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rapeutic potential

검색결과 2,195건 처리시간 0.03초

Analysis of Microbiota in Bellflower Root, Platycodon grandiflorum, Obtained from South Korea

  • Kim, Daeho;Hong, Sanghyun;Na, Hongjun;Chun, Jihwan;Guevarra, Robin B.;Kim, You-Tae;Ryu, Sangryeol;Kim, Hyeun Bum;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551-560
    • /
    • 2018
  • Bellflower root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belongs to the Campanulaceae family, is a perennial grass that grows naturally in Korea, northeastern China, and Japan. Bellflower is widely consumed as both food and medicine owing to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potential therapeutic effects. Since foodborne disease outbreaks often come from vegetables, understanding the public health risk of microorganisms on fresh vegetables is pivotal to predict and prevent foodborne disease outbreaks. We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mmunities on the bellflower root (n = 10).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targeting the V6-V9 regions of 16S rRNA genes was conducted via the 454-Titanium platform. The sequence quality was checked and phylogenet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RDP classifier implemented in QIIME with a bootstrap cutoff of 80%.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weighted Fast UniFrac distance. The average number of sequence reads generated per sample was 67,192 sequences. At the phylum level, bacterial communities from the bellflower root were composed primarily of Proteobacteria, Firmicutes, and Actinobacteria in March and September samples. Genera Serratia, Pseudomonas, and Pantoea comprised more than 54% of the total bellflower root bacteri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lots demonstrat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of bellflower root in March samples was different from those in September samples. Potential pathogenic genera, such as Pantoea, were detected in bellflower root samples. Even though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if these species are associated with foodborne illnes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16S rRNA gene-based sequencing approach can be used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on fresh vegetables.

사람의 골수와 제대정맥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TREK1 통로의 기능적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TREK1 channel in human bone marrow and human umbilical cord vein-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박경선;김양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64-1971
    • /
    • 2015
  • 사람의 골수 또는 제대정맥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 세포 (hBM-MSC 또는 hUC-MSC)는 임상적 치료 적용에 매우 유용한 세포유형으로 알려져 왔다. 우리는 이러한 세포에서 two-pore 도메인 포타슘 (K2P)채널을 조사하였다. K2P 채널은 다양한 세포유형들에서 안정막 전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들 중 TREK1은 수소, 저산소증, 다불포화 지방산, 항우울제 및 신경전달물질들의 표적이다. 우리는 RT-PCR 분석과 팻취고정기법을 이용하여 hBM-MSCs와 hUC-MSC가 기능적인 TREK1 채널을 발현하는지 조사했다. hBM-MSCs와 hUC-MSCs에서 100 pS 단일 채널 전도도를 가진 포타슘채널이 발견되었고, 그 채널은 세포막 신전 (-5 mmHg ~ -15 mmHg), 아라키도닉산 ($10{\mu}M$), 세포내 산성화 (pH 6.0)에 의해 활성화 되었다. 이러한 전기생리학적 성질은 TREK1과 유사하였다. 우리의 결과는 안정막 전위에 기여하는 TREK1 채널이 hBM-MSC와 hUC-MSC에 기능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홍화씨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II)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II))

  • 김미진;김자영;최상원;홍진태;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9-456
    • /
    • 2004
  • 최근 홍화씨의 세로토닌유도체,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화합물은 에스트로겐${\cdot}$항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식물 유래의 diphenol 화합물인 phytoestrogen 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이를 함유하고 있는 홍화씨추출물[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의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이전에 홍화씨추출물은 피부세포의 산화를 막아주는 항산화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아울러 피부의 matrix protein을 만들어내는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엘라스틴 단백질을 분해하는 elast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홍화씨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콜라겐 발현효과 및 MMP-1 발현 억제효과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씨추출물의 콜라겐 발현효과는 레티놀보다 우수하였으며, 아울러 MMP-1 발현 저해효과는 올레산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0.1\%$ 홍화씨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홍화씨추출물 미함유 크림)에 비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홍화씨추출물은 주름개선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이 LPS가 유도된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김창현;이미애;김태운;장자영;김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45-1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은 다양한 농도의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다양한 농도에서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생성양 역시 LPS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했을 때, 각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염증 억제 기작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수행과 활성물질의 동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대식세포 유래의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성 매개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예방물질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가 크롬의 보조제로서의 역할 (The Role of Trivalent Chromium as a Supplement)

  • 박형숙;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2-768
    • /
    • 2004
  • 인슐린 작용을 강화시키는 LMWCr의 발견과 크롬 결핍과 관련 있는 포도당 불내성(glucose intolerance)이 크롬 투여 시 반응을 보여준 임상적 증명 이후, 크롬은 확실한 필수 영양소로 인식되고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 시험관 실험에서 고농도의 3가 크롬을 배양 세포에 노출 시, 일부 연구 결과에서 염색체이상 유발과 변이원성 효과가 발견되긴 하였으나 이는 비타민 A, D, 니코틴산, 셀레늄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영양소의 과잉 섭취 시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정도로 해석되며, 시험관 실험 결과들이 발암성의 증거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3가 크롬을 경구 보조제로 투여된 임상 치료에서 환자들은 독성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장 내 크롬 수치가 비 투여된 사람들에 비하여 조금 높았다. 크롬을 TPN 형태로 투여받은 환자들에게서도 우려했던 신체ㆍ정신적 효과와의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신기능부전을 나타낸 경우는 신장 독성을 주는 약들을 함께 복용한 경우로서, 우려되는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 임상학적, 실험적으로 사용된 3가 크롬의 용량은 ESADDI 규정된 범위 50∼200 $\mu$g/day에서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사용에 기준이 될 것이다. EPA는 모든 관련 자료들을 검토한 후에 크롬의 참고용량 (RfD) 수치를 70 mg/day로 결론지었으며, 다른 영양소들의 용량과 비교했을 때 대단히 넓은 수치이다. 3가 크롬은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인슐린 내성, 비정상적 지방대사를 개선시키기 위한 영양소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또한 크롬의 보충은 제II형 당뇨병과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는 크롬 보조제 사용 시, 일부 연구자들이 3가 크롬 1000 $\mu$g/day의 안전성을 입증한 것과 같이 용량을 늘려 임상실험을 시도한 후 안전과 효능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PEP-1-FK506BP inhibits alkali burn-induced corneal inflammation on the rat model of corneal alkali injury

  • Kim, Dae Won;Lee, Sung Ho;Shin, Min Jea;Kim, Kibom;Ku, Sae Kwang;Youn, Jong Kyu;Cho, Su Bin;Park, Jung Hwan;Lee, Chi Hern;Son, Ora;Sohn, Eun Jeong;Cho, Sung-Woo;Park, Jong Hoon;Kim, Hyun Ah;Han, Kyu Hyung;Park, Jinseu;Eum, Won Sik;Choi, Soo Young
    • BMB Reports
    • /
    • 제48권11호
    • /
    • pp.618-623
    • /
    • 2015
  • FK506 binding protein 12 (FK506BP) is a small peptide with a single FK506BP domain that is involved in suppression of immune respons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FK506BP has emerged as a potential drug target for several inflammatory diseases. Here, we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irectly applied cell permeable FK506BP (PEP-1-FK506BP) on corneal alkali burn injury (CAI). In the cornea,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expressing pro-inflammation, apoptotic, and angiogenic factors such as TNF-α, COX-2, and VEGF. Both corneal opacity and corneal neovascularization (CNV)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EP-1-FK506BP treated group. Our results showed that PEP-1-FK506BP can significantly inhibit alkali burn-induced corneal inflammation in rats, possibly by accelerating corneal wound healing and by reducing the production of angiogenic factors and inflammatory cytoki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1-FK506BP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CAI.

장노년층 건강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 라이프스타일 케어 앱의 사용자 요구도 분석 (Analysis the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a Mobile Health Based Lifestyle Care Application for Health Promotion among the Elderly)

  • 박강현;원경아;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3호
    • /
    • pp.23-34
    • /
    • 2020
  • 목적 : 최근 건강한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모바일 기반의 헬스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개인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확립을 위하여 라이프스타일 평가와 케어를 할 수 있는 앱 개발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장노년층 총 8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 라이프스타일 평가 및 케어 앱의 콘텐츠와 관련하여 고령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는 하루 걸음수 측정, 전반적 신체활동, 혈압측정, 수면 수준 측정, 균형잡힌 식습관 측정, 일일 수행 활동의 종류 및 시간 측정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이 관리 될 수 있도록 앱 안에서 보여지는 기록에 대한 선호도로는 '하루 걸음 수를 그래프로 기록 및 관리기능', '하루음식 섭취 열량을 제공', '일일 운동의 시행 횟수와 시간을 제공', '시간별 활동의 종류와 수행시간을 제공' 등이 라이프스타일의 관리를 위한 기록 부분에 필요한 콘텐츠로 조사되었다. 또한 그룹 간 차이로는 장년층에서는 활동참여를 주요한 콘텐츠로 보는 반면, 고령층은 이에 대한 중요도를 적게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고령자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의 프로파일링 및 케어를 앱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조사하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모바일 헬스 기반의 라이프스타일 평가 및 케어 앱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1 Is Identified as a Novel Metastasis Suppressor in Hepatocellular Carcinoma Regulating the miR-615-5p/IGF2 Axis

  • Song, Li-Jie;Zhang, Wei-Jie;Chang, Zhi-Wei;Pan, Yan-Feng;Zong, Hong;Fan, Qing-Xia;Wang, Liu-X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667-3671
    • /
    • 2015
  • Invasion and metastasis is the major cause of tumor recurrence, difficulty for cure and low survival rate. Excavating key transcription factors, which can regulate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are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strategies for cancers. PU.1 is a master hematopoietic transcription factor and a vital regulator in life. Here, we report that, compared to adjacent non-cancerous tissues, expression of PU.1 mRNA in metast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but not primary HCC,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addition, levels of PU.1 mRNA in metastatic hepatoma cell lines MHCC97L and MHCC97H were much lower than in non-metastatic Hep3B cells. Transwell invasion assays after PU.1 siRNA transfection showed that the invasion of hepatoma cell lines was increased markedly by PU.1 knockdown. Oppositely, overexpression of PU.1 suppressed the invasion of these cells. However, knockdown and overexpression of PU.1 did not influence proliferation. Finally, we tried to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 of PU.1 suppressing hepatoma cell invasion. ChIP-qPCR analysis showed that PU.1 exhibited a high binding capacity with miR-615-5p promoter sequence. Overexpression of PU.1 caused a dramatic increase of pri-, pre- and mature miR-615-5p, as well as a marked decrease of miR-615-5p target gene IGF2. These data indicate that PU.1 inhibits invasion of human HCC through promoting miR-615-5p and suppressing IGF2. These findings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PU.1 regulatory roles and provided a potential target for metastatic HCC diagnosis and therapy.

Circulating miR-195 as a Therapeutic Biomarker in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 Cecener, Gulsah;Ak, Secil;Eskiler, Gamze Guney;Demirdogen, Elif;Erturk, Elif;Gokgoz, Sehsuvar;Polatkan, Volkan;Egeli, Unal;Tunca, Berrin;Tezcan, Gulcin;Topal, Ugur;Tolunay, Sahsine;Tasdelen, Ism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241-4246
    • /
    • 2016
  • Background: Dysregulation of miRNA expression may be used as a biomarker for specific tumours because it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ancer. Circulating miRNA profiles have been highlighted for their potential as predictive markers in heterogeneous diseases such as breast cancer. In the literature, there is evidence that miR-195 levels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pre- and post-operative periods in breast cancer patients. At the same time, miRNA expression levels may vary because of ethnic origin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expression levels and potential roles of miR-195 in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ression patterns of miR-195 were initially examined in breast cancer tissues (luminal A and B type) (n=96). Subsequently, blood sample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and disease free controls. Total RNA was isolate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miR-195 was quantified by real-time PCR. Results: We found that miR-195 level was altered in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with down-regulation evident in breast cancer tissues compared to normal adjacent specimens. Furthermore, circulating levels of miR-195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ost-operative blood samples compared with pre-operative levels (p=0.01 and <0.05). However, miR-195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operative blood samples of the luminal B type (p=0.04 and <0.05). Conclusions: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report of a miR-195 expression profile in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Our data suggests that miR-195 levels might be a clinically useful biomarker in the earliest stage of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OD78 Is Mediated through Cell Cycle Progression by Upregulation p27kip1 in Rat Aortic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 Tudev, Munkhtsetseg;Lim, Yong;Park, Eun-Seok;Kim, Won-Sik;Lim, Il-Ho;Kwak, Jae-Hwan;Jung, Jae-Kyung;Hong, Jin-Tae;Yoo, Hwan-Soo;Lee, Mi-Yea;Pyo, Myoung-Yun;Yun, Yeo-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2호
    • /
    • pp.187-194
    • /
    • 2011
  • Atherosclerosis and post-angiography restenosis are associated with intimal thickening and concomitant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roliferation. Obovatol, a major biphenolic component isolated from the Magnolia obovata leaf, is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nhance the inhibitory effects of obovatol to improve its potential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in atherosclerosis and restenosi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B-induced proliferation of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RASMCs) was examin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ewly synthesized obovatol derivative, OD78. The observed anti-proliferative effect of OD78 was further investigated by cell counting and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s. Treatment with 1-4 ${\mu}M$ OD78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and DNA synthesis of 25 ng/ml PDGF-BB-stimulated RASMCs. Accordingly, OD78 blocked PDGF-BB-induced progression from the $G_0/G_1$ to S phase of the cell cycle in synchronized cells. OD78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CDK4, cyclin E, and cyclin D1 proteins, as well as the phosphorylation of retinoblastoma protein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however, it did not change the CDK2 expression level. In addition, OD78 inhibited downregulation of the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CKI) $p27^{kip1}$. However, OD78 did not affect the CKI $p21^{cip1}$ or phosphorylation of early PDGF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D78 may inhibit PDGF-BB-induced RASMC proliferation by perturbing cell cycle progression, potentially through $p27^{kip1}$ pathway activation. Consequently, OD78 may be developed as a potential anti-prolifera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and angioplasty reste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