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elated Laws for Support Polic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실내디자인분야 관련법의 현황과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Issues and System Improvements of Interior Design-Related Law in Korea)

  • 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11-221
    • /
    • 2013
  •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omestic 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field-related laws, it was found that 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is not recognized as in independent area due to weak classification standards by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job classification.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applied as a standard setting limits to applicable targets and industrial fields for laws related to general administration and industrial policy other than various statistic purposes. Also,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s regarding the industry field determines the laws or applicable tax rates, government support and such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thus is very important. Moreover, interior architecture field is largely different from general architecture due to specialization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but due to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architecture industry regulations, it is considered the proper assessment for the professionalism is not conducted. Also, interior architecture field has irrational contradictions that is not independent with a clear definition and industry field classification not only in legal system and trade customs. Therefore, The following is proposed as the plan to strengthen the domestic/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ystem improvements for interior architecture. (1)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must be amended as an industrial classification that can coexist with architecture. (2)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must be amended as a job classification that can coexist with architecture. (3)Among the design tasks of an architect, approval for the design task field of interior architecture field must be legislated. -In architect design standard contract (the existing architecture design task scope and quality standard table) of a structure, among the tasks by request of the owner, (1)interior design tasks shall be legislated. It should be legislated so that interior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majors can be included as well. (4)The task field of interior design that coexists with design must be amended. (5)National contract law - among contract method by negotiation, specialty item must be vitalized.

연구장비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levant Legislative System for Activating Research Equipment Industry)

  • 백운일;한갑운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46
    • /
    • 2020
  • 해외 선진국은 연구장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장비 산업 활성화를 위해 많은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연구장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나 관련 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법률이 없다. 따라서 연구장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입법이 시급하다. 연구장비산업의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구장비산업 활성화 특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바와 같이 연구장비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진흥정책이 개발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에 필요한 사항을 명시해야 한다. 연구장비 산업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법에 명시해야 할 필수항목이 세 가지다. 첫째는 연구개발 지원, 둘째는 인프라 개발, 셋째는 비즈니스 육성이다. 각 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우선 '연구개발 지원'에는 연구개발사업 추진 및 지원 정책항목, 연구장비 개발동향 및 투자동향, 산학관 공동연구, 융·복합·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인프라 개발' 포함될 항목에는 연구장비 클러스터 구축, 관련 지원항목, 전문인력 양성, 연구장비개발기반지역 및 기관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업 육성'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은 우수기업 육성 지원사항(우선구매제도 등), 기술이전 및 마케팅 관련 사항, 지식재산 보호에 관한 사항, 해외진출 촉진에 관한 사항 등이다.

농업생산기반시설 경관형성에 관련된 제도, 심의 및 정책 여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overnment Act, Deliberation, and Policy related with Landscape 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 김영태;조동범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67-75
    • /
    • 2019
  •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to support improving food production, farm income, and reduction of farming time have remarkable achievements as value-neutral devices or infrastructures, but recently they are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hinders landscape by changing the contextual values of rural area. Despite this timelessness, research on the landscape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has not been conducted until now. Based on these research necessiti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landscape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by analyzing the impact of activities, policies, pl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the related data were carried out. This present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why landscape review is difficult in the process of reviewing plans a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landscape laws, deliberations, and plans.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plan has formed a functionally oriented closed network, and the government policy does not properly control the landscape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lack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and landscape.

북한의 자연환경 관리와 생태공학 관련 법령 체제 분석 (Analysis of Legal System Related to Management of Natural Environments and Ecological Engineering in North Korea)

  • 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1호
    • /
    • pp.49-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생태계와 국토 관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적 체계를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자연환경과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북한의 법령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북한의 헌법에서 환경권은 자연환경 보전의 측면이 강조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자연환경과 국토 관리에 대한 법령은 비교적 통합적으로 제정되어 있었다. 자연환경 관리에서 자연보호지역 설정을 중심으로 생태계 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관리에서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우선순위가 강조되고 있다. 북한의 자연환경과 국토 관리에 대한 선진적인 법 체제 구축과 법 집행의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경제적, 기술적 지원이 요청된다.

정책 패러다임 관점에서 살펴본 창업정책 변화 (Entrepreneurship Policy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Paradigm)

  • 김만수;강재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3호
    • /
    • pp.43-58
    • /
    • 2021
  • 본 연구는 역대 정부 창업정책을 Hall(1993)의 정책 패러다임(Policy Paradigm)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총 195건의 신문기사와 202건의 정부 문서를 살펴보고, 각 정부 별 정책목표, 정책수단, 그리고 정책수단의 수준변화 분석을 통해 정책 패러다임 변동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패러다임 구축 시기는 제5·6공화국으로 1986년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정과 함께 제조업 중심의 창업 촉진 및 성장·발전 지원이라는 목표 설정으로 창업정책 패러다임이 처음 구축된 시기이다. 다음은 국민의 정부시기로 IMF 외환위기 대응을 위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정으로 벤처기업 창업 촉진과 육성이라는 새로운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였다. 마지막 패러다임 변화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시기에 이루어졌다.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전부개정을 통해 창업 개념 확장, 신산업·기술창업 지원 및 집중 육성을 도모하였으며, 벤처투자관련 법을 일원화하고 정비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청을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시켜, 창업정책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최근 창업정책 이슈인 창업기업의 낮은 생존율과 민간투자 활성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새로운 창업정책 패러다임 변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가족부양 쟁점에 관한 일고찰: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on Family Support, Social Security, and its Direction: Focusing on Old Parents and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143-164
    • /
    • 2005
  • 본 연구는 가족복지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요한 의제가 되고 있는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제반 부양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이혼율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사적 부양과 공적 부양간 영역 및 경계, 부양관계, 부양의무자 역할 등에 대한 쟁점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양 부양체계의 범위와 역할은 물론 가족부양의 성격, 방법, 기간, 성립요건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 현행 가족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로 고려해볼 때 가족을 통한 부양보다는 사회적 부양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족부양 및 사회부양에 대한 내용을 규율하는 현행 민법과 사회복지법은 여전히 가족부양의 정책기조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으며 사적-공적 부양체계 간 관계정립이나 부양방식에 대한 미흡한 규정으로 많은 논란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구성원의 기본적인 생활안정과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법의 취지에도 불구하고 부양과 관련하여 사회보험법은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가족부양 원칙을, 공공부조법은 강한 가족부양의무를 부과하는 이중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와 경제불안의 일상적 위협 속에서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부양에 대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HSR)활동의 IPA 평가 (IPA Assessment of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 조경원;사공미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5
    • /
    • 2018
  • Objectives: We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HS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and presented strategies for HSR activities. Methods: An online HSR questionnaire was sent to hospitals nationwide from October 12 to 26, 2018. The 206 responses received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IPA to assess th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HSR.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ployees and hospital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HSR activities. In the area of "sustained maintenance", items related to consumer issues such as "compliance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policy", "patient confidentiality", "fair information provision", and "system for patient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were derived. In the area of "'high priority for improvement", there were three common items between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regular donations and support from local communities", "active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compliance with process-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the area of "low priority", four items were derived: "support for employe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efforts to hire local residents",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local communities", and "transparent support for political activities". In the area of "sublation of excessive efforts", two items of "employee welfare efforts" and "efforts to improve labor relations", were commonly found in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hospitals by the systematic allocation of manpower and resourc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our regional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IPA analysis.

전시디자인 산업의 발주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Institutional order of the Exhibition Design Industry)

  • 지환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136-143
    • /
    • 2015
  • At this present, the world is in the era of digital and culture.Tourist resources through cultural infrastructure have been a crucial factor of a country's competitiveness. A Museum is tourism resource facility like one of core cultural infrastructures which provides experiential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 The field of a planning and a design for a museum should be recognized like professional design industry.n Korea, the government has various laws and systems to support the design promotion policy but it is not sufficient. If you plan to extend the scope of the maintenance of law and institutions As today 'Exhibi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which is responsible for maintenance, including a permanent exhibition area in the exhibition industry facilities will be efficient alternative. And also, it would like to analyze states of the orders in the exhibition design industry for past five years (2010 ~ 2014) and show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Exhibition business-related orders investigation into the recent five years to analyze and suggest improvements. In the delivery method it was found three types of goods, the services, the delivery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nforcement order to the Corporation and that are mixed.If these alternatives has been reviewed and used for basic data to promote professional companies and designers for museums, it must be expected to be well worth a careful study.

미국의 쉬운 언어정책의 제도화와 한국에의 시사점 (A Plain Language Policy Institutionalized in the U.S. and Implications for Korea)

  • 김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42-251
    • /
    • 2015
  • 본 연구는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의 제도화 과정에서의 법령과 추진체계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한국의 쉬운 공공언어 프로젝트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이 제도로 정착되기까지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의 지속적인 관심과 연방기관들의 솔선수범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집행에 있어서 시대별로 마련된 법령들은 연방기관들의 의무적 준수를 끌어낼 수 있도록 기여했다. 셋째, 쉬운 언어 정책의 추진주체는 PLAIN(Plain Language Action and Information Network, 쉬운 언어 활동 정보 네트워크)이라는 행정부처가 아닌 연방공무원과 전문가로 이뤄진 커뮤니티이다. 넷째, 쉬운 언어정책은 공교롭게도 개혁성향의 민주당 출신 대통령들과 행정부로부터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을 받았다. 다섯째, 2000년대 이후 대부분의 연방부처와 기관들은 쉬운 언어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자체적으로 쉬운 언어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행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은 국민과 정부 간 명실상부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이자 신뢰사다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부모역할 지원정책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ilot Study for Developing Parenting-Aid Policies)

  • 송혜림;박정윤;이완정;성미애;서지원;진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1-108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parenting-aid policies by analyzing information from life perspectives, family system theory, and integrated family policy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literature using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internet sites, laws, published material related to current parenting-aid policies. Based on analyses we formulated four agendas: empowering parent competency, supporting diverse family parenting, guaranteeing parent's rights, and supporting parenting of dual-income families paren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ly, for empowering parent competency,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family relationship empowerment programs including family life cycle and children-raising support services. Secondly, for diverse family parenting, we proposed access to integrated parenting-aid programs dependent on family types. Thirdly, for guaranteeing parent’s rights, we proposed the supporting of child raising costs and tax returns to families with children, and provide child allowances. Finally, for dual-income family parenting, we proposed that schools and communities must recognize that dual-income families are a universal family type, establish family friendly business culture, and to develop a more democratic domestic family-relationship. This policy proposed a new paradigm where parents must be recognized as partners and stakeholder in development of family related policies. Ultimately, such policies will contribute to increased birth rate and development of a more respectfu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