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ensity Current in the Tidal River

감조하천(感潮河川)의 하구(河口) 밀도류해석(密度流解析)

  • Suh, Seung Duk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 Park, Sung Bae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서승덕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박성배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Published : 198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of the tidal river development program by grasping the diffusion between the high density-sea water and the low density-fresh water in the tidal river. The tidal range of Hyungsan river which flows at Youngil bay in Pohang was selected to analysis the phenomenon of density curr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The tide of Youngil bay was one time a day, 0.104m in high tide difference and 0.085m in mean tidy difference. The change of sea level by tide was negligible. The volume of reserved water by sea water was $2,700,000m^3$ and available water of irrigation was $1,200,000m^3$ that salt density is below $750{\mu}{\mho}/cm$ out of total volume. Salt intrusion phenomenon by density current was a little water level change, however, it become a salt wedge type by the much salt invasion during the spring tide and it makes a well-mixed type by the retreating salt wedge during the neap tide. As long as there were some density differences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net upstream flow was existed along the bottom of water way from the estuary to the upstream channel.

평균조차(平均潮差)가 10cm내외(內外)인 포항(浦項) 영일만(迎日灣)으로 유입(流入)하는 형산강(兄山江)의 감조구간(感潮區間)을 채택(採擇)하여 유역내(流域內)의 부조(扶助) 수문기준점(水文基準點)에서 관측(觀測)한 자료(資料)와 하천유량(河川流量) 및 수질측정자료(水質測定資料) 등을 근거(根據)로 밀도유현상(密度流現象)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일만(迎日灣)의 조석현상(潮汐現象)은 1일(日)1회조(回潮)이며 대조차(大潮差) 0.104m, 소조차(小潮差) 0.066m, 평균조차(平均潮差) 0.085m로써 해면(海面)의 변동(變動)은 매우 작았다. 2. 감조구간내(感潮區間內)에는 해수(海水)의 영향(影響)으로 인(因)하여 약(約) 270만(萬)$m^3$ 이상(以上)의 물이 저류(貯溜)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염분농도(鹽分濃度)가 $750{\mu}{\mho}/cm$ 이하(以下)로써 관개용수(灌漑用水)로 이용(利用) 가능한 수량(水量)은 약(約) 120 만(萬)톤에 달(澾)하고 있다. 3. 해수침투현상(海水浸透現象)은 간만(干滿)의 차(差)에 의한 수위변화(水位變化)는 작으나 만조시(滿潮時) 염분침입(鹽分侵入)이 탁월(卓越)하여 뚜렷한 층(層)이 형성(形成)되는 성층밀도류(成層密度流)가 되고 간조시(干潮時)에는 염수(鹽水)쐐기가 후퇴(後退)하면서 쐐기 상류단(上流端)의 염분(鹽分)이 담수(淡水)와 혼합확산(混合擴散)되면서 유하(流下)하여 잘 혼합(混合)된 하구(河口)를 형성(形成)한다. 4. 염수(鹽水)쐐기의 길이는 5.9km로 계산(計算)되었으나 실제로는 4.4km지점(地點)에 설치(設値)된 연일(延日) 잠수교(潛水橋)의 영향(影響)으로 인(因)하여 동지점(同地點)에서 $S=320{\mu}{\mho}/cm$로써 염수(鹽水)의 침투(浸透)가 중단(中斷)된다. 5. 담수(淡水)와 해수(海水)사이에 어떠한 크기의 밀도차(密度差)가 존재(存在)하는 한(限) 수로(水路)바닥을 따라 흐르는 순상류(純上流) 방향(方向)의 흐름이 존재(存在)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