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philu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초

유산균 Cell Wall 성분이 Murine Macrophage의 Nitric Oxide와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 김현주;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18-321
    • /
    • 2004
  • 분리동정한 유산균의 cell wall은 murine macrophage를 활성화 시켜 NO와 cytokine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NO 생성량에 있어서는 L. casei SGU 0020에서 가장 높은 분비를 유도하였으며, TNF-a의 분비량은 S. thermophilus SGU 0021의 균주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cytokine인 일종인 $IL-1{\beta}$, IL-2, IL-6에 있어서는 L. casei SGU 0020에서 가장 많은 IL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 PDF

The Microstructures of Soybean Milk Curds prepared by Different Coagulation Methods

  • Lee, Chul-Woo;Jo, Gab-Y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59-262
    • /
    • 1997
  • The microstructures of soybean milk curds, prepared by different coagulation methods, were observed by the scaning electron microscope. Th curd coagulated by theaddition of bacerial soybean mil clotting enzyme showed little textural changes and gave smoother gel than those prepared either by lactic acid fermentation using Streptococcus thermophilus or by the addition of CaSO$_4$. The curds obtaine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y the addition of inorganic salt exhibited three 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which indicated harder gel than that prepared by soybean mil clotting enzyme.

  • PDF

복분자(Rubus coreanum Miquel) 즙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with Rubus coreanum Miquel Juice)

  • 황현주;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5
    • /
    • 2006
  • 복분자 착즙액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skim milk에 S. thermophilus, L. acidophilus와 L. casei를 혼합한 균주를 접종하여 복분자 착즙액이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는 전반적으로 발효기간중 감소하는 경향을,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생균수 변화에 있어서 복분자 착즙액의 첨가는 농도에 따라 생육을 촉진하기도 하고 저해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 첨가농도까지는 안정된 발효를 유도하는 결과를 보였다. 성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구와 복분자 착즙액 첨가구별 단백질, 유당, 유리지방산 함량에서는 시료간 비슷한 값을 보였고, 복분자 착즙액의 첨가량에 따라 총고형분함량은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3% 복분자즙 첨가구가 색, 향, 맛, 후미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 PDF

쑥 추출물의 첨가가 요구르트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 김지인;박신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2-357
    • /
    • 1999
  • 우유에 쑥 추출물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2종(Lac. bulgaricus와 Str. themophilus)의 젖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 배양하여 호상 요구르트를 만들고, 쑥 추출물의 첨가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 생성 및 요구르트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첨가로 인해 요구르트의 젖산균 증식과 산 생성이 대조군(우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특히 Lac. bulgaricus와 Str. themophilus를 혼합 배양한 경우에 산 생성이 가장 우수하여 산도는 1.921%이었고, Lac. bulgaricu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생균수가 가장 높아 7.72$\times$$10^{8}$ CFU/ml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쑥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색깔, 향기, 맛, 조직감, 후미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성이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Lac. bulgaricus를 단독 균주로 하여 쑥 추출물을 5% 첨가하여 제조한 요구르트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우유에 쑥 추출물의 첨가는 기호성이 높고 식품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그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요구르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Orotic acid의 원유내 함량과 발효중 유산균에 의한 감소 (Content of Orotic Acid in Raw milk and Reduction of OA by Lactic Acid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 송영민;김철현;백승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6-91
    • /
    • 2004
  • 다양한 기능성 작용이 있는 물질로 알려진 OA에 대하여,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본 실험을 실시했다. 원유와 10% 환원유를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를 한 결과, OA의 감소율은 각자 17.6%, 22.4%, 정도로서 비교적 열에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과정 중 유산균에 의한 OA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L. helveticus 166과 L. casei 955는 균수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발효 24시간까지 OA의 감소는 미미하였으나 24시간 이후부터 72시간까지 각각 43.2%, 76%까지 OA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S. thermophilus ST-37은 발효 72시간까지 OA의 감소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OA의 변화가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냉장 저장 중 OA함량은 유산균의 종류에 관계없이 변화가 없었다.

장수 발효의 미생물학적 연구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Jangsu)

  • 김선영;무사 수안네;김기은;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89-694
    • /
    • 1991
  • 우리나라 신라시대를 전후하여 일반적인 청량음료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장수(?水)의 제조방법을 제민요술에 근거하여 재현하고 그 발효학적 특징을 규명 하려 하였다. 새로지은 뜨거운 쌀밥을 항아리에 담고 찬물을 부어 3일간 상온에서 발효한 후 윗물과 밥 절반을 떠낸 후 다시 새로지은 뜨거운밥과 찬물을 채워 넣는 일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미생물균총의 조성을 관찰하였다. 밥과 물을 혼합하여 실온에 방치하면 3일 동안 총균수, 단백 질 분해균, 산생성균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나 그 이후부터 다소 감소하며 6일 후에는 단백질 분해균수가 증가하여 부패현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장수 제조법에 의하면 단백질 분해균이 크게 감소하고 산생성균이 지배균총이 된다. 장수에서 분리한 주요 산생성균은 Lacto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 Leuconostoc spp.였으며 이중 주요균으로 Lac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coryniformis 및 Leuconostoc mesenterioides를 잠정 동정하였다. 분리한 유산균 들을 starter로 사용하여 장수를 제조한 결과 산생산력이 크고 풍미가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mproving Soluble Expression of β-Galactosidase in Escherichia coli by Fusion with Thioredoxin

  • Nam, E.S.;Jung, H.J.;Ahn,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2호
    • /
    • pp.1751-1757
    • /
    • 2004
  • Recombinant heterologous proteins can be produced as insoluble aggregates partially or perfectly inactive in Escherichia coli. One of the strateges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recombinant proteins is fusion with a partner that is excellent in producing soluble fusion proteins.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soluble $\beta$-galactosidase, the gene of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beta$-galactosidase (KNOUC112 $\beta$-gal) was fused with thioredoxin gene, and optimization of its expression in E. coli TOP10 was performed. KNOUC112 $\beta$-gal in pET-5b was isolated out, fused with thioredoxin gene in pThioHis C, and transformed to E. coli TOP10. The $\beta$-galactosidase fused with thioredoxin was produced in E. coli TOP10 as dimer and trimer. The productivity of fusion $\beta$ -galactosidase expressed via pThioHis C at 37$^{\circ}C$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f unfused $\beta$-galactosidase expressed via pET-5b at 37$^{\circ}C$. Inclusion body of $\beta$-galactosidase was formed highly, regardless of the induction by IPTG when KNOUC112 $\beta$ -gal was expressed via pET-5b at 37$^{\circ}C$. Fusion $\beta$ -galactosidase expressed at 37$^{\circ}C$ via pThioHis C without the induction by IPTG was soluble, but the induction by IPTG promoted the formation of inclusion body. Lowering the incubation temperature for the expression of fusion gene under 25$^{\circ}C$ prevented the formation of inclusion body, optimally at 25$^{\circ}C$. 0.07 mM of IPTG was sufficient for the soluble expression of fusion gene at 25$^{\circ}C$. The soluble production of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beta$-galactosidase could be increased about 10 times by fusion with thioredoxin, and optimization of incubation temperature and IPTG concentration for induction.

국내산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를 첨가한 Stirred Yoghurt의 제조 (Preparation of Stirre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 고진경;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0-206
    • /
    • 2005
  • 비파를 첨가한 stirred yoghurt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 $15\%$를 Skim milk에 첨가하여 Streptococcus thermophilus 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혼합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유에 비파 과육 첨가량 $(5\%,\;10\%,\;15\%,\;w/v)$과 올리고당 첨가량 $(10\%,\;15\%,\;20\%,\;25\%,\;w/v)$을 달리하여 제조한 stirred yoghurt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비파 과육 $15\%$와 올리고당 $20\%$를 첨가하였을 때 단맛, 신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비파 과육 $15\%$ stirred yoghurt에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와 적색도(a값)는 감소하였고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Texture 특성은 $15\%$ 비파 과육 첨가 stirred yoghurt에 올리고당 $20\%$ 첨가시 견고성(hardness), 탄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껌성(gumminess)과 탄력성(resilience)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15\%$비파 착즙액 첨가 발효유에 $15\%$비파 과육과 $20\%$ 올리고당의 첨가가 비파 첨가 stirred yoghurt 제조를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유산균에 의한 Nitric Oxide와 $TNF-{\alpha}$의 생성 증가 효과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fidobacterium bifidum) on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TNF-$\alpha$ in RAW 264.7 Macrophage Cell)

  • 박소희;정명준;김수동;백대헌;강병용;하남주
    • 약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9-464
    • /
    • 2005
  • The immune reinforcement of th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bifidum was studied in RAW 264.7 cell line treated with diluted solution (dilution to $2^{5}$) of the supernatnats of lactic acid bacteria. RAW 264.7 cell line was used as a macrophage model to assess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were largely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in dose-dependent manner in 24 or 48 hr cultures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lso largely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Bifidobacterium bifidum differential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NO production was increased by Bifidobacterium bifidum 25 $\mu$l/ml more than LPS (20 ng/ml) control, and TW-$\alpha$ by Bifidobacterium bifidum 6.25 $\mu$l/ml more than LPS (10 ng/ml) control. The in vitro approaches employed here should be useful in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ystemic i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