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volume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초

하구갯벌에 있어서 퇴적유기물의 기원 해석 (The Origin of Sediment Organic Matters at Tidal Flat in Estuary)

  • 신우석;이용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6
    • /
    • 2010
  • 하구 간석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계절적 변동 특성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나나키타강 하구 갯벌의 세립토 함유율(<63 ${\mu}m$), Chl.a, TOC, C/N비 및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delta}^{13}C$, ${\delta}^{15}N$)를 측정했다. 그 결과, 모래질 갯벌에서는 해양성 기원 유기물과 부착 조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진흙질 갯벌에서는 육지 기원 유기물의 영향이 컸다. 게다가 퇴적물중의 유기물량과 유기물의 기원은 계절에 따라 변동 하는 것이 분명하고, 그 요인으로서는, 모래질 갯벌에서는 부착 조류와 고조(高潮) 및 월파(越波)에 의한 퇴적이 주요인이었으며, 진흙질 갯벌에서는 육상에서의 유기물의 유출에 의한 퇴적이 특징적이었다.

비정상류 조건에서 경사식호안매립장에 대한 침투이류 분산해석 (Seepage-Advection-Dispersion Numerical Analysis of Offshore Rubble Mound Revetment Landfill Under Transient Flow)

  • 황웅기;김향은;김태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9
    • /
    • 2020
  • 본 연구는 비정상류 조건에서 오염원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식호안 해상폐기물매립장 차수시스템에서 오염원의 이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차수시스템은 바닥과 측면으로 구성하였다. 바닥차수시스템은 불투수 점토층이 측면차수시스템은 HDPE 차수시트가 주 역할을 하고 부수적으로 중간보호층이 차수를 담당한다. SEEP/W와 CTRAN/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침투·이류 분산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조석에 따른 수위변동을 고려한 비정상류 조건 하 에서의 전수두, 간극수의 유속벡터가 시간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바뀌고 오염원 분산 농도가 변화하였다. 조석차 2m일 경우와 8m일 경우를 비교하면 조차가 클수록 비정상류조건에서의 오염물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오염원 농도 변화율이 조석의 변화에 따라 오염원 농도 변화율 기울기의 변화되어 결과적으로 오염원 유출이 정상류 상태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Detection of Microphytobenthos Using Spectral Unmixing Method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Korea

  • Lee, Y.K.;Won, J.S.;Ryu, J.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53-855
    • /
    • 2003
  • Microphytobenthos that supply nutrients to the intertidal ecosystem play an important part as a primary producer. If we estimat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microphytobenthos, we can possibly calculate a volume of primary product in the tidal flat and its effect to the intertidal ecosystem. To estimate the portion of microphytobenthos, we used a linear spectral unmixing (LSU) method. LSU is a tool for inference the proportions of the pure components (or end-members) in a mixed pixel. The selection of end-members is critical to LSU. The end-members can be selected either from spectral libraries built from field surveys or from a remotely sensed image. We compared the two approaches of end-member selection, and the preliminary results showed end-members from from spectral library are as effective as those from image itself.

  • PDF

수치실험을 이용한 남해 중부 연안의 하계 수온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ummer Water Temperatures of the Central Coast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Using Numerical Experimentation)

  • 최민호;서호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3-90
    • /
    • 2017
  • 본 연구는 해수유동모델을 이용하여 하계 한국 남해안 양식장 부근에서 수온의 시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한국 남해 조류의 흐름은 창조시 서향, 낙조시 동향하며, 쓰시마 난류의 흐름은 50 m보다 깊어지는 외양에서 연안에 비해 강하게 동북향 하였다. 조류, 바람, 쓰시마 난류 및 실시간 수온을 고려한 해수유동에서 하계 수온의 분포는 반폐쇄성 해역에서 $26{\sim}28^{\circ}C$로 높게 나타났으며, 외양으로 갈수록 낮아져 $18{\sim}22^{\circ}C$로 나타났다. 반폐쇄성 내만의 형태를 가지는 해역의 해수교환량을 계산한 결과 광양만 $10,331m^3/sec$, 여수-가막만 $16,935m^3/sec$, 그리고 거제-한산만은 $13,454m^3/sec$로 나타났다. 해수교환량이 적은 해역일수록 수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감조하천(感潮河川)의 하구(河口) 밀도류해석(密度流解析) (Analysis of Density Current in the Tidal River)

  • 서승덕;박성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70-76
    • /
    • 1986
  • 평균조차(平均潮差)가 10cm내외(內外)인 포항(浦項) 영일만(迎日灣)으로 유입(流入)하는 형산강(兄山江)의 감조구간(感潮區間)을 채택(採擇)하여 유역내(流域內)의 부조(扶助) 수문기준점(水文基準點)에서 관측(觀測)한 자료(資料)와 하천유량(河川流量) 및 수질측정자료(水質測定資料) 등을 근거(根據)로 밀도유현상(密度流現象)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일만(迎日灣)의 조석현상(潮汐現象)은 1일(日)1회조(回潮)이며 대조차(大潮差) 0.104m, 소조차(小潮差) 0.066m, 평균조차(平均潮差) 0.085m로써 해면(海面)의 변동(變動)은 매우 작았다. 2. 감조구간내(感潮區間內)에는 해수(海水)의 영향(影響)으로 인(因)하여 약(約) 270만(萬)$m^3$ 이상(以上)의 물이 저류(貯溜)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염분농도(鹽分濃度)가 $750{\mu}{\mho}/cm$ 이하(以下)로써 관개용수(灌漑用水)로 이용(利用) 가능한 수량(水量)은 약(約) 120 만(萬)톤에 달(澾)하고 있다. 3. 해수침투현상(海水浸透現象)은 간만(干滿)의 차(差)에 의한 수위변화(水位變化)는 작으나 만조시(滿潮時) 염분침입(鹽分侵入)이 탁월(卓越)하여 뚜렷한 층(層)이 형성(形成)되는 성층밀도류(成層密度流)가 되고 간조시(干潮時)에는 염수(鹽水)쐐기가 후퇴(後退)하면서 쐐기 상류단(上流端)의 염분(鹽分)이 담수(淡水)와 혼합확산(混合擴散)되면서 유하(流下)하여 잘 혼합(混合)된 하구(河口)를 형성(形成)한다. 4. 염수(鹽水)쐐기의 길이는 5.9km로 계산(計算)되었으나 실제로는 4.4km지점(地點)에 설치(設値)된 연일(延日) 잠수교(潛水橋)의 영향(影響)으로 인(因)하여 동지점(同地點)에서 $S=320{\mu}{\mho}/cm$로써 염수(鹽水)의 침투(浸透)가 중단(中斷)된다. 5. 담수(淡水)와 해수(海水)사이에 어떠한 크기의 밀도차(密度差)가 존재(存在)하는 한(限) 수로(水路)바닥을 따라 흐르는 순상류(純上流) 방향(方向)의 흐름이 존재(存在)한다.

  • PDF

부산신항 연결잔교부의 해저수심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물질수송량 해석 (Analysis of the material transportation under water-depth variation scenario at pier-bridge of Busan New-port)

  • 이영복;류승우;류청로;;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1-6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신항과 낙동강 하구역의 접점인 연결잔교를 통해 소통되는 해수의 수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현장관측결과와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연결잔교부를 통한 물질수송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장조사를 통한 해수수송량 관측결과는 1차 관측기간 동안 단위시간당 해수수송량은 $184.71m^3/sce$이고, 잔차해수수송량은 $59.74m^3/sec$로 신항만에서 낙동강 하구역 방향으로 유출되었다. 또한 2차 관측기간 동안 단위시간당 해수수송량은 $331.15m^3/sec$이고, 잔차해수수송량은 $28.88m^3/sec$로 낙동강 하구역에서 신항만 방향으로 유출되었다. 연결잔교 주변의 수심변화를 고려한 3가지 시나리오의 수치모의 결과에서 신항만 지역에 항내매몰로 수심이 저감된 경우에는 약 $0.7\sim18.4%$ 물질수송량이 저감하게 되며, 해수소통 향상을 위해 낙동강 하구역 지역에 수로준설(수심 5m 가정)을 할 경우 약 $3.5\sim21.9%$의 물질수송량이 증가하였다.

  • PDF

인공호흡시 호흡기류 계측 센서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for Artificial Ventilation)

  • 이인광;박미정;김경옥;신은영;손호선;차은종;김경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25-431
    • /
    • 2015
  • 응급상황에서 중환자에게 시행되는 인공호흡 과정 중 호흡기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센서의 계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호흡기류 센서의 압력-기류 특성식을 산출하였으며, 인공호흡시에 인가되는 호흡기류신호와 유사한 6가지 파형을 표준기류생성시스템으로 생성하여 호흡기류 센서에 가하면서 기류신호를 측정하였다. 이 기류신호로부터 일회호흡용적과 최대기류값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표준기류생성시스템에 부착되어 있고 물리적으로 오차가 없는 선형변위센서로부터 측정한 용적신호에서 산출한 표준값과 비교하였다. 일회호흡용적의 상대오차는 3% 이내이었으며, 최대기류값은 약 5% 정도로서 충분히 정확한 기류 계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제 응급상황에서 호흡기류 센서로 적용하여 응급 중환자의 호흡신호와 호흡주기별 진단변수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장수술 환아에게 기도흡인과 기관지 확장제의 투여 방법이 활력징후 및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racheal Suction and Method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on Vital Signs and Pulmonary functions in Patients with Open Heart Surgery(OHS))

  • 송효숙;전태국;박표원;김경은;정지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6-107
    • /
    • 200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racheal suction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methods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Ultrasonic nebulizer: MDI puff, MDI puff with spacer) in VSD surgery patients. Material & Method: From June 2001 to March 2002, sixty consecutiv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n= 15), ultrasonic nebulizer group (n=15), metered dose inhalation (MDI) puff group (n=15) and MDI with spacer group (n=15). Vital signs (HR, BP, CVP), ABGA and pulmonary functions were measured before suction (baseline for suction), after suction, 15 minutes after suction (base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30 minute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and 2 hour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Stas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cheal suction. One way ANOVA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multiple range test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lbuterol inhalation. Result: 1. Heart .ate in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suction (p<.01) and recovered 15 minutes after suction. 2. $PaO_2$ and PH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suction (p<.05) and $PaO_2$ recovered 15 minutes after suction. $PaCO_2$ increased immediately after suction and significantly 15 minutes after suction (p<.01). But changes in vital signs and ABGA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3. Tidal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15 minutes after suction (p<.05). 4. Changes of HR and tidal volume were greater in the nebuizer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5) 30 minute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and recovered 2 hours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5. Changes of airway deadspace was greater in the nebulize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MDI puff group 30 minutes after albuterol inhalation (p<.05) and at 2 hours (p<.01). Conclusion: Tracheal su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vital signs and pulmonary functions after OHS. Although the methods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pulmonary function, the nebulizer method increased $PaO_2$ (20%) and tidal volume transiently. If the patient needs bronchodilator inhalation with bronchospasm after OHS, the nebulizer method is the best choice. More study on the effects of bronchodilator inhalation in bronchospasm group is needed.

  • PDF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 방법이 폐환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상복부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which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 In Upper Abdominal Operation Patients -)

  • 김종혜;변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8-280
    • /
    • 1991
  •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the pulmonary complication and of the function lowering of pulmonary ventilation which emerge with high generation frequency during the nursing of operation patient i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qualitative nursing for operation patient. So, this researcher tried this study so as to obtain the data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by grasping the effect that the deep breathing with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nalysing the factor to have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nd applying the effective method of deep breathing to the clinic. By making 42 patients who underwent the operation of upper abdomen after admitting G Hospital in Seoul from Mar. 7, 1991 to Apr.30, 1991 as the object,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was made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nter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exercise was made without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And then, by measuring Tidal Volume and Forced Vital Capacity with Respirometer and $O_2$ Saturation with Pulse Oximeter at preoperation postoperation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x$^2$-test, t-test and ANOVA by SP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As for the hypothesis tha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t postoperation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will be bett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was made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that deep breathing was made without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dal Volume, Foreced Vital Capacity and $O_2$ Saturation at postoperation 24 hours and 72 hours. But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dal Volume at postoperation 120 hours (p<0.01). So,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partially. 2. The variables tha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experiment group at postoperation 24 hours stastically were smoking existence (p<0.05), and the variables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were distinction of sex, age, anesthetic duration, smoking extent, body weight, surface area of body, existence of narcotic use, regular exercise existence, and past experience existence of respiratory disease. As above result, it appeared that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the Incentive Spirometer is more effective for the function recovery of pulmonary venti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deep breathing without use of Incentive Spirometer and that smoking existence was the factor to have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the aspect of clinic, the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of deep breathing with use of Incentive Spirometer is expected. And, in the aspect of study, the study through various operative site patients about the effect of Incentive Spirometer use at the clinic will have to be confirmed.

  • PDF

The Effect of Bag-Valve Mask Using Skill Education with Flowmeter

  • An, Juyeong;Kim, Hwan-Hui;Yun, Hyeo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19-229
    • /
    • 2022
  • 본 연구는 백-밸브마스크 술기교육에 호흡량측정기를 활용한 중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흡량측정기를 적용한 중재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백-밸브마스크 술기의 정확도를 비교하여 호흡량측정기를 활용한 백-밸브마스크 술기교육에 의한 일회 환기량 제공 개선 효과를 파악하여 술기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중재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0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교육 전·후 일회환기량 정상범위 대상자 수를 비교하면 중재군의 정상범위 백분율은 교육 전 32.8%, 교육 후 86.7% 이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대조군도 교육 전 20.0%, 교육 후 34.7% 이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일회환기량 정상범위 포함 횟수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10.305, 1.20-87.98), 소방실습경험(31.674, 1.25-805.16), 중재여부(92.750, 4.58-1879.69)가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백-밸브마스크를 이용한 교육에 호흡량측정기를 활용한 중재가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응급구조(학)과 전공 학생 교육에 반영할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