 시간) 및 칼슘제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명태 뼈에 물을 가하고 autoclaving한 칼슘제가 기타 방법으로 제조한 칼슘제에 비하여 칼슘함량은 낮았고, 수율 및 칼슘 가용화율은 높았다. 칼슘제 제조를 위한 autoclaving 처리시간은 40분간 처리한 것이 이보다 단시간 처리한 것보다 칼슘의 함량 및 가용화율은 높았고, 수율은 낮았다. 그러나 이보다 장시간 처리한 것과는 이들 성분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명태 뼈에 물을 가하고 40분간 autoclaving한 칼슘제가 기타 어종, 방법 및 autoclaving 시간으로 제조한 것보다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이 조건으로 제조한 칼슘제는 산성조건(pH 2)에서 1시간동안 진탕$(37^{\circ}C)$으로 거의 가용화 되었고, 이를 중성조건(pH 7.0)에서 3시간동안 진탕$(37^{\circ}C)$함으로서 약 59%가 가용화 되었다.

  • PDF

상추의 생산단계별 Chlorpyrifos 및 Procymidon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Persistence and Dislodgea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 김영숙;박주황;박종우;이영득;이규승;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5
    • /
    • 2002
  • 상추의 생산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상추수확물에서의 잔류수준과 검출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살충제 chlorpyrifos 및 살균제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 보관상태에 따른 잔류량 변화 그리고 세척형태에 따른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포장에서 상추중두 약제의 살포농도별 생물학적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기준량 살포의 경우 chlorpyrifos 1.2일 및 procymidone 1.3일 배량살포의 경우에는 chlorpyrifos 1.5일 및 procymidone 2.6일로 나타났다. 유통과정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두 가지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온(20$^{\circ}C$) 및 냉장(4$^{\circ}C$) 상태로 보관하면서 두 약제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반감기는 실온저장시 chlorpyrifos 3.8일, procymidone 20.9일이었고, 냉장저장시에는 chlorpyrifos 12.4일 procymidone 20.9일로 나타나 두 약제 모두 실온저장보다 냉장저장시 잔류량의 감소가 훨씬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세제 사용시의 평균 제거율은 chlorpyrifos 48.3%, procymidone 52.6%로 나타났고, 물 사용 시에는 chlorpyrifos 31.3%, procymidone 38.1%로 나타났다.

Prostaglandin $F2{\alpha}$ 투여가 수퇘지의 성행동과 정액 채취 훈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GF_2{\alpha}$ on Sexual Activity and Semen Collection Training)

  • 홍준기;유재원;조규호;김명직;박준철;김인철;정일병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2
    • /
    • 2009
  • Prostaglandin $F_2{\alpha}$ ($PGF_2{\alpha}$) can facilitate release of epinephrine from the adrenal gland. The objective was to extend these findings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PGF_2{\alpha}$ on sexual activity and semen collection training in sexually inexperienced boars. Boars (n=32; $281{\pm}18$ days of age) were moved individually once weekly to a semen collection room equipped with an artificial sow. Before entering the semen collection room, boar received i.m. treatments of $PGF_2{\alpha}$ at doses of 5 (n=8), 10 (n=8), or 20 (n=8), and control boar (n=8) were not treated. Reaction time (elapsed time after entering collection pen until the start of mounting) for boars receiving 5mg ($3.3{\pm}0.9\;min$), 10mg ($3.3{\pm}0.8\;min$) $PGF_2{\alpha}$ was shorter (p<0.05) than for controls ($6.7{\pm}0.9min$). Duration of ejaculation (min) per session was longer (p<0.05) for $PGF_2{\alpha}$ (10 mg, 20 mg)-treated boars ($7.3{\pm}0.7\;min$, $6.9{\pm}0.7\;min$), compared to control ($3.4{\pm}0.8\;min$).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 per boars was less (p=0.056) for $PGF_2{\alpha}$ 10mg-treated boars ($1.0{\pm}0.4$), compared to control ($2.0{\pm}0.4$). Semen characteristic such as volume, concentration, the number of total ejaculated sperm, were similar for $PGF_2{\alpha}$-treated and controls. There was no apparent difference on sperm movement characteristics (Mot: motility, VCL : curve linear velocity, VSL : straight line velocity, VAP : average path velocity, LIN : linearity) after semen preservation by collected with or without $PGF_2{\alpha}$ treatment. In summary, administration of $PGF_2{\alpha}$ in boars increased the sexual activity and facilitated the training boars to mount an artificial sow for semen collection, but did not affect semen characteristic.

유치 외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UMATIC INJURIES TO PRIMARY TEETH)

  • 정윤주;김광철;박재홍;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8-337
    • /
    • 2010
  •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2003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의 최근 5년간 치아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6개월에서 7세 미만(평균 2.8세)의 어린이 758명의 외상 받은 유치 153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의 진료기록 및 방사선 사진으로부터 내원한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발생빈도, 원인, 장소, 외상 후 치료까지의 경과시간, 월별발생률, 발생부위, 치아손상의 개수, 외상의 양상, 초진 시 처치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치의 외상은 남아가 여아보다 1.7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 1-2세, 2-3세에 많이 발생하였다(p<0.001). 2. 외상의 주요 원인은 넘어짐, 부딪힘으로 나타났고, 주로 저연령층 어린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p<0.05). 외상의 발생장소는 집안, 집밖, 유치원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후가 온화한 5월, 9월, 10월에는 집밖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3. 외상 후 주로 24시간 이내(77.6%)에 내원하였으며, 월별 치아외상은 겨울을 제외한 3-9월에 고르게 나타났다(p<0.001). 4. 가장 손상을 많이 받은 치아는 상악 유중절치로 나타났으며, 치아손상은 단일치아 또는 두 개의 치아 손상이 주로 나타났다. 5. 치주조직 손상이 치아경조직 손상에 비해 2배정도 많이 발생하였으며, 외상의 양상은 아탈구, 측방탈구, 법랑질파절, 함입, 치근파절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