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use of cosmetics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1초

피부미용사의 전문직업성 연구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of Estheticians)

  • 양현옥;곽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80-1388
    • /
    • 2009
  • 피부미용사들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을 밝혀보고자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와 전주시의 피부미용사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별 전문직업성은 연령, 학력, 현 근무지 근무 연수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삶의 만족도, 직무만족도별 전문직업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삶에 대해 만족하는 피부미용사가 그렇지 않은 피부미용사보다 높았고(t =2.77, p<.01), 직무만족도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직무에 대해 만족하는 피부미용사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보통인 피부미용사가 불만족하는 피부미용사보다 높지 않았다(F= 6.06, p<.01). 둘째, 전문 직업성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율성 (r=.595, p<.001), 전문조직의 활용(r=.428, p<.001),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r=.492,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에 대한 신념 (r=-.634, p<.001),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r=-.485,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화장품원료를 위한 오존화 올리브오일의 동물 피부자극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imal Skin Irritation Measurement of Ozoneized Olive Oil for Cosmetic Ingredients)

  • 김덕술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4-19
    • /
    • 2021
  • 본 연구는 오존화 올리브오일이 피부 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오존을 피부 질환치료에 사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지만, 적절한 계측 절차가 수립되지 않아 국내에서는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성능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동물실험을 통해 실측 데이터 계측을 진행하는 경우는 많지 않지 않으나, 독성실험의 경우 피부의 반응을 정확히 계측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사항으로 권고되고 있어 본 실험이 실시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 Rabbit에 대한 오존화오일(고농도)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를 위하여 오존화오일(고농도)을 털을 제거하여 피부가 노출된 Rabbit의 등 부위에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영상처리장치와 육안 검사를 통해 피부 반응을 관찰하여 피부자극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고 오존화오일(고농도)의 의한 일반적인 반응, 사망과 같은 반응을 함께 측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총 24시간 이내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된 동물들 모두에서 시험물질 처치 부위의 육안관찰, 영상촬영을 통한 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고 사망과 같은 돌발적인 이상반응 역시 확인되지 않아 오존화오일(고농도)의 생체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미백 평가 시 기미 병변 부위에서의 적색도 평가의 효용 (Use of Redness Assessment in Melasma Lesions in Skin Whitening Evaluation)

  • 이정아;김주연;이선화;김보라;김남수;문태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7-342
    • /
    • 2016
  • 기미는 몇몇의 병인학적 요인을 갖고 있지만, 많은 연구가 멜라닌 형성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 형성과 구별되는 혈관의 감소에 의한 기미의 개선을 보고자 하였다.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평가를 통해 기미와 일광 흑자를 가진 한국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8주 간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Chromameter 기기로 측정한 연구 대상자의 기미 병변, 일광 흑자 병변 및 정상 피부 부위에서의 각 피부색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료 사용 8주 경과 후, 기미 병변 부위의 피부색 밝기와 적색도가 정상 피부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기미 병변 및 일광 흑자 병변 부위의 피부색 밝기의 개선 정도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시료 사용 8주 경과 후 기미 병변 부위의 적색도가 일광 흑자 병변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기미 병변 부위에서 피부색 밝기 뿐만 아니라 적색도 또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적색도가 기미 병변 부위의 평가를 위한 부가적이고 적합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소재 자원을 활용한 기능성화장품의 신기술 개발전략 (The New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Cosmeceuticals with Use Advanced Materials Resources)

  • 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7-438
    • /
    • 2004
  • 기능성화장품이란 이전의 단순한 피부 보습, 피부 보호의 차원에서 벗어나 피부의 주름개선, 피부의 미백에 도움, 피부를 곱게 태우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피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 피부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피부의 이상 및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을 말한다. 그러나 기능성화장품은 의약품과 달리 일정기간 특정한 부위에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인체 전체를 대상으로 사용하는 물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이런 기능성화장품이 200l년 500품목에서 2003년에는 230여 품목으로 증가되었다. 기능성화장품의 개발과 기능성화장품의 범위확대를 위해서는 화장품의 개념이 피부의 손질개념에서 피부노화 방지와 세포부활이라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피부의 생리적 기능, 생체현상 연구, 각종 자극에 대한 피부반응연구 등의 피부기초연구와 관련기술의 극대화를 통하여 고부가가치 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피부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나노 신소재, 피부 안전성과 효능물질의 제어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전달체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의 주요 인식 조사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nsumer Major Perception of Packaging Using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강욱건;고의석;이학래;김재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5-22
    • /
    • 2018
  •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요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웹&SNS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사용하여 2년 7개월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네트워크 중심도는 패키징의 경우 8.9% 포장은 9.1%로 패키징이 보다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NCOR 분석을 통해서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패키징에 관한 소비자들의 주요인식을 연구, 개발, 산업, 소재, 기능 등으로 요약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가 가장 많이 인식하는 패키징 소재는 합성수지이며 패키징 기능으로는 보관의 기능을 주로 인식한다. 또한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패키징 관련 상품군으로 제약, 의약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예측함으로써 향후 이루어질 연구와 산업발전에 기초자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며 빅데이터와 패키징 두 분야의 융합을 통한 패키징 분야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Rumex crispus L.)의 라디칼 소거능과 항균력 평가 및 화장품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icacy Evaluation and Cosmetic Application of Rumex crispus L. Root Extract)

  • 박유진;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9-171
    • /
    • 2024
  • 본 연구는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의 유효성 실험을 위해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능을 확인하고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SOD-like activity를 진행하였으며 항균 활성 평가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균주에 대해 생육저해환과 최소저해농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을 21일 동안 pH, 온도, 일광에 대한 경시 변화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평가 결과 0.0625-1mg/mL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육저해환의 경우 100mg/mL 농도에서 각 균의 생육저해환이 10.45±0.34, 9.77±0.59, 9.92±0.22, 10.08±0.12로 대조군인 Methyl paraben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소저해농도의 경우 100mg/mL 농도에서 S. aureus, E. coli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스킨의 pH 농도가 4.0, 6.0, 7.0에서 흡광도의 변화가 미미하였고, 4℃, 25℃, 40℃에서 온도가 높아질수록 변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킨을 일광과 실온에서 보관했을 때 일광에서 변색이 일어난 것을 보아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은 차광하여 저온 보관하면 변색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 원료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평초 추출물의 미백 및 항주름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 김동희;박태순;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91-398
    • /
    • 2019
  • 부평초 추출물 및 부평초 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E-E) 100 ㎍/mL 농도에서 각각 44.2와 74.3%로 나타났다. 항주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내에서의 procollagen 생합성 활성과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SE)은 25 ㎍/mL 농도에서 48.5%, 같은 농도에서 SE-E는 가장 높은 57.8%의 생합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SE와 SE-E의 MMP-1 저해활성은 25 ㎍/mL 농도에서 각각 13.4와 28.5%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과 세포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L 농도에서 SE는 각각 9.6과 13.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E-E는 각각 15.4와 22.0%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SE와 SE-E의 높은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졌으며 추가적인 항균, 항염, 항암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제약,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분야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황기의 사포닌 Astragaloside 첨가 모 영양제가 눈썹의 성장과 발육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Hair Nutrient Containing Saponin Astragaloside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Eyebrows growth and development)

  • 신복희;이재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27-236
    • /
    • 2017
  • 본 연구는 황기의 사포닌 성분 Astragaloside를 첨가한 모영양제 화장품을 제조하여 눈썹의 성장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전 설문을 통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모(毛)영양제 사용 실태를 조사한 후, 연구대상자의 모(毛)특성상 실험군과 대조군을 동일인으로 하여 우측 눈의 눈썹을 사포닌군(Astragaloside 0.5% 첨가), 좌측 눈의 눈썹을 대조군(Astragaloside를 무첨가)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조군에서는 눈썹 길이 및 눈썹의 굵기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Astragaloside 0.5% 첨가한 사포닌군에서는 눈썹의 길이, 눈썹 모근과 눈썹 중간 굵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인 사용성 평가, 제품성 평가, 만족감 평가 결과는 사포닌 성분 Astragaloside의 사용성이나 제품성에 있어서 적합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눈썹의 숱이나 길이 감소로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황기의 사포닌 성분인 Astragaloside를 첨가한 모영양제 화장품 도포는 눈썹 성장을 개선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제품 개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조사 및 녹차 폴리페놀을 첨가한 화장품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Irradiated Green Tea Polyphenol Addition into Cosmetic Composition)

  • 박태순;이진영;현석준;박근혜;조영제;김세기;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10-216
    • /
    • 2007
  • 방사선 조사한 녹차 폴리페놀을 스킨과 에센스에 첨가하여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항균효과 및 방부효과를 검증하고 무방부제 화장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균력 측정 결과, C. albican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피부상재균인 S. aureus에서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MIC 측정 결과, E. coli와 C. albicans의 경우 2,500 ppm에서, S. aureus의 경우 1,000 ppm에서 저해농도를 나타내었으며, MBC 측정 결과, C. albican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E. coli의 경우 10,000 ppm, S. aureus의 경우 5,000 ppm에서 모든 균이 사멸하였다. 시간에 따른 생균수 측정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항균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녹차폴리페놀은 스킨과 에센스에 첨가 시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첨가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Lactobacillus rhamnosus 파쇄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 최우석;권희석;임혜원;노라환;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3-189
    • /
    • 2013
  • 유산균은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능 및 미백, 보습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5, 26]. Lactic acid인 Lactobacillus rhamnosus는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인 Lactobacillus casei보다 낮게 측정되는 세포독성 결과와 높은 tyrosinase 억제활성을 바탕으로 멜라닌 생성을 줄임에 따라 미백활성을 가진다. 또한 Lactobacillus rhamnosus 파쇄물은 melanoma cell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Lactobacillus casei보다 월등히 높아, 높은 미백 향장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Table 2). 이는 곧 천연물질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합성미백제보다 피부에 독성을 주지 않고, 부작용 없이 피부에 적합한 향장소재로 판단되며, 현대의 새로운 미백향장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항산화 활성은 멜라닌 세포 형성 억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주름 및 노화 등의 출발점이 되어, 미백 활성도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향장소재로써 가치가 높은 Lactobacillus rhamnosus는 합성물질 및 기타 천연물을 대체할 수 있는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향장소재로 다가갈 수 있으며, 향장소재로써 선택의 폭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