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processes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4초

혼종화 시대의 인종화 프로세스-이창래의 『비상』을 중심으로 (The Process of Racialization in the Hybrid Age-focusing on Chang Rae Lee's Aloft)

  • 이선주
    • 영미문화
    • /
    • 제14권1호
    • /
    • pp.141-167
    • /
    • 2014
  • The macro structural perspective of how race was formed nation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has greatly contributed in revealing the ills of racialism until now, likewise, the dichotomous form of Asian-American literature corresponding to such perspective has made great contribution in awakening people's awareness of race. While acknowledging the contribution of such macro perspectives, we must take note that today's racialism is becoming materialized in different aspects. The tendency of present racial formation is that the recognition of race is spread out lightly but widely in everyday lives and is revealed through the perception of our body. While publicly stating that society is color-blind and inequality significantly resolved, racialism emerges in the personal and everyday aspects. Not erased but diluted and spread out more widely, and the more diluted, harder to erase, racialism has penetrated into the perception of our lives. Racialism works not as a conspicuous discrimination but as a common sense that is 'naturally' absorbed into our perception and perspective. Chang Rae Lee's Aloft shows the process of such racial formation in our age of hybridization. This study tries to clarify why present racial formation must be analyzed in the macro perceptual perspective and show how the racial perception in the narrative of the white dominant narrator, Jerry, becomes the field where he lives and how it is spread through his perception. Through the theories of Judith Butler and Linda M. Alcoff, this study analyzes how people are got to self-identification with the racialization through reiteration and what the relationship is between racial formation and the subject's performativity in Aloft. The study concludes that revealing such current processes of racial formation perceptively is not thinking it 'natural' and inevitable but the process of bringing about a change in it.

PBL과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가정과 예비교사를 위한 의류학 실습 수업 개발 (Developing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for future home economics teachers using principles of PBL and maker education)

  • 이예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1호
    • /
    • pp.134-151
    • /
    • 2021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for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applying principle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maker education to equip future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nurture creativity among adolescents. The studio course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 concluded that the resulting course met the following objectives extrac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subjects: to promote creativ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ashion design and styling abilities, gain the ability to use makerspace tools, understand flat pattern making and sewing processes, and develop creative thinking, aesthetic sense,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BL and maker education were confirmed through student comments on the course. Students mentioned the practicality of the material in their actual lives along with their enhanced integration of the subject material, self-directedness, aesthetic sense, ability to learn through trial and err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nd sharing. Based on results from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modules: introduction of terms and tools, submission and sharing of clothing reformation and upcycling techniques, introduction to hand sewing, pouch making, heat-transfer printing, 3D printing, mask making, hat making, vest making, and the final team project on fashion styling.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on selecting personas for styling, looking for available materials, and selecting materials online.

대학 온라인 토의수업의 실제와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racticalities an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Classes at Universities)

  • 김현영;장옥선;이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71-284
    • /
    • 2021
  •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토의수업의 활용 실태 및 효과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총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토의수업의 운영 실제와 그 효과에 관한 인식을 진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F검증, T검증, Scheffe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OVID19 사태 이후 대학에서는 '비실시간 녹화수업'과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 방식이 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수업 방식에서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은 '토의수업 선호도'에 정적 영향을 주며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토의수업 참여에 대해 대학생들은 창의사고능력 확대를 위한 기반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토의방식과 절차에 대한 학습자의 충분한 인지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원활한 의사소통과 교류를 통한 강화가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스퍼드빌: 제2언어로서의 영어학습을 위한 마인크래프트 게임 설계 (Spudsville: Designing a Minecraft Game for learning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백영균;김정겸;샘 아이젠버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43-15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인크래프트의 몰입형 게임 환경인 스퍼드빌을 디자인하여 학습자가 영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돕는 것이다. 마인크래프트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만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모델과 디자인 사고 접근법을 채택했다. 우선 학습자들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이후의 분석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연구자들은 인지주의 학습 모델을 스퍼드빌에 적용하면 학습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고 한편으로 구성주의 및 행동주의 접근 방식을 구현하는 것이 또한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을 통하여 영어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임기반학습이 언어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nctioning of Economic Systems in the Context of Their Potential Development in the Conditions of Circular Economy

  • Pohrebniak, Anna;Petrashko, Liudmyla;Dovgopol, Nina;Ovsiuchenko, Yurii;Berveno, Oks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309-315
    • /
    • 2021
  •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nalyze the functioning of economic system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ir potential in a circular economy.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ing of economic systems to ensure their sustainability should meet modern challenges and provide for the formation of competitive institutional architecture, the introduction of structural and regulatory innovations, the transition to an innovative model of development. The specific principles of functioning of economic systems include openness, nonlinearity, multivectority, dynamism, emergence, uncertainty about the development of economic processes. It is substantiated that the linear nature of development and equilibrium are not dominant in the functioning of economic systems, and increasing the level of economic efficiency should go hand in hand with minimizing the activities of enterprises, which necessitates the use of circular economy. The main prerequisites for the transition to a circular economy are analyzed. It is determined that the basic concept of the circular economy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system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is based on processing, reuse, repair, product sharing, change of consumption patterns and new business models and systems. The main elements of the circular economy include: a closed cycl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systems thinking. The correlation of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peculiarities of the applic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is analyz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ircular economy contrasts with the traditional linear economic model, which is based on the model of "take-do-consume-throw awa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ue to the use of the principles of circular economy are given. Based on the study, steps are identified to accelerate the transition from a linear economy to a circular economy.

시각적 문해력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 예술계열 중심으로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Visual Literacy: Focus on Arts Major)

  • 피수영;손현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4
    • /
    • 2024
  • 최근 소프트웨어 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대학에서는 전공 구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비전공자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가 부족하고, 생소한 학습 콘텐츠에 대한 체감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예술계열 학생들은 시각에 대한 이해와 표현력이 뛰어나므로 시각적 문해력을 활용하면 프로그래밍 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의 문제를 순서도와 의사코드로 분해하여 절차적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구성한다. 이를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플레이봇을 이용하여 코딩을 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진행하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컴퓨팅적 사고로 해결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을 자신의 전공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교 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수학과 문항에서 요구되는 지식 분석 (The expected teacher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s for mathematics)

  • 김은현;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85-10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2013-2024학년도 초등임용시험의 수학과 문항을 분석하여 수학 교과를 가르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 초등임용시험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TEDS-M의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분석한 결과 MCK와 MPCK의 비율이 해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MPCK의 비율이 높았다. MCK와 MPCK는 특정 지식 영역, 인지적 과정, 수준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고 고등 사고력과 평가 지식을 측정하는 문항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필요한 교사의 지식과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초등임용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지진에 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선개념 (The Preconception of the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on Earthquake)

  • 김수정;김형범;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34-44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정규 수업을 받기 전 지진에 대한 선개념을 조사함으로써 교사들의 교수 학습 전략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31명에게 지진에 대한 개념을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은 지진의 정의에 관해서는 64.9%의 학생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지진이 발생할 때 땅 위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한 응답결과는 59.2%의 학생이 땅이 흔들리거나 갈라지거나, 건물이 흔들리거나 무너지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지진이 일어날 때의 대처법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처법을 2가지 이상씩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에 비해 지진 발생의 원인에 관한 질문에는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35.3%가 나왔고, 1명의 학생을 제외하고 과학적인 개념을 응답한 학생이 없었다. 지진이 발생할 때, 땅 아래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한 질문에 26.3%의 학생이 '모르겠다'라고 응답을 했다.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에 관해서는 섬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22.2%로 나타났고,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16.7% 로 나타났다. 그 이유에 관해서는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39.9%로 가장 많았고, 과학적인 개념을 응답한 학생은 없었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은 지진의 정의에 관해서는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지진이 일어날 때의 지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 대처법에 관해서는 학교교육 이전에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그와 관련된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 지진이 일어날 때 땅 아래에서 일어나는 현상,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과 그 원인에 관해서는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습자의 선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학습자의 사고 체계를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도 아울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서 발현되는 과학공감의 특성과 변화 분석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cientific Empathy during Students'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in Science)

  • 양희선;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7
    • /
    • 202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생산적인 과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공감의 역할을 조사하고, 해당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공감의 주요 요소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일반공감 능력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적용한 생산적 과학 참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문제 해결의 다섯 단계 중 아이디어 생성과 프로토타입에서 소집단의 발화를 분석하여 과학공감과 과학실천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과학 공감은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세 집단의 과학공감 및 과학실천의 평균 발화 빈도가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는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후반부에 오히려 발화 빈도가 증가했다. 그러나 일반공감 능력이 낮은 소집단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협력적 의사소통의 결여로 과학공감과 과학실천의 발화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생산적인 과학 참여 상황에서 5가지 주요 과학공감 구성요소가 모두 발화로 드러났다. 높은 일반공감 능력 집단에서는 타인과의 과학공감 요소인 공감적 이해와 공감적 걱정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낮은 일반공감 능력 집단에서는 연구대상과의 과학공감 요소인 민감성, 과학적 상상, 상황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수업에서 타인뿐만 아니라 연구대상과의 과학적으로 공감하는 경험이, 일반적인 공감 능력과는 별개의 중요한 특성으로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활동을 다양한 참여를 유발하며 이를 지속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과학공감이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 다양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과학 수업에서 과학공감의 이론적 구조와 안정성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호의존세계중적조직구매행위(相互依存世界中的组织购买行为) (Organizational Buying Behavior in an Interdependent World)

  • Wind, Yoram;Thomas, Robert J.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0-122
    • /
    • 2010
  • 20世纪60年代中期, 随着1967年 ${\ll}$产业购买和创造营销${\gg}$的出版, 组织购买行为这一领域的兴起为企业如何在市场中运作提供了新的思维方式, 而不只是为最终用户服务. 无论是 "工业营销" 或 "企业营销"(B-to-B),组织的购买行为仍然是这个领域的核心. 本文探讨了动态因素的影响,影响了几个组织彼此相关的迅速增长的相互依存,反过来会影响组织的购买行为. 文章还提出了一个问题,组织购买行为的概念模型,在一个相互依存的世界是否仍然会在这个充满活力的经营环境中引导研究和管理的思想,. 本文提出并探索三个关于组织相互依存的问题: 1.哪些因素和趋势驱动了组织的相互依存的兴起? 2.在过去半个世纪中发展起来的组织购买行为的主要概念模型仍然适用于今天这个相互依存的组织的世界吗? 3.研究中组织的相互依存的启示是什么? 组织购买行为的实践活动是什么? 考虑到组织关系中驱动组织的相互依存的因素和趋势和5个关键驱动因素有关并影响他们的购买行为:加速全球化, 平整的网络组织, 破坏价值链, 强化政府的介入, 不断细分客户需求. 这五个相通的相互依存和潜在的技术上的优势可以改变组织购买产品和服务的市场中保持竞争力的关系. 在一个客户驱动的营销策略背景下, 这些力量影响三个层次的战略发展: (1)进化的客户需求, (2)产生的产品/服务和解决方案以满足这些需求, 和(3)的组织能力和工艺制定和实施了以满足需求. 组织中相互依存的五个驱动因素在他们影响组织如何购买时不需要独立的操作. 他们可以相互作用和更加有效的影响组织购买行为. 例如,加速了全球化的影响,出现了新的网络进一步破坏传统价值链之间的关系, 从而改变机构购买的产品和服务. 提高政府参与可能会增加成本,因此在其它国家的新兴市场开公司做生意寻求低成本的来源. 这可以减少一国的就业机会增加另一个国家的就业机会, 在另一方面, 从而进一步加速全球化. 第二个主要的问题是相互依存的五个驱动因素对组织购买行为的核心概念模型有什么影响. 考虑三个在 ${\ll}$产业购买和创造营销${\gg}$${\ll}$组织购买行为${\gg}$ 书籍中发展的概念模型:组织购买过程, 购买中心,以及购买的情况. 回顾这些核心模型, 作为最初的概念,他们仍然是有效的, 而且不可能改变. 在买家和卖家相互依赖的情况下, 什么会改变买卖双方相互作用的方式. 例如,增加了相互依赖的机会可能导致增加协作以及组织之间的冲突的买卖,从而改变购买过程. 此外,组织中的沟通过程的重要性作为一个成功的购买关系的判断依据将增加. 第三个问题对这些组织购买行为的关系的影响和意义进行了探讨. 以下是本文所考虑到的: 为了增进对网络对组织购买行为的影响的理解,需要增加了解所扮演的角色之间的信任, 增强在网络环境中如何管理组织购买的理解的需要, 需要增加了解在价值网络中的客户需要,并且需要增加了解新兴的商业模式对组织购买行为的影响. 在许多方面,这些从增加的组织的相互依存派生出来的需要是组织购买行为传统概念的扩展. 在1977年,Nicosia 和Wind建议把焦点集中在组织间而不是组织内部观点,自1990年以来, 这个趋势的势头很强. 对于管理者来说,也想在越来越相互依存的世界中生存,他们将需要更好地了解组织如何与另一组织相关的复杂性. 从组织的相互依存的观点已经开始,必须不断地发展提出一种对这些重要的关系改进的理解. 互相依赖的网络观点的转变需要很多学术界人士和实践者从根本上挑战和改变他们商业中的心智模型和组织购买行为模型. 不再只关注购买组织和销售组织之间的关系而应该是网络中所有的相关成员, 包括消费者, 发展者, 供应商和中间者. 我们来看这个例子. 由SAP创造的有众多合作伙伴的网络包含了超过9000个公司和超过一百万的参与者. 互相依赖的进展, 复杂性和不确定的现实和多变的网络需要重新考虑如何做出购买决定. 结果是他们应该关注学术中下一阶段的研究和理论建设并关注有实践者构建的实践模型和实验. 我们希望这样的研究能够展开, 不是孤立在象牙塔里, 也不是限制在商业世界中, 而是学术和实践的结合. 总而言之, 组织之间相互依赖的提高的考虑揭示了组织购买行为的基础模型的持续关联性. 然而在相互依存的世界中来提高这些模型的价值, 学术界和实践者应该提高他们对一下内容的理解 (1)网络的影响; (2)如何更好地管理这些影响的作用; (3)组织之间信任和价值的作用, (4)价值网络中客户需求的演变; (5)组织购买行为的新兴的新商业模型的影响. 为了实现这一目标, 我们需要产业界和学习界更好的合作从而提高我们对在相互依赖的世界中的组织购买行为的理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