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oil cav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지하공동 및 지반함몰 발생에 대해 세립분 함량이 미치는 영향의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ine Contents on the Formation of Underground Cavities and Ground Cave-ins by Damaged Sewer Pipes)

  • 곽태영;이승환;정충기;백성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1호
    • /
    • pp.93-10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매립토의 세립분 함량이 파손된 하수관으로 인해 유발되는 지하 공동 및 지반함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국내 강우 조건 및 지반 조건을 모사하였으며, 서로 다른 세 가지 세립분 함량(7.5%, 15%, 25%)을 적용해 지반함몰 모사시험을 수행했다. 모형지반을 조성한 뒤 하수관 손상부를 모사한 부분을 통해 지하수를 유입하고 배출시키는 과정을 두 차례 반복하며, 지표면 침하량 및 배토량을 측정했다. 또한 모형시험 중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PIV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내부 변위 및 변형(지하 공동 형성 과정)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지하수 유입 및 배출 단계가 반복됨에 따라, 세립분 함량이 높을수록 배토량이 적고 지하 공동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표면 붕괴로 확인되는 지반함몰은 세립분 함량이 15%인 경우에만 발생했다. 이는 배토된 흙의 세립분 함량 변화를 통해 서퓨전(suffusion)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어, 세립분 함량이 서퓨전 현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지반 강도 변화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제주도 한림 재암천굴과 도로 교차구간의 CaveBIM 구축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f Caves (CaveBIM) in Jeju Island at a Specific Site below a Road at Jaeamcheon Lava Tube and at a Broader Scale for Hallim Town)

  • 안준상;김우람;백용;김진환;이종현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449-466
    • /
    • 2022
  • 지하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지중구조물, 지반, 암반 등 다양한 구성 요소 중에 지질공학적 측면을 포함한 모든 정보에 대한 모델 구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과정이며, 현재 진행형인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공학적인 정보모델 구축 과정이 비교적 쉬운 상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제주도 일부 지역 대상의 3차원 지질정보모델, 동굴형상정보모델, 도로 주변 현황 정보모델까지 한 번에 디지털화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제주도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연동굴 중에 도로와 교차하는 위치 중 제주도 한림 재암천굴을 대상으로 CaveBIM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3D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한 동굴 형상 정보모델링, 지질 정보 및 지구물리탐사 자료를 활용한 3D 지질 모델링, 드론을 활용한 재암천굴 상부 도로 주변 현황 정보모델링 등의 개별 데이터 구축과 통합을 통해서 디지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림-제주 지역에 대한 전역모델(GSM) 및 재암천굴에 대한 국부모델(LSM)을 구축하였다. 또한 재암천굴에 대한 LSM 구축 시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우로굴 주변의 지질과 지형경관 (A Study on Landforms related to Geology in the vicinity of Uro Cave)

  • 김주환
    • 동굴
    • /
    • 제62호
    • /
    • pp.1-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로굴의 발달과정과 지형적 특성과의 관계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 지역의 산계는 북서부, 중부, 남동부로 지역구분이 가능하다. 수계는 3차수 하천이 발달하였으며, 분기율은 7.0과 4.0이다. 하계망의 발달이 유리하지않은 지역이며 따라서 하계밀도도 주변지역보다 낮다. 지질은 퇴적암류, 변성암류, 화성암류가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다. 토양의 분포는 구릉지와 산악지에 분포하는 암쇄도 및 적황색토, 구릉지와 산록지에는 석회암이 잔재된 적황색색토 또는 암쇄토가 발달되어 있다.

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지하공동 및 지반함몰 발생에 대한 하수관 매립심도 영향의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Assessment for the Effect of Burial Depth on the Formation of Underground Cavities and Ground Cave-ins by Damaged Sewer Pipes)

  • 곽태영;정충기;김준영;이민호;우상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1호
    • /
    • pp.37-4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매립심도가 손상 하수관으로 인해 형성되는 지하 공동 및 지반함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심도로 지반을 조성하여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시험 중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였으며, PIV 기법을 적용하여 내부 변위 및 변형을 측정하였다. 이와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지반 침하, 지하 공동의 크기 등에 대한 분석도 함께 진행하여 거동을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매립심도가 낮은 경우의 지반에서 매립심도가 높은 경우에 비해 지하 공동 및 지반함몰 형성에 대한 저항성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굴을 이용한 새우젓의 숙성 (Aging of Fermented shrimp in underground cave)

  • 이은현;이은미;장규섭;장해동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32-137
    • /
    • 1997
  • 1. 토굴에서 숙성시킨 새우젓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방법 2에 의해 제조된 저식염 새우젓이 고식염 새우젓보다 초기 pH에 차이가 있을 뿐 pH변화의 경향은 거의 비슷하였고 일반성분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미노태질소는 방법 1의 경우 1개월 후에 크게 증가한 다음에 일정한 값을 보여주었고, 방법 2의 경우 염도의 차이는 아미노태질소의 형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염도 새우젓의 경우 토굴보다는 상온에서 아미노태질소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3. 총휘발성질소는 숙성기간이 걸어짐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어류의 신선도를 반비례적으로 나타내는 TMA는 방법 1의 경우 3개월후 부터 측정되었으며 숙성기간 4개월에 4.42mg/100g을 나타내었다 방법 2의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염도 보다는 저염도 새우젓이, 토굴보다는 상옹에서 숙성시킨 새우젓의 TMA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4. TBA 값의 경우에는 방법 1의 새우젓은 숙성기간 3개월에 이르러 최대값을 보이고 다시 감소하였다. 그러나 방법 2에 의해 제조된 새우젓은 방법 1과 비교해 볼 때 초기값이 클 뿐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고추가루의 유지산패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 PDF

중진지역 건축물의 묻힌온통기초에 작용하는 토압과 말 뚝변위에 대한 지진해석 (Seismic Analyses of Soil Pressure against Embedded Mat Foundation and Pile Displacements for a Building in Moderate Seismic Area)

  • 김용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9-76
    • /
    • 2017
  • Seismic analyses of a pile under a large rigid basement foundation embedded in the homogeneous soil layer were performed practically by a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assuming a sinusoidal wave form. However, it is hard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 large mat foundation and a heterogeneous soil layer with the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The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is relevant to the 2D problems for longitudinal structures such as tunnel, underground cave structure, etc., but might not be relevant with isolated founda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this study, seismic pile analysis by a pseudo 3D finite element method was carried out to compare numerical results with results of the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considering 3D characteristics of a foundation-soil system which is important for the building foundation analyses. Study results show that seismic analyses results of a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are similar to those of a pseudo 3D numerical method for stiff and dense soil layers, but they are too conservative for a soft soil layer inducing large soil pressures on the foundation wall and large pile displacements due to ignored foundation rigidity and resistance.

영상사진을 이용한 지반공학적인 선구조분석 연구 (A Study on Geotechnical Lineament Analysis by Image Processing Method)

  • 이수곤;금동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93-600
    • /
    • 2000
  • Most of ground investigations can be grasped geological distribution which like rock name, geological structure, soil condition, underwater condition, land slide, ground cave-in, ground collapse by geological survey. But geological survey is limited to part region geological structure, not wide region. Therefore, Image Processing Method must need to grasp wide region geological structur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analysis data of geotechnical engineering in first step investigation.

  • PDF

단양 석회암지역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in Tanyang Limestone Area)

  • 김병우;오영주;김수미
    • 동굴
    • /
    • 제56권
    • /
    • pp.15-38
    • /
    • 1998
  • Biomass and soil properties of plant communites was investigated in the limestone ares, Tanyang, Ch'ungbuk Province in Korea. Plants was classified in calcicoles and calcifuges within plant communities occurring in the limestone area. Biomass of plant populatins in the limestone area was measured that Stellaria aquatica was the lowest(0.58g/plant), Chrysanthemum boreale was the highest(8.87g/plant) and that Pennisetum alopecuroides, Miscanthus sinensis was 6.67g/plant, 5.76g/plant, respectively. Diameter of breast height among the tree layer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that Pinus densiflora was the widest(20cm), Juniperus rigida was the narrowest(6cm) and that Quercus aliena, Populus ${\times}$ tomentiglandulosa was 10cm, 12cm, respectively. The high of density in the tree layer was found out Populus ${\times}$ tomentiglandulosa, Juniperus rigida, Quercus aliena, Pinus densiflora in this order.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Juniperus rigida, Quercus dentata in the tree layer, Lespedeza bicolor, Buxus microphylla, Rhus chinensis in the shrub layer, Humulus Japonicus, Erigeron canadensis, Xanthium strumarium, Oenothera odorata Persicaria hypropiper on the riverside, Pennisetum alopecuroides, Vicia amoena, Chrysanthemum boreale on the roadside. Soil properties of the limestone area was investigated around the protrusion of rock in the upper region, around the cave and underlayer accumulated by corrosion in the study area. Lime-chlorosis was observed in the upper region, underlayer and around the cave. It was observed that biota of kum-gul and dungbong-gul was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Epanerchodus kimi, Antrokoreana gracilipes, Diestrammena japonical. Dominant species were Humulus japonicus, Stellaria aquatica, Hydrocotyle maritima,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inensis around the inlet of a kum-gul. It was classified that plants in the study area was 34 order, 53 family, 135 species in all. Calcicoles were 11 order, 16 family, 18 species and calcufuges were 6 order, 8 family, 11 species of them all.

  • PDF

심도별 토량환산계수와 토공량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thwork Volumes and Soil Conversion Factor with Depth)

  • 강기천;신경철;윤성규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3호
    • /
    • pp.137-144
    • /
    • 2023
  • 토공계획은 자연상태의 원지반 토량을 절취하여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을 운반하고 성토지반의 활용도에 따라 다짐을 하는 과정에서 토질의 체적변화를 고려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흙의 상태에 따른 체적의 변화를 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심도 2m 깊이에서 시험굴 조사를 통해 얻어진 토량환산계수를 사용하게 되며, 굴착 깊이에 따른 토질의 성질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토공량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다 보니 토공량 산정에 오차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신도시 택지개발과 같이 대량의 토공량이 필요한 조성공사의 경우 작은 오차에도 토공량의 차이는 크게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도 2m이상 토질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존의 설계기준인 심도 2m의 토량환산계수와 비교 검토한 결과 굴착 심도가 깊고 대규모 토공사의 경우 심도별 토량환산계수(C)를 적용할 경우 절토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절취사면의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alysis of Cut Slope in Gyeongnam Region)

  • 박진규;박춘식;장정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62-869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233 cut slopes in Gyeongnam region; evaluated hazards and slope conditions involved in the slope; and determined the priority order for reinforcement.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The slopes that need reinforcement or maintenance are 153, accounting for 65.6% of the entire slopes. Slopes with a length of $0{\sim}200m$ account for 70.9%; slopes with a height of $10{\sim}20m$ account for over 50%. (2) Slopes with slope of more than 1:0.5 account for 70.9% of the entire slopes. The steepness of the slope is owing to more rock slopes than soil slopes. (3) The percentages of rock slopes, soil slopes, complex slopes mixed with rocks and soil, and slopes comprised of igneous rocks are 54.4%, 24.9%, 20.7%, and 54.1%, respectively. (4) In the rock area occurred cave-in, plain failure, wedge failure, and overturning failure, in order. Slopes with volcanic rocks are the most unstable, while sedimentary rocks and metamorphic rocks are relatively stable. (5) When the slope height is over 20m, low grade slopes are more than 80%;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higher the slope height is, the more unstable the slope 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