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c disorde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7초

구강안면 근긴장이상을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posterior zirconia occlusion and mandibular implant support fixed prosthese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with orofacial dystonia)

  • 서종민;정창모;이소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9
    • /
    • 2023
  • 구강안면 근긴장이상(Orofacial dystonia)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얼굴, 입술, 혀 및 턱 주변을 불규칙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신경운동학적 장애로 틱장애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갖는 무치악 환자는 총의치 사용의 어려움과 더불어 언어 장애 및 연하곤란, 구강안면의 통증까지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문제점들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완전 무치악 상태를 경험하게 된 구강안면 근긴장이상 환자를 위해, 양측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치료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미소훈련을 시행하여 안면근육의 심미적인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치료의 결과, 환자는 저작기능과 심미성이 향상된 것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해진 것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구안와사(口眼喎斜)에 대한 한의(韓醫) 및 한(韓)·서의(西醫) 협진(協診) 치료(治療)의 임상(臨床) 관찰(觀察) (Comparative Clinical Study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Oriental-western Medicine Treatment on Facial Nerve Paralysis)

  • 강미정;김기현;황현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55-66
    • /
    • 2000
  •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d after examing 72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who were hospitalzed and treated through the time period of December 1st, 1996 to November 30th, 1999 at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of Seoul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During the examination, those 72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ne group was treated by oriental-western treatment, the other group was treated by oriental treatment. Oriental treatments wer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herb medicine, physical treatment and hygienic treatment. The one of main western treatments is steroid therap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regard to signs at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lacrimation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facial paralysis, dysgeusia, hyperacusis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2. In regard to prescription of oriental herb medicine, Kamissangbotang(加味雙補湯) was prescribed in greatest numbers and Boyangwhanotang(補陽還五湯), Kamiboiktang(加味補益湯), Ligigepungtang(理氣祛風湯) were prescribed in numerical order. 3. In regard to treatment number, 10~19 times for treatment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1~9 times, 20~29 times, 40~49 times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 4. In regard to mean treatment times about injury region and main sign, the effect of oriental-western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lacrimal gland disorder, hyperacusis, dysgeusia, facial paralysis were treated for 15.1, 27, 13.2 and 21.4 times, repectively. The effect of oriental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lacrimal gland disorder, hyperacusis, dysgeusia, facial paralysis were treated for 34.8, 22.1, 33.8 and 16.3 times, respectively. 5. In regard ta the effect of treatment about injury region and main sign, oriental-western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cases of lacrimal gland disorder were showed 1 of excellent case, 1 of fair case, 5 of good cases. In hyperacusis patients, there was showed 1 of fair case. In dysgeusia patients, there was showed 1 of excellent case, 3 of fair cases, 1 of good case. In facial paralysis, there were showed 5 of fair cases. Oriental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In lacrimal gland disorder, the excellent were 4 cases, the fair were 10 cases, the good were 3 cases and the poor were 4 cases, In hyperacusis, the fair were 5 cases, the poor 2 cases. In dysgeusia, the excellent were 4 cases, the fair were 1 case, the good were 1 case and the poor was 1 case, In facial paralysis, the excellent were 9 cases, the fair were 4 cases, the good 3 cases and the poor were 3 cases. 6. The effect of total treatment was as follows: 30 cases were showed fair effect, 19 cases were showed excellent effect, 13 cases were showed good effect and 10 cases were showed poor effect. 7. In regard to attack factor, overlabour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wind-cold, mental stress, trauma, ear disease, common cold, dental diseae, reason unknwon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8. In regard to premonitory symptoms, non significant symptoms were in 38 cases, the pain of peri-stylomastoid region were in 38 cases and headache, dysaesthesia of periorbit, dysgeusia, stomatitis, eyelid tic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9. In regard to sex, male were 33 cases and female were 39 cases. The distribution of age was disclosed that thirty, forty, fifty, seventy, sixty, twenty and below twenty years were revealed in turn. Sex and paralytic side were showed as follows: male-left were 15 cases, male-right were 18 cases, female-left were 19 cases and female-right were 19 cases. In regard to attack frequence in month, March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January, April, May, August, October, etc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In regard to attack frequence in season, spring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winter, summer, fall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but attack frequence between four seasons was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 PDF

뚜렛 증후군 환자에서 자해로 인한 혀 손상 : 증례 보고 (Self-inflicted Tongue Ulceration in a Patient with Tourette Syndrome: A Case Report)

  • 이꽃님;김미애;황인경;박지현;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7-333
    • /
    • 2016
  • 틱이란 불수의적이고 갑작스러운 소리냄과 리듬이 없는 근육의 움직임을 말한다. 다수의 운동틱과 한 가지 이상의 음성틱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뚜렛 증후군으로 분류되며, 운동틱에 의한 자해 행위는 뚜렛 증후군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본 증례에서 9세 소년이 혀의 심각한 궤양을 주소로 신경정신과로부터 의뢰되었다. 두 달 전부터 시작된 반복적인 혀 씹기에 의해 궤양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환아는 그로 인한 식이 및 연하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우리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상, 하악이 분리된 가철성 장치를 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장치의 지속적 사용이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환아는 장치 장착에 동의하였으며 잘 적응하였다. 3주 후 혀의 병소가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구강 내 자해 행위를 치료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침은 없다. 따라서 임상가는 약물 치료를 비롯하여 구강 내 장치 적용이나 관련 치아의 연마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반복적 복통 환아의 정신과적 연구(反復的 腹痛 患兒의 精神科的 硏究) (A PSYCHIATRIC STUDY ON THE CHILDREN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 최진숙;홍강의;서정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권1호
    • /
    • pp.117-129
    • /
    • 1990
  • 반복적(反復的) 복통(腹痛)을 주소(主訴)로 1988년(年) 7월(月) 1일(日)부터 1989년(年) 2월(月) 28일(日)까지 서울대(大)병원 소아과(小兒科)를 방문하여 기질적(器質的) 원인(原因)이 배제(排除)된 후 소아정신과(小兒精神科)로 의뢰된 만 6재(才)~11재(才)의 아동(兒童) 35명(名)을 연구(硏究) 대상(對象)으로 하여 이들을 정상(正常) 아동(兒童)과 비교하여 반복적(反復的) 복통(腹痛) 환아(患兒)의 특징과 증상(症狀)의 발현(發現)및 유지(維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한 요인(要因)들에 대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연구(硏究) 결과(結果) 반복적(反復的) 복통(腹痛) 환아(患兒)의 증상(症狀) 호소는 부모(父母)등 돌보아 주는 사람과의 접촉시간(時間)에 많았으며 가족중에 위장관기(胃腸官器) 질환의 병력이 많았다. 반복적(反復的) 복통(腹通) 환아중(患兒中) 정신과적(精神科的) 진단(診斷)이 가능(可能)하였던 경우는 16명(45.8%)이었는데, 적응 장애(適應 障碍) 4명, 과잉불안장애(過剩不安障碍)4명(名), 분리 불안장애(分離 不安障碍) 1명(名), 우울증(憂鬱症) 2명(名), 틱 장애(障碍) 2名, 주의력(注意力) 결함장애(缺陷障碍) 2명(名), 야요증(夜尿症) 1명(名) 등이었다. 행동조사표(行動調査表)에 의하면 반복적(反復的) 복통(腹通) 환아(息兒)는 대조군 아동에 비하여 주회적(柱會的) 수행(遂行) 능력(能力)과 활동(活動)영역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으며, 내향화(內向化) 척도(尺度)의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정(家庭) 환경(環境) 진단검사상(診斷檢査上)의 항목별 비교 결과 반복적(反複的) 복통(腹通) 환아(患兒)는 대조군 아동에 비하여 훈육상(訓育上) 부모(父母)와의 마찰이 심하고, 부모(父母)가 자녀(子女)에게 주는 훈육(訓育)이 보다 합리적(合理的)이지 못하고, 지시(指示)의 정도가 많으며, 감정적으로 냉철하지 못하였다. 반면 자녀의 복지에 대한 배려와 애정 표현(愛淸 表現)은 대조군 부모에 비해 높았다. 전반적으로 반복적(反復的) 복통(腹通) 환아(患兒)는 겁이많고 위축적이며 가족 성원 역시 사회적 적응도가 낮으면서 심리적(心理的)으로 불안(不安)한 경우가 많았으며 모(母)와 밀착된 관계를 지속하고 있었고 이러한 갈등의 신체적(身體的) 표현(表現)인 복통(腹通)은 환아(患兒) 자신 뿐 아니라 보다 신체화 증상을 갖고있는 부모(父母)에 의해 선택되어지고 강화되어 반복적(反復的)으로 지속되는것으로 보였다.

  • PDF

리스페리돈이 타액선 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SPERIDONE ON SALIVARY GLAND CELLS)

  • 이연주;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7-56
    • /
    • 2008
  • 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처방되고 있는 정신분열증 치료제로서 소아자폐증의 선택약물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틱장애, 뚜렛장애의 치료제로도 쓰이고 있다. 치과와 관련된 리스페리돈의 이상반응으로 구강건조가 보고되고 있으며 그 기전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스페리돈이 타액분비 기전의 중요한 요소인 세포내 칼슘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수준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세포내 칼슘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Human salivary gland cell line(HSG)에 Fura-2/AM을 세포내로 부하한 뒤 340 및 380 nm의 파장으로 교대로 여기시킬 때 방출되는 형광강도를 500 nm 파장에서의 비율로 측정하였다. 각 실험 후 형광강도의 비율을 실제 세포내 칼슘농도로 보정하기 위한 calibration 실험을 시행하였다. 카바콜, ATP, 히스타민을 처리하여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리스페리돈의 전처리가 이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SG에서 카바콜, ATP, 히스타민 처리로 인해 세포내 칼슘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리스페리돈을 전처리한 경우 카바콜과 ATP의 작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였다. 2. HSG의 세포내 칼슘 변화에 미치는 히스타민의 효과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50% 유효농도($EC_{50}$)는 $3.3{\pm}0.5\;{\mu}M$이었다. 3. 히스타민에 의한 HSG에서 칼슘 변화에 미치는 리스페리돈의 저해 효과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대조군의 효과를 50% 억제하는 농도($IC_{50}$)는 $104.4{\pm}14\;nM$로 리스페리돈의 적정혈중농도 이하에 해당되었다. 4. 리스페리돈은 히스타민에 의한 소포체에서의 칼슘 유리와 세포 밖 칼슘 유입을 모두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p<0.05). 항정신병 약물은 장기간 복용하고 적정혈중농도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약물이 타액분비감소를 일으킬 경우 다발성우식증 등 심각한 치과적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방안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