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e

검색결과 2,233건 처리시간 0.024초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VI -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으로부터 sterol의 분리 - (Deveo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VI - Isolation of Sterol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Garland (Chrysanthemum coronarium L.) -)

  • 송명종;홍윤희;김동현;김대근;정인식;이윤형;김성훈;박미현;김인호;권병옥;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76-379
    • /
    • 2003
  • 쑥갓의 지상부를 MeOH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3종의 sterol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학구조는, NMR및 MS등의 스펙트럼을 해석하여, $stigmast-5-en-3{\beta}-ol\;(1,\;{\beta}-sitosterol),\;stigmast-4-en-6{\beta}-ol-3-one$ (2), $stigmast-4-en-6{\alpha}-3-one$ (3)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와 3은 육상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죽세장식타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 Decorating Tiles)

  • 조규춘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7-126
    • /
    • 2001
  • 대나무의 시대적 사상 의미를 재분석하여 21C 문화산업 시대에 천연 소재로서 새로운 의미와 환경친화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나무의 잠재유효성과 함께 미래 죽재산업과 죽세공예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매합판 및 대나무 모양지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직능별 기술제휴로 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죽세장식타일을 개발하였다. 대나무 수종과 특성, 원자재 가공 및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고 급변하는 기술로 전통 기능과의 접목 표현상 기술(記述)적 오류를 재 규명하였으며, 죽재합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응용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죽세장식 타일은 대나무 모양지를 바탕으로 한 가구문(door)장식과 실내장식용으로 개발하였다. 문양 디자인은 한국 전통 문양으로 십장생의 장수, 새천년을 의미한 거북, 학, 사슴을 단순하게 패턴화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해, 산 시리즈는 대쪽의 바림 효과를 통한 빛살 이미지와 죽재질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卍 문양은 우주의 신비, 불교시찰 의미와 함께 전통 조각보완 칠교판 놀이, 아리랑 등의 이미지를 총합하여 한국 문양으로 장식성을 높였다. 죽세장식타일은 본 연구자의 20여 년 간 죽세가공 기술경험 축척과 담양 죽물공예단지 설비 및 가구 제작업체의 공조하에 이루어졌다. 현재 원자재 가공은 현지(담양)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제품 개발과 함께 대학 내 디자인 벤처 '조선대방'에서 제작 납품하고 있다. 개발 제품은 가구 업체 주문에 의해 가구문에 장식되어 시판 중에 있다.

  • PDF

실험실규모 반응조 운전을 통한 고밀도 해산어 양식장 순환수 처리공정으로서 EMMC공정의 적용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f Applying EMMC Process to Recirculation Water Treatment System in High Density Seawater Aquaculture Farm through Laboratory Scale Reactor Operation)

  • 정병곤;김병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6-121
    • /
    • 2004
  • 고밀도 순환여과식 해산어 양식장의 순환수 처리에 EMMC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공정의 운전효율에 유기물 및 암모니아성 질소 부하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리학적 체류기간을 12시간에서 10분까지 점차적으로 줄여가며 실험을 실시하였다. HRT 2시간까지는 수리학적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그 이하의 체류시간에서는 체류시간 단축에 따른 제거효율의 감소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COD의 경우에는 체류시간 단축에 따른 급격한 제거효율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으며 10분 정도의 체류시간에서도 90%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메디아 충진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변화를 보면 HRT가 1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메디아 충진율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가 극히 미미하였다. 그러나 1시간 이하의 체류시간에서는 그 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 충진량이 많을수록 제거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50%이상의 메디아 충진이 반응조 운전효율 측면에서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함을 나타내어 경제성 등을 고려할 경우 25%정도만을 충진 시키는 것이 오히려 합리적이라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의 경우에도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메디아 충진율 50%와 75%사이에는 처리효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25%충진 반응조와의 차이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 vitro에서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In vitro selection of fungicides for control of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caused by Pestalotiopsis theae)

  • 장태현;임태헌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0-56
    • /
    • 2001
  • 국내에 등록된 살균제를 대상으로 Pestalotiopsis theae (SP-3)에 의해 발생되는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 방제약제 선발을 위하여 in vitro에서 병원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약제 중 prochloraz, tebuconazole, fluazinam, fludioxonil, iminoctadine-triacetate 등은 $10{\mu}g/m{\ell}$에서 85% 이상, dichlofluanid과 chlorothalonil은 각각 10%, 33%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나, benomyl은 전혀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이들의 균사생장 최소억제농도 (MIC)는 iminictadine-triacetate가 P. theae SP-3 균수에 대해서는 $10{\mu}g/m{\ell}$인 반면, 대조균인 P. theae $\underline{MAFF}$ 752002와 P. longiseta $\underline{MAFF}$ 752001에 대해서는 $1{\mu}g/m{\ell}$ 미만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 fluazinam, tebuconazole의 MIC는 $10{\mu}g/m{\ell}$이었고, Benomyl, chlorothalonil 및 dichlorofluanid의 MIC는 $1,000{\mu}g/m{\ell}$ 로 나타났다. 분생포자의 발아는 $1{\mu}g/m{\ell}$의 prochloraz, tebuconazole, fluarinam, fludoxonil, iminoctadine-triacetate가 함유된 배지에서 80% 이상 억제되었고, benomyl, chlorothalonil, dichlofluanid이 함유된 배지에서는 각각 40%, 60%, 30% 억제되었다. 단감나무 잎 절편과 공시균의 포자현탁액을 이용한 약효 검정에서 $10{\mu}g/m{\ell}$ iminoctadine-triacetate는 93% 이상 발병 억제력을 보였으나 동일 농도의 benomyl과 dichlofluanid는 발병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예방 및 치료 효과는 Fludoxonil, tebuconazole, fluazinam 및 iminoctadine-triacetate이 94% 이상을 보인 반면, benomyl과 dichlofluanid은 예방과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3-phenylisoxazole 및 3-phenyl-2,5-dihydroisoxazol-5-one 유도체의 합성과 살균활성에 관한 구조-활성관계 (Synthesis and quan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n the antifungal activity of 3-phenylisoxazol and 3-phenyl-2,5-dihydro-5-isoxazolone derivatives)

  • 성낙도;유성재;이희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26
    • /
    • 2001
  • 기질 물질로서 일련의3-phenyl-2,5-dihyoisoxazol-5-one(A) 및3-phenylisoxazole(B)유도체는 친핵성 첨가-제거반응($Ad_{N-E}$)으로 (A)가 (B)보다 높은 수율로 합성되었으며 정량적인 구조와 저항성(PRC) 및 감수성(SPC)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살균 활성과의 관계(QSAR)를 검토하였다.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은 공통적으로 benzoyl고리에 결합된 치환기의 폭인 $B_2$ 상수의 적정값(약$4.0{\AA}$)에 의존적(RPC: $(B_2)_{opt.}=3.74{\AA}$ 및 SPC: $(B_2)_{opt.}=3.99{\AA}$)이었으며 치환기가 RPC에는 전자끌게로 작용한 반면에 SPC에는 전자 끌게로 작용하지 않았다. Free-Wilson 분석결과, RPC 및 SPC,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은 (A)가 (B)보다 컸으며 할로겐과 acetyl-치환체가 기여하였고, RPC에는 cyano, methoxy 및 methyl-치환체 등이 선택적으로 기여하였다.

  • PDF

제주도 토양에서 EPN의 용탈과 잔류 (Adsorption and residues of EPN in the soil of Cheju Island)

  • 김정호;감상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5
    • /
    • 2000
  • 제주도 토양에서 EPN(O-ethyl-O-4 -nitrophenyl phenylphosphonothioate) 유기인계 농약의 이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제주도의 흑색 화산회토인 남원토양, 농암갈색 화산회토인 애월토양 및 암갈색 비화산회토인 무릉토양에서 EPN의 흡착과 토양칼럼에서 용탈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연안해수와 저니토에서의 EPN 잔류를 조사하였다. 남원토양, 애월토양, 무릉토양의 유기물함량은 각각 19.8%, 6.2%, 2.4%였고, 양이온 치환용량은 각각 24.8 meq/100g, 13.0 meq/100g, 9.5 meq/100g이었다. Freundlich 상수 k는 남원토양, 애월토양, 무릉토양에서 각각 89.4, 26.9, 9.2로 남원토양>애월토양>무릉토양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즉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 치환용량이 매우 높은 토양인 남원토양에서 흡착능이 높았다. Freundlich 상수 1/n은 유기물 함량이 많은 남원토양에서 0.82로 1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이 적은 무릉토양에서는 1.07로 1보다 높았다. EPN의 토양 중 용탈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토성별 용탈 경향은 농약의 흡착능이 큰 남원토양이 가장 침출이 적었고, 흡착능이 작은 무릉토양은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났다. 한편 EPN은 도두와 위미에서의 해수와 저니토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우리나라 농산물중의 잔류농약과 안전성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Its Countermeasures for Safety)

  • 송병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2
    • /
    • 1992
  • 농산물은 모든 인간이 섭취해야하는 식품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생산공급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안정적인 생산공급을 위해서는 천재지변을 제외하면 병해충의 방제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농약은 병해충 방제에 가장 확실하고 최종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병해충 방제에 사용된 농약이 농산물 중에 잔류되어 우리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해 대책마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나라는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MRL)을 선정하여 고시하고 이를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또한 농산물의 생산단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한편 신규 농약의 등록 시에는 안전성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농약만을 고시하고 있으며 사용중인 농약이라고 위해성이 문제 될 때는 단계적인 시험조사와 자료검토를 통하여 규제의 범위를 결정하고 있다. 최근에 조사한 국내 생산 농산물 중의 농약잔류량은 MRL을 초과하는 것이 없으며 이들을 식품으로 했을 때의 농약 섭취량도 개개의 농약은 물론 잔류농약 전체를 합하여도 ADI에 휠씬 못미치고 있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금후에도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서 생산자인 농민이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철저히 준수하여 농약을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농약잔류량의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계속 확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회전형 반고정망 활성슬럿지 공법의 수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2. 슬럿지 생산량 및 축적과정과 유출수의 수질에 대하여 (STUDIES ON THE MATHEMATICAL KINETICS FOR THE REMOVABLE MOVING SCREEN MEDIA-ACTIVATED SLUDGE PROCESS)

  • 한웅전;한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5-179
    • /
    • 1979
  • 대체로 활성슬럿지 공법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처리후의 미생물의 분리, 슬럿지 반송, 잉여슬럿지의 소화이다. 반면에 생물학적 고정막을 이용한 RBC, 실수여과상, 고정층활성 슬럿지 공법들은 이와같은 문제가 해소된다. 최근 침전시설 및 농축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느 반고정망 활성슬럿지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 공법은 최종 처분할 슬럿지량도 감소되며, 유출수의 수질도 양호하고 최대축척용량으로 유출수의 수질은 추정할 수 있으나, 반응조가 동적인 수리학적 양상의 결여 되어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응조가 좀더 동적 수리학적 양상이 되도록 설계하여 운전하였으며 그 운전결과는 다음과 같다. REMSMAS 공법은 침전시설 및 농축시설없이도 양호한 유출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슬럿지 부착능력도 RESMAS 공법이나 FAST 공법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축척용량에 도달되는 한계운전기일은 대략 유기물부하량에 비례하였다.

  • PDF

크릴을 이용한 순두부 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SOY CURD POWER WITH SOYBEAN AND KRILL)

  • 한봉호;김근숙;조덕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7-141
    • /
    • 1979
  • 두부가공조건 및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료대두이 수침시간으로는 10시간이 적당하였다. 두유의 응고온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80^{\circ}C$가, GDL을 응고제로 사용할 때는 $90^{\circ}C$가 적당하였다. 응고제의 농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원료대두에 대하여 $2%$가, GDL은 $3%$가 적당하였다. 수율과 제품의 단백질 함량면으로 보아 GDL의 사용이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사용 보다 효과적이었다.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는 두유를 분무건조함으로써 가능하였으며, 두유에 크릴즙을 혼합하여 분무건조하여 독특한 색택과 향미를 지닌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응고제를 두유와 크릴즙과 함께 혼합, 분무건조하여 순두부제조시 응고제를 달리 사용할 필요가 없는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산소를 이용한 정어리 액화단백질 농축물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LIQUEFIED SARDINE PROTEIN CONCENTRATE BY ENZYMIC METHOD AND ITS UTILIZATION)

  • 김장양;한봉호;이근태;조덕재;김세권;김수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3-153
    • /
    • 1979
  • 정어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저장성이 길고 용해성이 좋은 액화단백질 농축물의 제조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정어리를 통째로 마쇄하고 같은 량의 물과 산소를 가하여 가수분해할 때, 첨가하는 단백질 분해산소의 온도는 육량에 대하여 $0.2\%$, 처리온도는 $55^{\circ}C$, 처리시간은 4시간이 적당하였다. 액화단백질에 $15\%$의 활성탄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처리함으로써 탈색 및 탈취를 동시에 행할 수 있었다. 제품의 지방 및 단백질함량과 용해성으로보아 정어리를 가수분해, 용매 추출, 탈색, 탈취 및 농축하는 방법보다는 isopropyl alchol로써 추출하여 얻은 분말단백질을 액화하는 방법이 유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