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ning tree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Responses of Young 'Fuyu' Persimmon Trees to Summer Fertilization Rate and Leaf-fruit Ratio

  • Choi, Seong-Tae;Kim, Seong-Cheol;Ahn, Gwang-Hwan;Park, Doo-Sang;Kim, Eun-Seok;Choi, Jae-Hye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77-583
    • /
    • 2016
  • Small-sized persimmons produced by high crop load are better accepted in the export markets. However, maintaining high crop load frequently results in weakness of tree vigor,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and increase of the risks for alternate bear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bined effects of fertilization rate and leaf-fruit (L/F) ratio on container-grown 3-year-old 'Fuyu' persimmon trees. Application of 3.6-g N, 2.1-g $P_2O_5$, 2.7-g $K_2O$, 2.7-g CaO, and 0.6-g MgO was for the control fertilization rate (CF) and that of a 3-fold CF was for the high fertilization rate (HF). Commercial fertilizers were surface-applied to a container on July 6, July 17, and August 10 in three equal aliquots. Single tree for each fertilization rate was assigned for 12 L/F ratios (5, 6.3, 7.7, 9, 10.4, 13, 15.5, 18, 21, 24, 27, and 33) mostly by fruit thinning or rarely by defoliation on July 1. HF did not affect the yield, weight and soluble solids of the fruits but decreased skin color. As L/F ratio increased, yield decreased but average weight, skin color, and soluble solids of fruits increased. With HF, N and K concentrations in leaves, fruits, and shoots increased to some extent but soluble sugars in dormant shoots decreased. Many shoots were cold-injured with low L/F ratio especially at the HF. HF did not increase number of flower buds the next spring either on a shoot or on a tree basis but increased shoot length, compared with the CF. Increasing L/F ratio markedly increased number of flower buds and shoot growth the following year at both fertilization rates. Therefore,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fertilization rate and L/F ratio should be necessary to maintain stable fruit production and tree vigor at high crop load.

Effect of crop load on the yield, fruit quality, and fruit mineral contents of 'RubyS' apples

  • Nay Myo, Win;Dongyong, Lee;Yang-Yik, Song;Juhyeon, Park;Young Sik, Cho;Moo-Yong, Park;Youngsuk, Lee;Hun Joong, Kweon;Jingi, Yoo;In-Kyu, Kang;Jong-Chul, 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421-430
    • /
    • 2022
  • Crop load management in apple trees is important for achieving optimum productivity and crop value. Hence,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ifferent crop loads on the fruit quality, mineral content, and yield of the 'RubyS' apple variety. After 4 weeks of full bloom, the crop load was adjusted by hand thinning to different (5, 10, and 15 fruits·cm-2) trunk cross-sectional areas (TCSA), representing low, medium, and high crop loads. The low crop load increased the fruit size and weight, the development of the red-blushed area, and the peel color a* at harvest; however, it reduced the total number of fruits·tree-1 and yield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crop loads. The medium crop load improved the fruit weight, flesh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and reduced the fruits·tree-1 but did not affect the fruit size and yiel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tratable acidity and starch index among the crop loads. The fruit mineral content (phosphorus and potassium) was higher in the low and medium crop loads compared to the high crop load. However, the nitrogen,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in the fruits were not affected by the crop load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a low crop load improves the fruit size and weight, but its effect on the quality and fruit mineral content is similar to that of a medium crop load. Therefore, the optimum crop load level for the 'RubyS' apple trees was approximately 10 fruits·cm-2 TCSA.

Hydrograph Separation using Geochemical tracers by Three-Component Mixing Model for the Coniferous Forested Catchment in Gwangneung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 Kim, Kyongha;Yoo, Jae-Y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61-56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runoff production processes in forested catchment through hydrograph separation using three-component mixing model based on the End Member Mixing Analysis (EMMA) model.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 coniferous-forested experimental catchment, Gwangneung Gyeonggido near Seoul, Korea (N 37 45', E 127 09'). This catchment is covered by Pinus Korainensis and Abies holophylla planted at stocking rate of 3,000 trees $ha^{-1}$ in 1976. Thinning and pruning were carried out two times in the spring of 1996 and 2004 respectively. We monitored 8 successive events during the periods from June 15 to September 15, 2005. Throughfall, soil water and groundwater were sampled by the bulk sampler. Stream water was sampled every 2-hour through ISCO automatic sampler for 48 hours. The geochemical tracers were determined in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The concentrations of $SO_4{^{2-}$ and $Na^+$ for stream water almost were distributed within the bivariate plot of the end members; throughfall, soil water and groundwater. Average contributions of throughfall, soil water and groundwater on producing stream flow for 8 events were 17%, 25% and 58% respectively. The amount of antecedent precipitation (AAP)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which end members prevail during the event. It was found that ground water contributed more to produce storm runoff in the event of a small AAP compared with the event of a large AAP. On the other hand, rain water showed opposite tendency to ground water. Rain water in storm runoff may be produced by saturation overland flow occurring in the areas where soil moisture content is near saturation. AAP controls the producing mechanism for storm runoff whether surface or subsurface flow prevails.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1
    • /
    • 2008
  •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임분 안정성을 고려한 일본잎갈나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 (Optimum Stand Density Control Considering Stability in Larix kaempferi Forests)

  • 박준형;정상훈;김선희;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202-210
    • /
    • 2020
  •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의 안정성을 고려한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조사 표본점 259개소의 자료를 통해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상대수확량지수(Relative yield index: Ry)와 형상비(Height-to-diameter ratio: H/D)간의 관계 구명을 통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찾고자 하였다. 추정된 임분밀도관리도의 설명력(R2)은 0.600으로 나타났다. 상대수확량지수와 세장목의 출현비율의 관계 분석 결과, 일정임분밀도 이상에 도달할 경우 세장목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해당 곡선에서의 상대수확량지수(Ry)의 임계값은 0.6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풍해, 설해와 같은 자연적인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임분 관리 전략 수립과 경제림의 생산력 향상을 위한 임분 시업체계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갬나무 9년생(年生)의 임분구조(林分構造)와 재적(材積) 및 Biomass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and Structure, Volume, and Biomass Production of 9-year-old Alnus hirsuta var. sibirica grown in Minirotation)

  • 오정수;김종원;정용호;오민영;박승걸;김석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54-59
    • /
    • 1984
  • 물갬나무의 집약재배(集約栽培)에 의(依)한 삼림(森林) Biomass와 간재생산(幹材生産) 효율(效率)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여 삼림(森林) 생산성(生産性) 향상(向上)을 도모(圖謀)코자 1975년(年) 경기도(京機道) 양평군(陽平郡) 청운면(靑雲面) 다대리(多大里)에 밀도별(密度別) (ha당(當) 3000, 6000, 9000 및 12000 본(本))로 시험(試驗) 조림(造林)을 실시(實施)하여 집약(集約) 관리(管理)한 결과(結果) 식재밀도(植栽密度) ha당(當) 6000 본(本) 이상(以上) 고밀도구(高密度區)의 적정(適正) 수확기(收穫期)(또는 간대시기(間代時期)는 식재(植栽) 5년후(年後)로 추정(推定)되며 지상부(地上部) biomass 량(量) 또는 단목당(單木當) biomass 량(量)의 추정식(推定式)은 $logY=b_0+b_1logd^2h$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 PDF

Natural Regeneration in the Plantations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in Yangyang-Gun, South Korea

  • Park, YeongDae;Lee, DonKoo;Choi, SeonDeok;Kwon, SoonD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47-58
    • /
    • 2011
  • The forest of Korea had been severely degraded since early 1900s until 1950s. Korean Government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the reforestation works since 1960s. However, some plantations showed poor survival and growth caused by ignoring site characteristics in selecting plantation species and lack of tending works such as thinning. The natural regeneration of indigenous species, such as Quercus species and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were examined in the plantations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and Larix kaempferi Fortune ex Gordon. Quercus species regenerated mainly by sprouting while P. densiflora regenerated naturally from a few mother trees that remained in the plantations. P. koraiensis showed poor survival ($IVI{\leq}25%$) and suppressed growth (height ${\leq}3m$ and $DBH{\leq}3cm$ at 20 year-old) by Quercus species or P. densiflora in the plantation areas, however had high survival ($IVI{\geq}70%$) and growth (8 m height and 14.1 cm DBH at 20 year-old) in areas where silvicultural practices were conducted. L. kaempferi showed good survival ($IVI{\geq}40%$) and growth (17.2 m height and 16.3 cm DBH at 30 year-old) mostly in valley areas, while it was nearly dead ($IVI{\leq}10%$) in ridge or ridge-slope areas and was replaced by indigenous species such as Quercus species ($IVI{\geq}25{\sim}55%$) or P. densiflora ($IVI{\geq}18{\sim}50%$).

제주 감귤수출단지의 여건분석과 활성화방안 (Vitalizing strategies and analyzing the conditions of Jeju citrus export-specialized organization)

  • 강성구;이영철;정혜응;양주환;김종숙;한승갑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47-69
    • /
    • 2011
  • 본 조사는 제주 감귤의 수출확대를 위하여 기능이 거의 정지한 감귤수출전문단지를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출단지 활성화에는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농가를 다수 육성하고 계열화시켜 고품질의 수출용 감귤을 안정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수출농가의 경영수지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선결과제이며, 우선 고품질 과실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실생산기술의 표준화와 보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1) 농로, 단지형태 개선 등을 통한 작업의 효율화 2) 간벌, 관배수시설, 다공질피복 등의 고당도 과실생산기술 적용 3) 품종개량, 무독묘 공급 등을 통한 생산성 및 품질향상 4) 전 생산단계에 걸친 재배기술(Global GAP 수준)의 표준화 및 보급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of the Natural Monument (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오해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4-60
    • /
    • 2013
  • 본 연구는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Z.-M. 학파의 방법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비자나무 숲에 대한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비자나무 숲은 수평적으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역의 저지대 및 구릉지에 발달하고 있었다. 총 50과 80속 95종으로 구성되어진 비자나무 숲은 종조성에 의해 비자나무-상산군락의 전형하위군락,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였다. 3~4층으로 구성된 비자나무 숲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과거 간벌이후 일제히 재생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을 특징짓는 진단종군으로 구성되어진 것이 특기되었다. 또한 임상의 경우 소엽맥문동, 십자고사리, 큰천남성 등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으며, 임연식생의 주요 구성종으로 대표되는 주름조개풀이 높은 기여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비자나무 숲이 지속적으로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자나무의 치수는 반음지, 음지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또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삼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쇠퇴시킬 가능성이 큰 강도간벌 대신에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교목수종을 간벌하되, 아교목 및 관목수종을 대상으로 밀도조절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관리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07-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공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식생천이, 종다양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전남지역의 8곳에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식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군락으로 단순화되었다. 군락I은 다른 군락에 비해 종다양성지수가 상당히 낮았는데 이는 교목층에 우점한 편백의 수관이 울폐되어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았거나 잡초목(경쟁 자생수종) 제거로 하층식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군락 II~IV는 하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서로 경쟁하여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 식생발달 초기라서 종다양성지수가 높은 편이었다. 마지막, 군락 V는 휴양림으로서 이용강도가 높아 식생구조가 단순하였다. 또한, 임상에 유입되는 광합성유효광과 출현종수 종다양성지수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은 과거 개벌 이후 묘목심기, 솎아베기, 풀베기 등의 산림시업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편백림의 산림시업에 의한 교란빈도와 함께 식생천이프로세스 회전시간에 따라 군락별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천연림에 비해 편백림은 단순한 식생구조를 보였다. 인공림은 생물다양성이 낮고 생태계 서비스가 취약하기 때문에 공익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림으로 전환하는 한 가지 수단으로써 생태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