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philu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1초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 on DSS-induced Colitis in Mice

  • Yoon, Ji-Woo;Ahn, Sung-Il;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176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t has on induced colitis with 2.5%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Balb/c mice. Yogurt premix were fermented with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conta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acti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t different temperatures: $22^{\circ}C$ (low fermentation temperature) for 27 h and $37^{\circ}C$ (general fermentation temperature) for 12 h.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amples, DPPH, $ABT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assays were conducted. For animal experiments, inflammation was induced with 2.5% DSS in Balb/c mice. Yogurt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of the yogurt fermented at general temperature. In the inflammatory study, IL-6 (interleukin 6) was decreased and IL-4 and IL-10 increased significantly in DSS group with yogurt fermented at general temperature (DYG) and that with yogurt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DYL) compared to that in DSS-induced colitic mice (DC), especially DYL had higher concentration of cytokines IL-4, and IL-10 than DYG. MPO (myeloperoxidase) tended to decrease more in treatments with yogurt than DC. Additionally, yogurt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had anti-inflammatory activit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eral temperature-fermented yogurt (p>0.05).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Bifidobacterium growth promoter (BE0623) and dietary fiber

  • Cho, Young Hoon;Sim, Jae Young;Nam, Myoung S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2호
    • /
    • pp.209-218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fidobacteria growth promoter BE0623 and a dietary fiber supplement, which included Bifidobacterium lactis BB12,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lactis. In fermented milk containing BE0623, the viable cell count of Bifidobacteria significantly increased by about 45 to 75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hereas the pH decreased. All fractions obtained by isolating BE0623 had Bifidobacteria growth effect. Acacia dietary fiber is a pale yellow powder. It has a viscosity of 60 to 100 cPs and a pH between 4.1 and 5.0. Its general components are less than 10% moisture, more than 90% dietary fiber, and less than 4% ash. The optimal addition ratio of Bifidobacteria growth promoting material was determined to be 0.05%. The general components of the manufactured fermented milk were carbohydrate 17.85%, protein 3.63%, fat 3.00%, and dietary fiber 2.95%. During storage of the fermented milk for 24 days, its titratable acidity, viscosity, and sugar content all met the criteria. In addition, the viable cell counts of Bifido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milk were 1.7 × 108 CFU·mL-1 and 1.5 × 107 CFU·mL-1, respectively, and Escherichia coli was negativ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sweet, sour, weight, and flavor, and the preference for the treatment group was excellent. The acceptability of the fermented milk of the treated group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was excellent in terms of color, flavor, and appearance.

오배자 발효추출물의 항세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Bio-fermented Galla Rhios Extract)

  • 도은수;유지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27
    • /
    • 2014
  • Objectives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bio-fermented Galla Rhois extract. Methods : The Galla Rhois extract was fermented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and their products was tes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ix pathogenic microorganisms namely,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paper disc diffusion method. Results : The Galla Rhois fermented extract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showed more eff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than not fermented extract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extract using especially Lactobacillus delbruecki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proved that it was good with even 2 percents concentration. Antibacterial activity of Galla Rhois extract within pH 3 to pH 7 had been safe regardless of pH but low over pH 9. The growth of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had a tendency to decrease depend on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EtOEt, EtOAc and n-BuOH fractions of the Galla Rhois extract had a high level of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Surprisingly, EtOAc fractions of the Galla Rhois extract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alone.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ix pathogenic microorganisms had a tendency to increase depend on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fractions of the Galla Rhois extract. Conclusions : Bio-fermented Galla Rhois extract, efficie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acillus ce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원생동물(原生動物)에 의한 세균류(細菌類)의 소거(消去)에 관(關)한 기작(機作) (Alternate Prey: A Mechanism for Elimination of Bacterial Species by Protozoa)

  • 라리 엠 말로리;육창수;리누 량;마틴 알렉산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8-367
    • /
    • 1983
  • 항생물질(抗生物質)에 저항성(抵抗性)이 있는 Salmonenella typhimurium과 Klebsilla pneumoniae종(種)을 미처리(未處理) 하수(下水)에 첨가(添加)하였을 때 쉽게 죽었으나 살균하수중(殺菌下水中)에서는 생육(生育)하였다. 그 감소(減少)는 생활력(生活力)이 떨어져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유기영양분(有機榮養分)이 포함(包含)되지 않은 용액중(溶液中)에서 적어도 15일간(日間)은 많은 수(數)가 생존(生存)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것은 경쟁(競爭)의 결과(結果)가 아니다. 독성생성(毒性生成), 박테리오화지, 그리고 Bdellovibrio는 위의 두 세균(細菌)의 소멸(消滅)에 원인(原因)이 되지 않았다. 만일(萬一) 하수(下水)를 처음에 $3{\mu}m$여지(濾紙)에 통과(通過)시켰거나 cycloheximide나 cycloheximide에 nystatin을 혼합(混合)하여 처리(處理)하면 감소(減少)하는 것은 역시(亦是) 뚜렷하였으나 원생동물(原生動物)은 이 조건하(條件下)에서 생육(生育)했었다. 만일(萬一) 하수(下水)가 S. typhimurium 혹은 K. pneumoniae를 첨가(添加)하기 전(前)에 여과(濾過)하거나 진핵세균억제제(眞核細菌抑制劑)로 처리(處理)되면 그 감소(減少)는 거의 없었고 원생동물(原生動物)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만일(萬一) cycloheximide, streptomycin, erythromycine 혹은 많은 양(量)의 glucose가 하수(下水)에 첨가(添加)되면 S. typhimurium의 수(數)는 증가(增加)하였다. Tetrahymena themophilus는 세균(細菌)의 수(數)가 약(約) $10^4/ml$ 일 때 완충액(緩衝液)에서 S. typhimurium의 수(數)를 현저(顯著)히 감소(減少)시키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완충용액(緩衝溶液)에 Enterobacter agglomerans 세포(細胞)를 $10^8/ml$ 이상(以上)으로 첨가(添加)하였을 때 T. thermophilus는 E. agglomerans와 S. typhimurium의 수(數)를 각각(各各) $10^6{\sim}10ml$까지 감소(減少)시켰다. S. typhimurium의 수(數)는 E. aggromerans 세포(細胞)의 이차적(二次的) 증가(增加)로 더욱 감소(減少)하였다. 그리하여 하수(下水)에서 S. typhimurium과 K. pneumoniae의 소멸(消滅)은 원생동물(原生動物)의 포식(捕食)의 결과(結果)라고 보는 것이다. 교체(交替) 포식자(捕食子)가 포식자(捕食者)에 의한 활성적(活性的) 사양(飼養)을 위(爲)하여 그 수(數)가 최초(最初)의 수(數) 이상(以上)으로 많이 존재(存在)할 때와 포식자(捕食子)의 생장(生長) 비율(比率)이 포식비율(捕食比率)보다 떨어질 때에 포식자(浦食者)는 자연환경(自然環境)에서 포식자종(捕食子種)들을 소거(消去)할 것이라고 제안(提案)하는 것이다.

  • PDF

유산균주의 종류에 따른 쌀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Properties of Rice Added Yogurt Made with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 배형철;백승희;남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77-686
    • /
    • 2004
  • 본 연구는 탈지율에 4%의 쌀 분말과 탈지분유를 첨가하여 단독 균주인 L. salivarius ssp. salivarius와 L. casei 그리고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젖산균주에 따른 발효특성을 연구하였다. L. salivarius ssp. salivarius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경우 쌀 분말과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 무두 산 생성이 활발하지 못해 배양 14기산까지 적정 pH인 4.5와 적정 산도인 1.0%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L. casei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경우 발효는 빨리 진행되었으나 8시간 이후부터는 pH와 산도가 너무 낮아 요구르트의 품질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로 제조한 요구르트 중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는 배양 8시간 이후부터 14시간까지 적정 pH와 산도가 잘 유지되었다. 점도는 균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가 쌀 분말을 첨가한 시료보다 높았다. L. salivarius ssp. salivarius와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로 제조한 요구르트 중에서는 쌀 분말을 첨가한 시료가, 그리고 L. casei로 제조한 요구르트 중에서는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가 lactic aciddm 생성량이 많았다.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로 제조한 요구르트에서는 쌀 분말과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에서 요구르트의 향기성분인 acetic acid가 많이 생성되었다. Galactose는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와 L. salivarius ssp. salivarius로 제조한 요구르트에서 측정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쌀 분말을 첨가한 시료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젖산균주에 따른 차이를 보면 색은 L. salivarius ssp. salivarius가 가장 높은 값은 나타내었으나 풍미와 단맛과 신맛의 조화,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rrmophilus의 혼합 균주가 가장 높은 값을ㄹ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4% 쌀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젖산균주는 B. longum, L. acid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Rennin 및 Starter의 첨가(添加)가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nnin and/or Starter Addition on the Manufacture and Ripening of Soybean Cheeses)

  • 정재홍;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90-201
    • /
    • 1980
  • 대두(大豆) 추출물(抽出物)로부터 대두(大豆)치즈를 제조(製造)하기 위한 최적(最適) 조건(條件)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추출(抽出), 응고(凝固) 및 starter의 비교(比較) 시험(試驗) 등(等)을 수행(修行)하였고, 제품(製品)의 기호성(嗜好性) 향상(向上)을 위하여 skim milk와 미생물원(微生物原) 및 송아지원(原)의 rennin을 첨가(添加)한 경우,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하였다. 1. 대두추출(大豆抽出)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고형물(固形物) 및 단백질(蛋白質) 추출율(抽出率), curd의 수율(收率) 등을 고려(考慮)하여 가수량(加水量) 9배(倍), 추출온도(抽出溫度) $100^{\circ}C$, 추출기간(抽出時間) 10분(分)이었다. 2. 두유(豆乳)의 응고(凝固)를 위하여는 응고제(凝固劑)로서 sodium gluconate가 좋았고 젖산 발효(醱酵)에 의한(依)한 방법(方法)으로 S. thermophilus의 starter 5%의 접종(接種)이 가장 좋았다. 3.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과정(熟成過程)에 미치는 skim milk 및 rennin 첨가(添加)의 영향(影響)은 (1) curd의 형성시간(形成時間)은 rennin을 첨가(添加)하였을때 단축(短縮)되었으며, skim milk와 rennin을 병용(竝用)하였을 때 현저히 단축(短縮)되었고, 공시(供試)한 두 개(個)의 rennin 중(中)에서는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가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형성(形成)이 늦었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의 변화(變化)에는 큰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며, 제품(製品)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미생물(微生物) rennet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높았다. (3) pH의 변화(變化)는 숙성초기(熟成初期)까지 급격(急激)히 저하(低下)되었고 그 이후(以後)에는 저하경향(低下傾向)이 완만(緩慢)하였으며,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치즈에서 전기간(全期間)을 통(通)하여 낮은 수준(水準)의 pH를 유지(維持)하였다. (4) 세균수(細菌數)는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 $10^8cells/g$의 수준(水準)으로 증가(增加)한 다음 숙성기간(熟成期間)에 계속(繼續) 감소(減少)하였고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월등(越等)히 높은 수준(水準)의 세균수(細菌數)가 측정(測定)되었다. (5) 숙성기간중(熟成期間中) 총질소(總窒素)의 함량(含量)은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는 계속(繼續) 증가(增加)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숙성률(熟成率)을 계산(計算)하면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또 rennin 첨가(添加)의 것에서 숙성률(熟成率)이 높았고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 첨가(添加)에서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높은 숙성률(熟成率)을 보임으로서 skim milk와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 치즈에서 가장 높은 55%의 숙성률(熟成率)을 나타내었다.

  • PDF

Energy and Ileal Digestible Amino Acid Concentrations for Growing Pigs and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Fed Fermented or Conventional Soybean Meal

  • Wang, Y.;Lu, W.Q.;Li, D.F.;Liu, X.T.;Wang, H.L.;Niu, S.;Piao, X.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706-716
    • /
    • 2014
  • A new strategy of co-inoculating Bacillus subtilis MA139 with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used to produce fermented soybean meal (FSBM).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Exp. 1),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Exp. 2), and feeding value (Exp. 3) of FSBM produced by this new strategy (NFSB) compared with soybean meal (SBM) and conventionally available FSBM (Suprotein). In Exp. 1, twenty-four barrows (initial body weight [BW] of $32.2{\pm}1.7kg$)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diets with 6 replicates per diet. A corn basal diet and 3 diets based on a mixture of corn and 1 of 3 soybean products listed above were formulated and the DE and ME contents were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 and ME between SBM and either FSBM product (p>0.05). In Exp. 2, eight barrows (initial BW of $26.8{\pm}1.5kg$) were fitted with ileal T-cannulaes and used in a replicated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ree corn-starch-based diets were formulated using each of the 3 soybean products as the sole source of AA. A nitrogen-free diet was also formulated to measure endogenous losses of A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D of all AA except arginine and histidine was similar for NFSB and SBM (p>0.05), but Suprotein had greater (p<0.05) SID of most AA except lysine, aspartate, glycine and proline than NFSB. In Exp. 3, a total of 144 piglets (initial BW of $8.8{\pm}1.2$ kg) were blocked by weight and fed 1 of 4 diets including a control diet with 24% SBM as well as diets containing 6% and 12% NFSB or 12% Suprotein added at the expense of SBM. During d 15 to 28, replacing SBM with 6% NFSB significantly improved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0.05) for nursery piglets. During the overall experiment, ADG of piglets fed diets containing 6% NFSB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that of piglets fed SBM. In conclusion, fermentation with the new strategy did not affect the energy content or the AID and the SID of AA in SBM. However, inclusion of 6% NFSB in diets fed to nursery piglets improved performance after weaning likely as a result of better nutritional status and reduced immunological challenge.

박테리오신 생성 Pediococcus acidilactici 를 적용한 요거트 특성 및 항균성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Yogurt Fermented by Bacteriocin-producing Pediococcus acidilactici)

  • 현인경;김민영;김서연;이지수;최아랑;강석성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154-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박테리오신을 생성하는 P. acidilactici를 적용한 기능성 요거트를 제조하여 항균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Yogurt starter로는 시판되는 요거트에서 분리한 혼합 균주 3종(S. thermophilus, Lb. bulgaricus, Lb. rhamnosus GG)을 사용하였으며, 혼합 균주와 P. acidilactici HW01, P. acidilactici JM01, P. acidilactici K10을 각각 혼합 접종하여 각각의 요거트를 제조한 다음 유산균의 생균수, pH, brix를 측정한 결과, 유산균의 생균수는 모두 8.0 Log CFU/mL 이상의 생균수가 검출되어 유산균 발효유로서 기준에 적합하였다. 또한 pH와 brix를 측정한 결과, 발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다. 우유나 유제품의 오염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병원성 균인 L. monocytogenes를 통해 병원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으며 L. monocytogenes가 발효 후 3일째부터 모두 저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박테리오신 생성 균주인 P. acidilactici HW01, P. acidilactici JM01, P. acidilactici K10이 발효유제품 제조에 있어서 요거트 제품의 변화 없이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지닌 균주로 기대되며, 식품안정성 및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 유제품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그리고 L. monocytogenes 외의 다른 병원성 균의 저해효과에 대한 연구 및 요거트의 저장온도에 따른 병원성 저해효과 차이에 대한 연구도 기대된다. 따라서 박테리오신 생성 균주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을 실제 식품산업에 적용한다면 안전성 및 신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보인다.

오디첨가 요구르트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Properties of Mulberry Yogurt)

  • 김혜경;배형철;남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66-75
    • /
    • 2003
  • 오디의 건강 효과와 유산균 배양시 발효촉진 효과를 기대한 새로운 요구르트 개발의 일환으로, 환원 탈지유에 건조방법에 따른 오디의 첨가와 오디 첨가수준을 달리 한 요구르트 제조시 pH, 산도, 유산균수의 변화, 오디요구르트의 저장성 및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오디, 동결건조오디, 열풍건조오디는 보통 요구르트에 비하여 pH 저하와 산 생성의 증가가 빨라 발효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처리구 간에는 동결건조오디나 열풍건조 오디에 비하여 생오디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2. 생오디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pH 저하와 산 생성의 증가가 빨라 발효촉진의 효과를 보였으며, 유산균수도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3. 생오디 요구르트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리당중의 fructose가 증가되었다. 4. 생오디 요구르트에서 lactic acid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오디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욱 증가 되었다. 5. 생오디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color), 맛(tast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향기(oder)와 조직감(texture)에서도 0.3%, 0.6% 처리구에 비하여 0.9%처리구가 좋은 결과를 보여 오디 첨가요구르트의 제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6. 생오디 요구르트의 저장실험 결과, $5^{\circ}C$에서 15일간 저장시 0.9% 오디첨가요구르트는 pH 4.04, 산도 1.082로 나타났고, 유산균수는 $1.9{\times}10^9cfu/ml$ 로 우리나라의 호상 요구르트 총 유산균수 기준치 $1.0{\times}10^8cfu/ml$를 초과하여 제품으로서의 우수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쌀밥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와 Bacillus thuringiensis의 독소유전자 분석 (Toxin Gene Analysis of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Cooked Rice)

  • 전종혁;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1-367
    • /
    • 2010
  • 쌀밥의 미생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쌀을 취반한 후 세균을 분석하였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생쌀 30개를 수집하여 취반 후에 중온성 호기성균과 MYP선택배지에서 Bacillus cereus group를 분리 동정하여 그의 분포도와 독소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취반 직후의 쌀밥 27%에서 1-3 log CFU/g정도의 총 중온성 호기균과 거의 같은 정도로의 Bacillus spp.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균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들도 증균한 후에는 B. cereus group균들이 검출되어 사실상 대부분의 시료에서 Bacillus spp.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시료로부터 37개의 분리하여 동정한 균주는 B. thuringiensis, B. cereus, B. valismortis,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 등으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중 20개(54%)의 분리주가 B. thuringiensis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9개(27%)의 B. cereus이였다. 그리고 3개(8%)의 B. valismortis와 각각 1개(3%)의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이였다. B. thuringiensis는 모두에서 non-hemolytic toxin gene(nhe)을 가지고 있었고 9개의 B. cereus중 7균주가 emetic toxin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쌀밥에는 B. thuringiensis가 B. cereus보다 더 높은 빈도로 분포되어 있고 B. cereus는 설사형 독소유전자 보다는 구토형 독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취반 후 쌀밥을 상온에서 보관하여 발생되는 B. cereus 식중독은 설사형보다 구토형일 가능성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