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flat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2초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45-151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Tidal-Flat Sedimentation in a Semienclosed Bay with Erosional Shorelines: Hampyong Bay, West Coast of Korea)

  • 장진호;김여상;조영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2호
    • /
    • pp.117-126
    • /
    • 1999
  •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우리 나라 서해안의 함평만 조간대에서 지형, 퇴적물, 집적율, 해안절벽의 침식율 등을 조사하였다. 함평만 조간대는 전반적으로 조류세곡(tidal creek)의 발달이 미약하고, 고조선 해빈(high-tide beach), 조간대 사주(intertidal sand shoal) 등에 의해 지형적 기복이 표시되며, 대체로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지형단면을 보인다. 조간대 퇴적물은 해안절벽의 침식에 의해 공급된 육상기원의 조립 퇴적물(자갈, 모래)과 조석작용에 의해 바다로부터 공급된 세립 퇴적물(펄)이 다양하게 혼합됨으로써 복모드형 입도분포, 불량한 분급, 양의 왜도 등의 조직적 특성을 보인다.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 분포는 대체로 저조선 방향과 만 입구 방향으로 세립해지는 경향을 보여, 조간대의 일반적 경향과 다르다. 조간대층은 대부분 생물교란에 의해 균질화된 상태이며, 만 입구의 펄질 조간대에서 제한적으로 렌즈상층리(lenticular bedding), 평행엽리(parallel lamination) 통이 관찰된다. 조간대의 침식은 상부 조간대와 하부 조간대를 중심으로 추로 봄철(3~5 월)과 겨울철(10~3월)에 우세하며, 침식우세 지역의 경우 연평균 침식율이 5.2 cm/yr에 이른다. 침식에 의한 해안절벽의 후퇴는 내만역의 절벽에서 최고 1.4 m/yr의 속도로 이루어지는데, 대체로 초여름(5~6 월)에 우세하여 조간대의 최대 침식시기(봄철)와 1~2 개월의 시간차를 보인다. 이렇듯 함평만과 같은 전형적인 반폐쇄적 환경 내에서 조간대와 해안절벽이 침식되는 까닭은 풍파와 지역적 해수면 상승의 상호작용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Interpretations from a Marine Benthic Ecologist's Perspective (I) - Physical Environment

  • Yoo Jae-Won;Hong Jae-Sang;Lee Jae Jun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99-209
    • /
    • 1999
  • Before investigating the long-term variations in macrobenthic communities sampled in the Chokchon macrotidal flat in Inchon, Korea, from 1989 to 1996, we need to understand how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ea vary. As potential governing agents of tidal flat communities, abiotic factors such as mean sea level, seawater,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re considered. Data for these factors were collected at equal intervals from 1976 or 1980 to 1996, and were analyzed using a decomposition method. In this analysis, all the above variables showed strong seasonal nature, and yielded a significant trend and cyclical variation. Positive trends were seen in the seawater and air temperatures, and based upon this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the biological sampling period of our program has been carried out during warmer periods in succession. This paper puts forth some hypotheses concerning the response of tidal flat macrobenthos communitie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including mild winters in succession.

  • PDF

다중시기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화옹지구의 간척사업에 따른 갯벌면적의 변화 추정 (Estimation of Areal Change in Hwa-ong Tidal Flat due to Sea Dike Construction Project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 김성준;방노성;권형중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3-7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imple estimation method of tidal flat areas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due to the progress of sea dike construction for tidal land reclamation. As a case study, Hwa-ong project in which dike construct

  • PDF

비식생 갯벌의 블루카본 저장량 산정 및 영향인자 분석 (Calculation of Blue Carbon Stock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n Bare Tidal Flats)

  • 박경덕;강동환;조원기;소윤환;김병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67-779
    • /
    • 2022
  • In this study, sediment cores were sampled from tidal flats (six sites) in the west and south coastal wetlands, the blue carbon stock in the tidal flat sediments was calculated, and the blue carbon stock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The sediment particle size of the west coastal tidal flat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south coastal tidal flats, and the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outh coastal tidal flats was more than twice that of the west coastal tidal flats. Blue carbon stock per unit area was 28.4~36.8 Mg/ha on the west coastal tidal flats and 69.8~89.8 Mg/ha on the south coastal tidal flats, which was more than twice higher in the south coastal tidal flats than in the west coastal tidal flats. The total amount of blue carbon stock in the tidal flats was the highest in Suncheon Bay tidal flats at 153,626 Mg, and followed by Gomso Bay tidal flats at 141,750 Mg, Hampyeong Bay tidal flats at 58,420 Mg, Dongdae Bay tidal flats at 44,900 Mg, Cheonsu Bay tidal flats at 36,880 Mg, and Jinhae Bay tidal flats at 26,205 Mg. Blue carbon stock per unit area was higher in the south coastal tidal flats, but the total amount of blue carbon stock in the tidal flats was higher in the west coast. The slope of the regression function of blue carbon stock with respect to the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tidal flat sediments was estimated to be about 0.05 to 0.07, and the slope of the regression function was higher in the west coastal tidal flats than in the south coastal tidal flats.

한국 남서해안 갯벌의 저서돌말류 종조성 및 생물량 (Composition of Benthic Diatom Species and Biomass in the Tidal Flat of Southwestern Coast in Korea)

  • 공세훈;신윤근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10-619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남서해안 갯벌 중 유부도, 곰소만, 임자도, 여자만 갯벌의 저서돌말류 종조성 및 생물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8월과 9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부도 갯벌에서 저서돌말류는 48속 181종, 곰소만 갯벌에서 51속 194종, 임자도 갯벌에서 64속 224종, 여자만 갯벌에서 56속 188종이 출현 하였으며, 총 70속 274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 가운데 중심돌말목보다 우상돌말목이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중심돌말목의 Paralia sulcata와 Navicula spp.였다. 유부도 갯벌의 생물량은 정점별로 $18.8{\sim}136.1mg\;m^{-2}$, 곰소만 갯벌 $31.9{\sim}215.7mg\;m^{-2}$, 임자도 갯벌 $2.9{\sim}120.2mg\;m^{-2}$, 여자만 갯벌 $10.1{\sim}147.7mg\;m^{-2}$, 4개 지역의 총 생물량 범위는 $2.9{\sim}215.7mg\;m^{-2}$였다. 엽록소 a의 분해 산물인 phaeopigment 농도로는 유부도 갯벌에서 $1.7{\sim}470.8mg\;m^{-2}$, 곰소만 갯벌에서 $52.3{\sim}277.2mg\;m^{-2}$, 임자도 갯벌에서 $0.6{\sim}78.9mg\;m^{-2}$, 여자만 갯벌에서 $39.1{\sim}346.3mg\;m^{-2}$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지역의 종 다양성과 생물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국의 남서해안은 다양한 저서돌말류가 서식하며 엽록소 a의 높은 농도는 일차생산력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다.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주요 우점 저서 규조류의 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dominant Benthic Diatoms on the Mangyung-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오상희;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4-37
    • /
    • 1991
  • 저서규조류의 분포와 서식지 환경에 대한 조사가 서해에 위치한 만경-동진 펄 조 간대에서 이루어졌다. 총 60개의 정점으로부터 표층퇴적물을 정량적으로 취하여 서식 규조류의 종류를 파악하고, 개체수를 세었다. 퇴적물 입도분석을 하였으며, 정점별도 대기에 노출되는 시간의 길이로 계산하였다. 퇴적물은 외해쪽 또는 하부조간대로 갈수 록 조립해지고, 강하구쪽 또는 상부조간대로 갈수록 세립해진다. 총 371 분류군이 채 집되었으며, Navicula와 Nitzschia가 가장 우점하는 속이었다. 총 출현 개체수에서 1% 이상을 차지하는 규조는 다음6종이다. Paralia sulcata, Navicula sp. 1, Navicula arenaria, Cymatosira belgica, Amplora holsatica, Amphora coffeaeformis, Achnanthes hauckiana, Rhaphoneis amphicero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avicula sp. 2, Dimeregramma minor, Amphora sp. 1, Cyclotella atomus, C, striata, Nitzschia kuetzingiana, Stephanodiscus sp. 1.이들 16종의 조사정점에 따 른 개체수 분포를 기재하였다. 우점종의 대부분은 니질성 규조이며, 그 분포범위 는 매우 넓다. 사질성규조인 무배선, 단배선형에 속하는 종들은 하부조간대에 국한되 어 분포한다. 사질성규조로서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의 것들이다. Cocconeis sp. 1, Opephora martyi, Amphora sabyii, Dimeregramma minor var. nana, Fragilaria virescens var. oblongella, F. virescens, Cocconeis grata. 일정 면적당 개체수는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상부조간대와 강하구에서 많다.

  • PDF

줄포만 갯벌의 입도특성 및 중금속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Particle Composi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s for Tidal Flat Sediments in Julpo Bay, Korea)

  • 김종구;유선재;안욱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7-256
    • /
    • 2008
  • 줄포만 갯벌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를 위하여 갯벌 퇴적물을 대상으로 입도특성 및 유기물 그리고 중금속 조사를 실시하였고, 퇴적물중의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줄포만 전체 갯벌의 입도는 연안과 직각방향인 F라인에서 대부분 Clay질이 우세한 반면, 만의 연안측면에 위치한 R과 L라인에서 Silt질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서 Silt-Clay 또는 Clay-Silt가 대부분이었다. 평균입경은 3.7 ${\phi}{\sim}$ 10.4 ${\phi}$의 범위로 평균 7 ${\phi}$ 이상의 높은 평균입도를 나타내어 퇴적물 분류학상 세립질 퇴적물(4 ${\phi}$ 이상)에 해당되었다.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는 연안에서 직각방향으로 뻗은 F라인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연안 측면을 따라 조사된 L과 R라인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갯벌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를 보면 연안의 직각방향인 F라인보다 연안측면의 R과 L라인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중금속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유기물과 입도는 양호한 상관성을 보였고, 입도 평균치와 중금속의 일부 원소와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지만, 중금속 원소간에는 약간의 상관성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중금속 오염도 평가를 위하여 미국 EPA와 NOAA 그리고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제시한 중금속 오염기준을 적용해 보았다. 줄포만 갯벌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는 미국 EPA 기준에서 항목별 편차는 있었으나 대부분이 Nonpolluted와 Moderaterly polluted에 속하였고, NOAA의 기준에서는 대부분이 ERL 이하의 오염수준을 보였다.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제시한 기준안에서는 대부분이 목표수준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Spectral Reflectance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by using Spectroradiometer Experiments and Landsat Data

  • Kim, Bum-Jun;Lee, Sungsoon;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1-422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pectral reflectance of intertidal zone and its chang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We sampled sand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and measured its spectral reflectance by using a spectroradiometer under various water contents, compositions and granularity. We also simulated the reflectance of Landsat 7 ETM+ and compared it with an actual satellite data. Five locations were selected for sampling from the coastline towards the ocean. Grain size diminished stepwise from the coastline to ocean direction, while spectral reflectance differed with wavelength. Water contents lowered the overall reflectance especially at the water absorption bands. Spectral reflectance data were then converted into the simulated one by using Landsat 7 ETM+ spectral reflectance function to be compared with the actual Landsat 7 ETM+ images. It showed the decrease of the spectral reflectance due to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s from seashore towards the ocean. It is shown that Landsat 7 ETM+ imagery can be efficient to extract moisture contents in the tidal flat while compositional analysis needs satellite sensors with much higher spectral resolution.

다양한 토양 환경에서 Methyl tert-Butyl Ether와 그의 대사산물이 노출되었을 때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논, 밭, 갯벌 시료 비교 (Effect of Methyl tert-butyl Ether and Its Metabolites on the Microbial Population: Comparison of Soil Samples from Rice Field, Leek Patch and Tidal Mud Flat)

  • 조원실;조경숙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03-413
    • /
    • 2008
  • Toxic effect of methyl tert-butyl ether (MTBE), tert-butyl alcohol (TBA) and formaldehyde (FA) on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was compared in rice field, leek patch, and tidal mud flat soil samples. MTBE, TBA and FA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dded into microcosms containing these soil samples, and plac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days. Then the microbial activities such as dehydrogenase and viable cell numbers and microbial community using a DGG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fingerprinting method were measured. Among the samples, dehydrogenase activity in rice field was inhibited the most by MTBE, TBA and FA. The toxic effect was higher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s: FA > MTBE > TBA. Dominant species in the microcosms contaminated with MTBE, TBA and FA were Chloroflex, Bacilli, gamma-proteobacteria in the rice field sample, Sphingobacteria, Flavobacteria, Actinobacteria, Bacilli, gamma-proteobacteria in the leek patch sample, and Sphingobacteria, Flav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in the tidal mud flat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