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rmooxidative stabili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다량조리 튀김식품 종류에 따른 대두유의 가열산화 (Effects of Thermooxidation of Soybean Oil in Association with Fried Foods on Quantity Food Production)

  • 최은수;길복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3-730
    • /
    • 2011
  • 본 연구는 튀김식품의 종류에 따른 대두유의 가열산화변화를 여러 이화학적 품질지표들을 측정함으로써 장시간 가열처리에 따른 대두유의 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튀김유로 대두유를 사용하여 $180^{\circ}C$에서 72시간 동안 프렌치프라이, 치킨너겟, 도넛을 튀겼다. 튀김유의 가열산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유리지방산가, 과산화물가, 총극성화합물 함량, 공액이중산가를 측정하였고, 유전항수, 굴절률, 요오드가, 발연점, 지방산 조성 중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U/S)를 분석하였다. 튀김 시간에 비례하여 유리지방산가, 총극성화합물 함량, 공액이중산가, 유전항수, 굴절률은 증가하고, 요오드가, 발연점, U/S 비는 감소하였다. 모든 튀김유 시료에서 법적 규제치인 산가는 2.0% 이하와 총극성화합물 함량 25% 이하를 나타냈다. 그러나 과산화물가는 튀김 시간과 무관하게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다. 치킨너겟 튀김유가 프렌치프라이나 도넛 튀김유에 비해 가열산화에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나, 튀김식품의 종류가 튀김유 변질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튀김유의 품질을 나타내는 여러 이화학적 지표 중 굴절률이나 유전항수는 간편법으로 산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고무 탄성체의 물성에 미치는 가교제의 효과 (Effect of cross-linking agents on the properties of copolyetherester elastomer)

  • Jang, Young-Joo;Kim, Hae-Young;Baik, Doo-Hyu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5-358
    • /
    • 2001
  • Copolyetheresters are us,ed as an engineering thermoplastic elastomer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thermooxidative stability up to high temperatures and a good resistance against many chemicals. However, fibers made from the copolyetheresters exhibited elastic recovery of about 80-85% after being stretched 200%, while spandex fibers usually showed 90-95% recovery. (omitted)

  • PDF

증숙면 튀김 과정 중 대두유, 우지, 팜유의 가열 산화 안정성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 최은옥;이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2
    • /
    • 1998
  • 대두유, 우지, 팜유에서 증숙면을 튀겨내면서 튀김유의 가열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튀김유를 $150^{\circ}C$로 가열하고 증숙면을 30분 간격으로 70초간 튀기는 도중 8시간 간격으로 튀김유를 채취하여 과산화물가와 유리지방산의 함량, 지방산 조성의 변화,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엔올을 분석하였다. 튀김과정중 대두유에서의 과산화물가 및 유리지방산가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우지와 팜유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구성 지방산의 불포화도는 대두유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팜유, 우지의 순이었다.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과정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줄어드는 대신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산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리놀레산과 팔미틴산의 함량비는 대두유의 경우 튀김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튀김시간에 따라 높은 상관관계로 감소하였고 우지보다는 팜유에서 그 속도가 빨랐다. 이것은 대두유가 가열 산화에 가장 안정하고 우지, 팜유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토코페롤은 대두유에서 튀김과정에 의해 파괴되어 8, 16, 24시간 후 87.5, 81.1, 73.1%가 잔존하였으며 그 파괴 속도는 ${\gamma}$-토코페롤이 가장 컸고 ${\beta}-,\;{\alpha}$-토코페롤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 우지와 팜유에 각각 34.2, 169.0 ppm 존재하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은 튀김 8시간을 지나면서 모두 파괴되었다. 따라서 높은 불포화도에도 불구하고 대두유에서 나타난 가열산화안전성은 토코페롤의 높은 잔존량에 기인하였고, 팜유가 우지보다 낮은 가열산화안전성을 보인 것은 구성 지방산의 높은 불포화도에서 일부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두유와 돈지의 가열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표면적의 영향 (Effect of Surface Area of Soybean Oil and Lard on the Thermooxidative Stability)

  • 김인환;김영순;최양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81-786
    • /
    • 1998
  • 가열산화 과정중 대두유 및 돈지의 표면적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유와 돈지를 공기와 접촉면적이 서로 다른 시료 4가지$(0.04,{\;}0.08,{\;}0.12,{\;}0.16{\;}cm^2/g)$$185^{\circ}C$에서 6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각 시료의 산패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요오드가, 공액이중결합함량, 굴절률, 유전상수, 극성지질함량 및 리놀렌산과 팔미트산의 비(L/P ratio)등이 측정되었다. $0.04{\;}cm^2/g$$0.08{\;}cm^2/g$의 표면적을 갖고 64시간 동안 가열한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6.4와 125.4인 반면에 $0.12{\;}cm^2/g$$0.16{\;}cm^2/g$의 표면적을 갖고 64시간 동안 가열한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13.1과 116.9로 표면적 증가에 따라 급속한 감소를 보였다. 돈지의 경우에는 대두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그 감소 폭은 대두유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대두유와 돈지의 극성지질함량, 유전상수, 굴절률 등은 $0.124{\;}cm^2/g$부터 급속한 증가를 보였다. 한편 대두유의 경우 $0.12{\;}cm^2/g$부터 가열시간에 따라 공액이중결합함량은 급속한 증가를, 리놀렌산과 팔미트산의 비(L/P ratio)는 급속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돈지의 경우에는 표면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열산화 과정 중 표면적에 따른 유지의 산화정도는 $0.12{\;}cm^2/g$부터 산패가 급속히 진행됨을 보여주었다.

  • PDF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rylacetylene Resins with Siloxane Units

  • Gao, Fei;Zhang, Lingling;Tang, Lemin;Zhang, Jian;Zhou, Yan;Huang, Farong;Du, Le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4호
    • /
    • pp.976-980
    • /
    • 2010
  • A series of arylacetylene resins with siloxane units were synthesized by the condensation reactions of m-diethynylbenzene magnesium reagents with various $\alpha,\omega$-bis(chloro)dimethylsiloxanes. These resins are liquids and are miscible with common organic solvents at room temperature. The structures of the resins were characterized by FT-IR, $^1H$ NMR, $^{13}C$ NMR, $^{29}Si$ NMR,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he thermal behaviors of the resins were examined with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se resins have good processability. They can be thermally cross-linked through the ethynyl groups to produce cured resins. The thermal and thermooxidative stabilities of the cured resins were studi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cured resins possess high thermal and thermooxidative stability. Their decomposition occurs at above $500^{\circ}C$ in both $N_2$ and air. With increasing the length of siloxane units in the resins,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ured resins decreases in $N_2$. When the cured resins were sintered above $1450^{\circ}C$ under argon, hard and glassy SiOC ceramics were obtained. These SiOC ceramics ha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s at 5% weight loss above $800^{\circ}C$ in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