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cs disorde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한의원에 내원한 틱장애 아동 환자의 한의복합치료 후 개선 효과: 후향적 관찰 연구 (Effect of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n Tic Disorder in Children Who Visited the Neuropsychiatric Clinic of Korean Medicine: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 김동희;최유민;유종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1-69
    • /
    • 2023
  • Objective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n tic disorder in children who visited the neuropsychiatric clinic of Korean medicine. Methods: Medical records of 35 patients diagnosed with tic disorder based on DSM-V who received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Korean psychotherapy) were reviewed. Tic disorder was then evaluated by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YGTSS) before and at 4, 8, and 12 weeks after treatment to determine whether their symptoms were improved. Results: 1) After the treatment, mean YGTSS was reduced from 35.54±14.77 to 23.20±12.6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between scores according to the time of treatment (p< 0.05). 2) At the time of visit, symptoms of motor tics were in the order of eyes, neck and shoulders, mouth, head and arms & hands, nose, face, upper body and other parts, and legs and symptoms of vocal tics were in the order of sniffing, dry coughing and MMM, AA and whistling, and other sounds. 3) For 35 patients, herbal medicine was prescribed every two weeks. The frequency of prescriptions used was in the order of Shihogayonggolmoryo-tang, Gami-ondam-tang, and others. 4) The frequency of herbs used in 35 patients was in the order of Poria, Zingiberis Rhizoma Recens, Pinelliae Rhizoma and Scutellariae Radix, Bupleuri Radix, Ostreae Concha and Bovis Ossis Fossilia, and others. Conclusions: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includ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Korean psychotherapy is effective for reducing tic symptoms in children.

틱 장애 및 소아기 발병 강박 장애 (TIC DISORDER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 CHILDHOOD)

  • 홍현주;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183-191
    • /
    • 2005
  • 뚜렛 장애는 음성틱과 운동틱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기의 대표적인 신경발달학적 행동장애이다. 소아기 발병 강박장애는 강박장애의 한 아형으로써 틱장애와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다. 두 질환은 처음 진단시, $40\~75\%$에서 서로 공존질환으로서 발견되며, 유전학적으로도 관련성이 있으며 신경해부학적으로도 피질-선초체-시상 회로(cortico-striato-thalmic circuit)의 이상이 보고되며 증상적인 면에서도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10여년 동안 틱장애와 소아기 발병 강박장애 영역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뚜렛 장애를 포함하는 틱장애와, 소아 청소년 발병 강박 장애에서 1) 임상 양상 2) 유전학 및 역학 연구 3) 뇌영상 연구 4)신경화학 5) 연쇄구균 감염 관련 소아기 자가면역성 신경정신과적 질환(p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al infection : PANDAS)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공존질환에 따른 OROS-Methylphenidate의 효과와 안전성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Osmotic Release Oral System-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rding to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 윤형준;육기환;전덕인;석정호;홍나래;조성식;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3호
    • /
    • pp.147-155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osmotic release oral system-methylphenidate (OROS-MPH)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This was an 8-week open label study of OROS-MPH monotherapy. The subjects were 113 children with ADHD aged 6-12 years. Outcome measures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ADHD Rating Scale (K-ARS), Korean version of the Conners Parent Rating Scale (K-CPRS),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and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Side effects were monitored using Barkley's Side Effect Rating Scale. We compared the change-over-time in the mean scores of the outcome measure according to the comorbidity of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tic disorder. Results: The mean K-ARS and K-CPR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gardless of the comorbidity. The mean doses of OROS-MPH and dropout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comorbidity. The OROS-MPH was well tolerated, regardless of the comorbidity. However, children with tic disorder reported a higher frequency of tics or nervous movements between the $2^{nd}\;and\;8^{th}$ week than those without tic disorder. Conclusion: The OROS-MPH i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symptoms of ADHD, and it is well tolerated, even by patients with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 PDF

만성 틱 장애 뚜렛씨 장애의 임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 신성웅;임명호;현태영;성양숙;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03-114
    • /
    • 2001
  • 뚜렛씨 장애는 근육틱과 음성틱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이다. 만성 틱장애는 근육틱 혹은 음성틱중 하나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 4월 1일부터 1999년 4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만성 틱 장애 아동과 뚜렛씨 장애 아동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학습장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틱장애(n=13)와 뚜렛씨 장애 환자(n=29)의 평균 발병연령은 각각 $7.3{\pm}2.5$, $7.2{\pm}2.2$세, 입원시 연령은 평균 $11.7{\pm}2.7$, $11.5{\pm}2.6$세, 입원기간은 $5.7{\pm}5.4$, $11.0{\pm}8.7$주였고 두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학습장애의 경우 발병연령($4.2{\pm}1.9$세)이 두 장애보다 빠르고 의료기관을 찾는 시기($9.8{\pm}3.2$세)도 빨랐다. 출생 계절은 틱장애 환자들에서 6월에서 9월 사이가 가장 적었지만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남녀의 성비율은 각각 10:3, 26:3, 11:5였고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가 출생할 때의 아버지와 어머니 연령은 세 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각각 24.1%, 46.2%, 56.3%였다. 발병전 유발 요인이 확인된 경우는 만성틱장애와 뚜렛씨 장애에서 11.1%와 35.7%로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학습장애(56.3%)에 비해서는 적었다. 셋째,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환자의 지능지수는 각각 언어성 지능 $92.3{\pm}10.7$, $94.7{\pm}14.9$, $94.3{\pm}13.8$이었고, 동작성 지능은 $93.0{\pm}20.5$, $97.5{\pm}13.0$, $95.0{\pm}16.9$이었으며, 전체 지능은 $91.9{\pm}20.1$, $95.8{\pm}14.5$, $93.9{\pm}15.1$로서 세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기질적 뇌장애 소견은 CT/MRI 등에서 0%, 27.3%, 6.3%, 뇌파 이상은 8.3%, 17.2%, 12.5%에서 나타났고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넷째, 항도파민 약물에 대한 반응은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환자에서 각각 84.6%, 77.0%가 부분관해를 보였고 완전 관해된 경우는 한 명도 없었으며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공동 유병현황을 조사한 결과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학습장애에서 의미 있게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 결과 입원한 환자의 경우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학습장애를 가진 환자와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구분해야 하는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 PDF

소아 청소년 정신과 입원 환자에서 Risperidone의 효과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CHILD &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

  • 박정현;김붕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239-250
    • /
    • 2005
  • 목적 : 소아 청소년 정신과 환자에서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인 risperidone에 대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에서 2002년 6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risperidone이 사용되었던 5.4세에서 17.3세 사이의 환자 31명(남 18, 여 : 13)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진료기록지 검토를 시행하였다. 결과 : Risperidone이 사용된 주된 정신과 진단은 정신분열병 및 기타 정신증,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I형 양극성 장애, 뚜렛장애, 자폐스펙트럼 질환, 혼합형 표현성 및 수용성 언어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품행장애, 강박장애 등이었으며 이 중 12명에서 정신지체가 동반되었다. Risperidone사용의 주된 목표 증상은 정신병적 증상(n=13, $41.9\%$),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 상동증 등과 같은 행동 증상(n=10, $32.3\%$), 만성적이고 심한 틱 증상 (n=8, $25.8\%$)이었다. Risperidone의 효과는 risperidone의 목표 증상에 대한 CGI(Clinical Global Improvement)로 평가되었는데 $67.7\%$에서 중등도 이상의 호전을 보였고 평균 7.5개월 동안 치료효과가 유지되었다. Risperidone의 평균 하루 사용량은 $0.05{\pm}0.1mg/kg$이었으며, 정신병적증상군이 0.07mg/kg로 다른 두 증상군(0.04mg/kg)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 부작용으로는 체중증가(n=23)가 가장 흔하였으며 그 외 추체외로계 증상(n=15), 자율신경계증상(n=6), 진정작용(n=5), 고프로락틴혈증(n=2)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을 변경한 경우는 없었으며 외래 마지막 방문 시 $90\%$에서 risperidone을 유지하고 있어 약물내약성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인 risperidone은 정신병적 증상,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 상동행동을 포함하는 행동증상, 만성적이고 심각한 틱증상 등 다양한 소아 청소년 정신병리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risepridone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뚜렛 증후군에서의 경두개 자기자극술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 이문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3-10
    • /
    • 2010
  • 뚜렛 증후군은 주로 아동기에 발생하는 만성적인 운동 및 음성 틱을 주소로 하는 질환이다. 기저핵-시상-피질 회로에서의 이상이 비자발성 틱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뚜렛 증후군은 흔히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나 강박장애와 병존한다. 경두개 자기자극술은 연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신경생리학적 기법이다. 이 기법이 피질의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증거들이 많아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술은 피질의 활성도를 바꾸어서 결과적으로 내재한 서로 연결된 피질-피질하 회로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치료적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경두개자극술의 여러 신경생리학적 변인들과 임상적 응용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보고들을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 PDF

뚜렛 증후군 환자에서 자해로 인한 혀 손상 : 증례 보고 (Self-inflicted Tongue Ulceration in a Patient with Tourette Syndrome: A Case Report)

  • 이꽃님;김미애;황인경;박지현;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7-333
    • /
    • 2016
  • 틱이란 불수의적이고 갑작스러운 소리냄과 리듬이 없는 근육의 움직임을 말한다. 다수의 운동틱과 한 가지 이상의 음성틱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뚜렛 증후군으로 분류되며, 운동틱에 의한 자해 행위는 뚜렛 증후군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본 증례에서 9세 소년이 혀의 심각한 궤양을 주소로 신경정신과로부터 의뢰되었다. 두 달 전부터 시작된 반복적인 혀 씹기에 의해 궤양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환아는 그로 인한 식이 및 연하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우리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상, 하악이 분리된 가철성 장치를 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장치의 지속적 사용이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환아는 장치 장착에 동의하였으며 잘 적응하였다. 3주 후 혀의 병소가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구강 내 자해 행위를 치료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침은 없다. 따라서 임상가는 약물 치료를 비롯하여 구강 내 장치 적용이나 관련 치아의 연마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복합틱장애 증상이 있는 딸을 둔 부부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amily Therapy for Parents with a Daughter Suffering from Multiple Tic Disorder)

  • 박태영;유진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47-63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a counseling case in which a mother requested counseling due to the problems of her daughter, who suffers from multiple tic disord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five family members (grandmother, father, mother and two female children) and a total of 23 sessions were held from September 2006 to December 2007. Additional counseling ($24^{th}$ counseling session) was conducted on April 1st, 2009. The data was based on recorded transcripts and notes from 24 family therapy sessions. The study used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hich uses matrix and network display as an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iles&Huberman(1994).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of origin and the indifference of the husband had caused the wife stress. The couple had frequent conflicts due to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s, a clash of values, sexual dissatisfaction, and a lack of communication. This marital conflict became the primary factor of the daughter's multiple tic disorder. Intervention of the family therapist resulted in the setting of treatment goals based on MRI's communication theory and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aughter's multiple tic disorder. Also, the therapist's intervention techniques included exploring experiences with the family of origin, shedding light on the 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exploring dysfunctional attempts at solutions, the therapist's self-disclosure, providing similar cases, dealing with resistance, and suggesting a new communication method. To solve the problem, the therapist helped the family separate the daughter spatially from her parents. Therefore, the therapist's intervention helped reduce the daughter's tics and improve relationships among the family.

FCST 치료로 호전된 틱장애 환자 치험 1예 (A Case Report of Motor Tics Improved by Intraoral Appliance of FCST)

  • 엄태민;김현태;유호룡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5권sup호
    • /
    • pp.6-10
    • /
    • 2015
  • 본 증례에서는 발병한지 3개월된 틱장애에 대해 약 7개월 간의 FCST 치료법이 양호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틱장애 증상의 정도는 YGTSS를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1주(${\pm}1$일)간격으로 방문때마다 측정이 이루어졌다. YGTSS 점수가 치료 도중 몇차례 초진 시 측정점수인 24점보다 상승한 적이 있었으나 곧 호전되었으며, 최종 치료 종결시에는 5점으로 초진 점수에 비해 현저하게 호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호전된 상태는 추적관찰 중에서 2015년 10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저자는 본 증례를 FCST 치료를 통하여 틱장애를 호전시킨 유의한 증례라고 판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틱장애의 환경적 요인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 Tic Disorders)

  • 정용우;박태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3호
    • /
    • pp.133-140
    • /
    • 2010
  • Tic disorders, including Tourette syndrome, are known as neurobiologic disorders and as such, muc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isolating genetic determinants. Although previous reports involving studies of discordance among monozygotic twins have shown the importance of genetic predisposition, they have also supported a role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ic disord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 to their clinical expression.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recent reports regarding the rol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tics. Specific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either with a more severe course of illness or improved outcomes were discussed. Given that accumulating evidence had suggested the usefulness of behavior therapies in the suppression of tic disorders, particular emphasis was placed on the impact of several contextu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