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upport activity for service user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관계 DBMS에 기반한 UDDI 3.0 레지스트리의 개발 (A Development of UDDI 3.0 Registry based on Relational DBMS)

  • 유수진;이경하;이규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3-181
    • /
    • 2004
  • 최근에 들어 웹 서비스를 이용한 e-비즈니스를 활용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기업들이 웹 서비스를 이용한 e-비즈니스 시스템의 개발과 보급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렇게 웹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개발한 비즈니스서비스를 사용자가 쉽게 검색하고, 이용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에 따라 웹 서비스의 등록과 검색의 지원을 위한 표준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OASIS에서는 웹 서비스에 대한 레지스트리 표준인 UDDI를 정의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3.0 표준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이 표준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아직 국내에서는 UDDI 3.0표준을 지원하는 레지스트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고 있으며, 외국에서도 웹 서비스 표준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몇몇 업체만이 테스트 버전만을 공개해 놓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UDDI 3.0표준을 지원하는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SQL표준을 지원하는 관계형 DBMS를 지원하고 있으며, UDDI의 모든 기능을 충실히 지원함으로써 웹 서비스 기반의 e-비즈니스 프레임워크에서 중요 기반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LE 비콘을 활용한 O2O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O2O service platform using BLE beacon)

  • 윤동언;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457-1462
    • /
    • 2021
  • 코로나 팬데믹 이후 비대면 주문 결제가 뉴 노멀로 자리잡고 있다. BLE 비콘은 블루투스 페어링 없이 70m이내의 범위에서 저전력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로, 실내측위에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B2C(Business to Consumeri), B2B(Business to Business)서비스를 넘어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를 구축하고 제공하는데에 적합하다. 그러나 비콘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wifi에 비해 구축된 플랫폼이 적어서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LE 비콘을 활용한 O2O 서비스 플랫폼을 설계 및 제안함으로써 이전보다 편리한 비대면 관련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비콘을 스캐닝할 때, 단순히 비콘이 가진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와 비콘간 실제거리가 정확히 산출되도록 한다. 해당 O2O 서비스 플랫폼은 정확한 위치 파악을 통해 쿠폰이나 할인혜택 같은 상점정보, 박물관 전시물 정보, 교통정보 등을 적시적소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비콘 거리 측정실험은 비콘 측위의 특징인 실내 공간을 가정하고 수행되었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저비용, 수동형 실내 위치추적 시스템 (Passive and Cost Effective People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Ubiquitous Healthcare)

  • 정완영;;임효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119-1123
    • /
    • 2006
  • 유비 쿼터스 헬스케어용 초음파와 RF 기술을 이용한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현하고 테스트하였다. 개발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은 헬스케어를 위한 홈네트워크 장치의 하나로서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이동성과 활동성을 측정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개발되었다. 천장에 설치된 비컨들은 RF신호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listener에게 전송하게 되며, listener는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여 3개의 비컨들로부터 얻어진 좌표 값을 계산하여 실내에서의 사람이나 물체의 위치 측정뿐만 아니라 환자의 활동성측정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에 대한 보안이 가능하도록 수동형식의 위치인식시스템을 구현하고 비용절감을 위해 센서노드 사이의 연결이 무선으로 되도록 ad-hoc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생명정보인프라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of Bioinformatics Infrastructure)

  • 안부영;이상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
    • /
    • 2007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CCBB(Center for Computational Biology & Bioinformatics) 웹사이트에서는 IT 기반의 생명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생명정보 콘텐트(DB, 분석도구) 21종을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국내 생명정보 연구개발 지원 및 인프라 조성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CCBB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되어 있지 않아 CCBB에서 구축하고 개발된 생명정보 콘텐트가 활발히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이용자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생명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분석도구 이용에 관한 내용과 생명과학 연구학술정보 네트워크(BioInfoNet)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정리 분석한 후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분석도구 등 생명정보 인프라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 PDF

Activities and Planning for KRS Coordinates Maintenance

  • Kang, Hee Won;Cho, Sunglyong;Kim, Heesung;Yun, Youngsun;Lee, ByungSeok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4호
    • /
    • pp.327-332
    • /
    • 2022
  • The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 is the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under development in Korea. KASS navigation service support navigation Safety of Life (SoL) service. KASS signal provides corrections to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ata received from KASS Reference Stations (KRS) and is broadcast form Geostationary Earth Orbiting (GEO) satellites to KASS users and is used by GPS/SBAS user equipment to improve the accuracy, availability, continuity and integrity of the navigation solution. Seven KRS's collect the satellite data and send them to the KASS Processing Stations (KPS) for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s and the monitoring the integrity. For performing its computation the KPS needs to know accurate and reliable KRS antennas coordinates. These coordinates are provided as configuration parameters to the KPS. This means that the reference frame in which the KPS work is the one represented by the set of coordinates provided as input. Therefore, the activity to maintain the accuracy of the KRS antenna coordinates is necessary, knowing that coordinates can evolve due to earth plates movements or earthquake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geodetic survey results for KRS antenna coordinates from Site Acceptance Test (SAT) #1 in December 2020 to August 2022.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se activities and planning for KRS coordinates maintenance will be produced and provided to KASS system operators for KPS configuration updates during the KASS lifetime of 15 years. Through these maintenance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monitoring and analysis of unpredictable events such as earthquakes and seism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주거지 인프라로서의 청소년문화의집 현황 및 이용실태 - 대전광역시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 (Actual Condition and Utilization of the Youth Culture Center as the Residential Infrastructure - Focused on the Youth Culture Center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 박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55-63
    • /
    • 2016
  •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youth culture cen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youth centers operated in Daejeon and how they have been used. Four youth centers in Daejeon were visi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80 people using the centers. Frequency, Mean, and ${\chi}^2$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and major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There were 6 youth culture centers in Daejeon and showed a lower construction rate of 7.4% on the basis of 81 up, myun and dong. Most youth centers were small, around $300-500m^2$ in total floor area, and accommodated 100-200 people, and the space comprised multipurpose hall, cafeteria, open space, club space, multimedia space, information service room, and guide booth. There were no sports spaces among the target facilities. So, it has created the need for physical activity space to promote health & development. Most users visited centers with their friends and simply to use the facilitie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was relatively high at 4.32.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activate the youth culture. Also, for the role of youth culture center, it was suggested that the youth culture center should develop program which corresponds with the level of the youth and boast the interest of the youth.

실시간 무선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s)

  • 성해경;이문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6호
    • /
    • pp.93-102
    • /
    • 2010
  • 기존의 웹 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실시간 정보제공과 응급상황에 대한 원격 지원 조치가 어렵다는 문제점들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통신기기(휴대폰, PDA, Smart Phone, Webpad)를 이용하여 원격시스템을 관리 및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실시간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원격지 예를 들어 '사무 빌딩'과 보육시설 예를 들면 '유치원'에 적용하였다. 사무 빌딩에 구현한 경우는 유선(웹 환경) 또는 무선(모바일 장비)을 통해서 건물관리 및 시스템 환경에 설치된 각종 센서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와 제어할 수 있다. 유치원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는 유치원 아동의 활동을 인증된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제안한 시스템의 보안기능은 모바일장비 사용자 인증과 대상 시스템 접근제어 기능을 갖는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시간 사용자 인증 기능과 시스템 접근제어기능을 실행하도록 하여 자원관리자와 모바일 장비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중단 없는 서비스의 제공뿐만 아니라 실시간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대학 교육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 및 도입 전략에 대한 연구: 단계별 메타버스 도입 프레임워크 개발을 바탕으로 (A Study on Metaverse Utilization and Introduction Strategies in College Education: Based on Step-by-step Metaverse Introduction Framework)

  • 손영진;박민정;채상미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1호
    • /
    • pp.1-29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는 전 산업에 걸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하였고 교육 분야에서도 IT 기술과 교육 서비스가 융합된 에듀테크(Edutech)가 확산되며 대학 교육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강의는 오프라인 학습의 병행 또는 보조적 수단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확산된 비대면 온라인 동영상 수업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부재, 학습자의 학업 이해도 저하 등의 한계를 보였고 대안으로 실시간 온라인 강의가 병행되었으나 상호작용 한계를 해결하지 못하고 기존 온라인 교육의 장점인 시공간 제한 없는 학습마저 없애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대학내 활동 참여 기회 감소에 따른 경험 부재로 인한 사회화 능력 감소가 우려되나 Zoom 과 같은 2차원 디지털 환경의 웹 회의 플랫폼을 사용한 온라인 활동은 학생들의 사회활동에 충분히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사용하는 3차원으로 구성되는 가상세계이나 상호작용, 사회적, 경제적 활동과 같은 실생활을 구현한 기술적 특징을 가져 온라인 교육의 한계 및 의사소통 한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공간, 비교과 활동 지원 플랫폼으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메타버스를 이용한 대학 교육의 실제 적용을 위해 도입 전략의 마련이 필요한 시점으로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메타버스의 개념, 특징, 서비스 유형 등 메타버스와 관련된 전반적인 선행연구와 메타버스 적용사례를 고찰하고 둘째, 기술수명주기 모델과 혁신 기술 확산 이론을 바탕으로 한 메타버스 도입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단계적 도입 전략 및 주 사용층에 따른 특화된 도입 방안을 수립하여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신기술 도입의 이론적 배경, 메타버스 연구의 확산 뿐 아니라 효율적 도입 전략 형성과 연계 서비스 모델 기초 제공, 대학의 부가가치 창출 전략을 제공할 수 있는 실무적 기반을 제시한다.

노인의 가족결속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amily Cohesion on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Elderly)

  • 정명희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51-6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가정 만족도, 종교 사회활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인들이 가정을 이용하는데 가족결속력과 자기 조절능력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자기 조절능력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여가 사회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용 중요 전체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후에 노인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요인들로서 활동가능하다.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활동의 범위를 세분화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의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현실에서 노인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와의 가족결속력에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와의 진실한 대화를 통한 유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노부모와 자녀들 간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상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이 생각하는 생활만족,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에만 치우쳐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예상되나 노부모와 자녀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특성을 각각 파악하고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과 자녀가 느끼는 노부모와의 결속에 어떤 일치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가족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녀의 노부모 부담 및 돌봄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 정책제안이 필요하다. 즉, 노인을 돌보는 자녀들에 대한 지원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들이 언제든 자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구의 직영 요양시설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한 거주지의 주소지 소속에 대한 혜택을 전국 어디서든지 자녀들의 주소지의 요양시설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국가가 책임지고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의 표집대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7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경로대학에 출석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둘째, 설문조사과정에 있어서 응답자의 개인변인 등을 고려하여할 때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