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ckness evaluation

검색결과 1,809건 처리시간 0.023초

간과 비장의 체적을 구하기 위한 3차원 영역 확장 기반 자동 영상 분할 알고리즘의 동물팬텀을 이용한 성능검증 (Evaluation of Automatic Image Segmentation for 3D Volume Measurement of Liver and Spleen Based on 3D Region-growing Algorithm using Animal Phantom)

  • 김진성;조준식;신경숙;김진환;전호상;조규성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3호
    • /
    • pp.178-185
    • /
    • 2008
  • 간경변 및간암 환자의 증가로 간이식술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특히 공여자의 생체 간이식은 간이식술의 주된 분야를 차지하고 있으며 간이식 수술 전 공여자에서 간체적의 정확한 측정은 수술 후 공여자와 수여자의 간기능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며, 성공적인 수술과 환자의 예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환자의 간체적을 구하는 과정은 환자의 모든 CT 영상위의 간을 수작업을 통해 영상분할한 후에 3차원 간체적을 구하고 있으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으로 간과 비장을 문턱값처리, 형태학적 영상처리, 3차원 영역확장법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체적을 구하는 시간을 단축하였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물의 실제 간과 비장을 팬텀으로 제작하여 실제 측정한 체적과 알고리즘으로 분할된 영상의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문턱치값의 설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는 특성이 있지만 자동으로 문턱치를 결정했을 때 비장과 간의 체적측정 오차는 9.27%, -4.52%이었으며, 수동으로 문턱치를 결정했을 때 최소 오차가 각각 0.2%, 0.17%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팬텀 연구를 통해 자동 분할 알고리즘으로 얻은 체적의 결과가 정확성과 재현성을 보여주어 추후 간체적을 구하는 보조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PDF

반복하중을 받는 비보강 확장 단부판 접합부의 해석 및 실험적 연구 (Analy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an Unstiffened Extended End-Plate Connection)

  • 김희동;양재근;배다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439-448
    • /
    • 2016
  •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혹은 변단면 부재로 구성된 PEB 구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부의 한 형태이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판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 축부의 직경, 고장력볼트의 개수 등의 영향으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강구조물의 기둥-보 접합부에 적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널리 적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는 확장단부판 접합부에 대한 설계강도식 제안, 접합부상세 제안, 내진성능 평가, 제작 및 시공지침서 개발 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비보강 확장단부판 접합부의 국내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께 12mm의 비보강 확장단부판에 대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지반강성 평가장치를 이용한 현장 다짐도 예비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Soil Stiffness Test Equipments as Construction Control Tools)

  • 김주형;유완규;김병일;채광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636-6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기 그리고 간이지지력시험기 등과 같은 지반강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장치와 현장 다짐도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판재하시험을 다짐횟수, 함수비 그리고 다짐층 두께 등을 변화해 가면서 현장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잠정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지오게이지와 동평판재하시험기 그리고 간이지지력 시험기에서 측정된 결과는 모두 다짐도 증가에 따른 지반 강성 증가 현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함수비에 따른 지반강성 증감 현상은 지오게이지와 간이지지력시험 결과에서만 일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동평판재하시험이나 기준 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은 함수비 증감에 따라 지반강성 증감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다짐충 두께 변화에 따른 지반강성도 평가시험 결과 본 시험에서 수행한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 간이지지력 시험은 물론 기준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의 경우에도 일정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고 신속한 시험이 가능한 다양한 지반강성평가 시험장치를 이용해 현장에서 다양한 조건의 지반에 대해 다짐도 평가 시험을 수행한 결과, 함수비 및 다짐두께가 일정한 경우 다짐횟수 증가에 따라 모든 시험 결과가 지반강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다양한 지반조건에 대해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짐도 및 지반강성도의 연관성에 대한 자료가 축적된다면, 본 시험에서 수행한 시험방법으로도 현장 다짐도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ver-inlay" block graft and differential morphometry: a novel block graft model to study bone regeneration and host-to-graft interfaces in rats

  • Ghiacci, Giulia;Graiani, Gallia;Ravanetti, Francesca;Lumetti, Simone;Manfredi, Edoardo;Galli, Carlo;Cacchioli, Antonio;Macaluso, Guido Maria;Sala, Robert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4호
    • /
    • pp.220-233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a model that allows the study of the bone healing process, with an emphasis on the biological behavior of different graft-to-host interfaces. A standardized "over-inlay" surgical technique combined with a differential histomorphometric analysis is presented in order to optimize the use of critical-size calvarial defects in pre-clinical testing. Methods: Critical-size defects were created into the parietal bone of 8 male Wistar rats. Deproteinized bovine bone (DBBM) blocks were inserted into the defects, so that part of the block was included within the calvarial thickness and part exceeded the calvarial height (an "over-inlay" graft).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or 3 months. Histomorphometric and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in distinct regions of interest (ROIs): the areas adjacent to the native bone (BA), the periosteal area (PA) and the central area (CA). Results: The animals healed without complications. Differential morphometry allowed the examination of the tissue composition within distinct regions: the BA presented consistent amounts of new bone formation (NB), which increased over time ($24.53%{\pm}1.26%$ at 1 month; $37.73%{\pm}0.39%$ at 3 months), thus suggesting that this area makes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ward NB. The PA was mainly composed of fibrous tissue ($71.16%{\pm}8.06%$ and $78.30%{\pm}2.67%$, respectively), while the CA showed high amounts of DBBM at both time points ($78.30%{\pm}2.67%$ and $74.68%{\pm}1.07%$, respectively), demonstrating a slow remodeling process. Blood vessels revealed a progressive migration from the interface with native bone toward the central area of the graft. Osterix-positive cells observed at 1 month within the PA suggested that the periosteum was a source of osteoprogenitor elements. Alkaline phosphatase data on matrix deposition confirmed this observ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model allowed for a standardized investigation of distinct graft-to-host interfaces both at vertically augmented and inlay-augmented sites, thus possibly limiting the number of animals required for pre-clinical investigations.

저(低)에너지 X-선장(線場)에서 필름배지에 의한 개인피폭선량(個人被曝線量)의 결정(決定) (Determination of Personnel Exposures in the Lower Energy Ranges of X-Ray by Photographic Dosimeter)

  • 하정우;김장열;서경원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57-64
    • /
    • 1986
  • 우라늄, 플루토늄 및 그 자핵종(子核種)으로부터 방출(放出)되는 저(低)에너지감마선(線) 또는 저(低)에너지영역(領域)의 X-선(線)스펙트럼으로부터의 필름배지 개인피폭선량해석(個人被曝線量解析) 및 평가(評價)에 필요(必要)한 기술자료(技術資料)를 제공(提供)하였다. 필름배지는 한국핵연료개발공단(韓國核燃料開發公團)(현(現) 한국(韓國)에너지연구소(硏究所))에서 개발(開發)한 것이며, 저(低)에너지표준선원(標準線源)은 방사선량강도(放射線量强度)의 손실(損失)을 최소(最少)로 유지(維持)하면서 가능(可能)한 한 X-선(線)스펙트럼폭(幅)을 금속(金屬)필터로 좁게 줄인 X-선(線)을 이용(利用)하였다. 그 결과(結果) 얻은 X-선(線)에너지는 49 keV, 154 keV 및 256 keV 이었으며, 이 값은 Kramer의 이론적계산결과(理論的計算結果)와 잘 일치(一致)하였다. 이들 에너지 군별(群別) X-선(線)의 필름광학밀도(光學密度)와 선량(線量)과의 관계(關係)는 Matrix 법(法)으로 해석(解析)하여 측정광학밀도(測定光學密度)로부터 저(低)에너지 X-선(線)의 개인피폭선량(個人被曝線量)을 직접(直接) 환산(換算)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결과(結果)는 국내(國內) 방사선작업(放射線作業) 종사자(從事者)들의 개인피폭선량측정자료(個人被曝線量測定資料)의 균질성(均質性) 향상(向上)에 기여(寄與)하게 될 것이다.

  • PDF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 김은지;주형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73-186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하고 있는 꾸지뽕잎 분말 첨가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Mixograph, pH, TPA, 부피, 비용적, 수분, 영상분석, 색도, 기호도 검사, 보존성 검사를 통하여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분석하였다. Mixograph를 측정 결과,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반죽은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다. 꾸지뽕잎 pH의 경우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는 높아졌으며, 1차 발효 후와 식빵의 pH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졌다. TPA 분석결과,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경도, 씹힘성, 검성은 높아졌으며, 탄력성, 응집성, 탄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꾸지뽕잎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감소하였다. 영상분석 결과 기공의 조밀도, 껍질의 두께, 크기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색도는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L값은 어두워졌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과 조직감은 CLP3가 대조구보다 좋았으며,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CLP2가 대조구보다 더 좋게 평가되었다. 보존성 측정 결과, 경도는 24, 48, 72시간 동안 모두 꾸지뽕잎 분말 1~2% 첨가한 시료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경도가 낮았으며, 적은 양의 꾸지뽕잎 첨가가 식빵 속질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는데 좋은 것으로 사료되며, 수분함량이 낮아지긴 하였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강제파이프서포트의 성능평가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I ) (A Study for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Influence Factors for Steel Pipe Supports ( I ))

  • 황정현;신상태;윤상문;김경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39-146
    • /
    • 2004
  • 최근 들어 가설기자재의 성능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1992년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가설기자재 성능검정제도가 도입된 이후, 최근 2년간에 걸쳐 실시한 성능시험을 토대로 강제파이프서포트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강제파이프 서포트의 국내 규격과 현재 연구현황을 소개하였으며, 총 849개의 시편을 대상으로 외관과 내경의 길이 및 두께조사와 겹침길이 및 평압시험과 나이프에지시험 등의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신품과 재사용품으로 구분하여 시험을 하였으며, 재사용품의 성능감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규격 또한 신품에 비해 많은 부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재사용품이 $10\%$ 정도의 성능감소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고려하여 볼 때 현장에서의 품질확인과 감독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선 기초적인 결과를 토대로 통계값을 제시하였고, 각 영향요소별 세부분석은 현재 연구진행중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파이프서포트에 대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유체 모듈 가접합을 위한 마이크로 실리카 혼입 수중용 에폭시 접합 성능 검토 : Part 1 - 재료 개발 및 성능 검토 (Micro-silica Mixed Aqua-epoxy for Concrete Module Connection in Water : Part 1 - Materi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 최진원;김영준;유영준;권성준;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21-28
    • /
    • 2015
  • 최근에 콘크리트 모듈로 건설하는 부유 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 모듈 간 접합 공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모듈 간 접합 작업은 수중에서 프리스트레싱 텐던을 긴장하여 이루어지므로 시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서 가접합을 위한 부착재료 개발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섬유보강 패널 부착에 사용된 수중용 에폭시에 $SiO_2$ 계열 마이크로 실리카(Micro-silica : MS)를 혼입하여 콘크리트 모듈 가접합용 접합재료를 개발, 평가하였다. 기존 수중용 에폭시에 0~4% MS를 혼입하여 부착성능 평가를 통하여 최적 MS 혼입량을 산정하였으며 수중용 에폭시의 점도에 따른 MS 혼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제 비율을 각각 0, ${\pm}5$%, ${\pm}10%$로 조정하여 재료성능을 검토한 후 최적 비율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마이크로 실리카 수중용 에폭시(MSAE)의 콘크리트 모듈 접합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모듈 접합 시험체에 3점 재하 실험을 실시한 결과 MSAE는 기존 수중용 에폭시에 비해 콘크리트 모듈 접합 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하중 상태에서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n the Effective Moment of Inertia of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Under Service Load)

  • 이승배;박미영;장수연;김강수;김상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93-404
    • /
    • 2008
  •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에서 현행 설계기준들의 처짐 계산 규정은 콘크리트의 균열 후 보의 휨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 유효 단면2차모멘트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준식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는 하중을 받는 보의 최대 모멘트와 균열모멘트에 의하여 계산하며, 처짐에 영향을 미치는 경간, 단부구속, 단면의 크기, 하중 분포, 재료 및 단면 성질, 균열의 양과 확장 등의 여러 영향인자들에 대하여는 적절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단순보를 대상으로 처짐 계산에 필요한 유효 단면2차모멘트에 대한 실험 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기준식 및 다른 연구자들의 제안식을 수정 보완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콘크리트강도와 피복두께, 철근비 및 철근 직경을 주요변수로 하여 총 14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구한 유효 단면2차모멘트와 설계 기준에 의한 값, 기존의 제안식 및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식에 의한 값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균열 구간의 길이, 철근비 및 철근 한 개당 콘크리트의 유효 인장단면적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유효 단면2차모멘트 예측식은 기존의 제안식들에 비하여 실험값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치은부에 이식한 이중인공진피의 조직학적 치유 (Histological healing after grafting of bilayer artificial dermis in the oral environment)

  • 김민정;정현주;김옥수;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289-299
    • /
    • 2003
  • The autogenous free gingival graft is the most predictable procedure currently used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attached gingiva in periodontics. But the major disadvantage of the procedure is to create the multiple surgical wounds at both a donor site and a recipient site. The other problem is the limited amount of available graft material in oral cavity. Therefore, recent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to develop the biomaterial to substitute the autogenous gingival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istologic healing after grafting of bilayer artificial dermis, compared to the free gingival graft. Four non-smoking subjects (mean age, 32.5 years) in systemically healthy state and good oral hygiene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 needs for correction of mucogingival problems as suggested by Nabers(1966). The recipient sites were prepared through the procedure for the free gingival graft and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graft materials: Experimental group(n=5) - bilayer artifcia1 dermis ($Terudermis^{(R)}$; Terumo Co. Japan) and Control group(n=6) - free gingival graft with autogenous palatal mucosa. Biopsies were harvested at 1,2,3 and 6 weeks postsurgery to evaluate histologically. At the third week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t the second week of in the control group, the grafts has been clinically stabilized on the recipient bed and the graft border has been blended into the surrounding tissue.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1 week of grafting, the epithelial migration from the adjacent tissue to graft material was seen and after 3 weeks of grafting, the : nflmmation decreased, collagen layer of the artificial dermis was lost and the basement membrane of epithelium was formed. After 6 weeks of grafting, both groups demonstrated orthokeratinized epithelium and increased thickness of epithelial tissue and the rete peg formation, similar to the adjacent tissue, Histologic evaluation revealed a biologic acceptance and incorporation of the collagen layers of the graft tissue to the host tissue, without foreign body reaction. In conclusion, a bilayer artificial dermis is essentially similar to autogeneous free gingival graft in the correction of mucogingival problems, and has the advantages of decreased patient morbidity (no donor site) and availability of abundant amounts of graft material when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