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edical staff

검색결과 917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병원 의사의 진료비심사기준 준수행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Medical Fee Review Standards Observance Behavior of a Tertiary Care Hospital Medical Staffs)

  • 윤경일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4
    • /
    • 2007
  • The medical fee reimbursement denied by HIRA(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amounted to about 1.2% of the total medical fee claim to HIRA for reimbursement. Most of the denials stem from the inappropriate prescriptions of medical staff violating the medical fee review standards issued by HIRA.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mpacts of the standards observance behavior on the hospitals' financial viability, we attempted to analyze the predisposition factors of medical staffs' review standards observance behavior. The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adopt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rating a survey on the concepts included in TPB model to the 187 medical staff of a tertiary care hospital. Of the 187 questionaries distributed, 150 were responded resulting 80.2% of response rate. The mean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age group, years of experience, medical specialty and gender were analysis using ANOVA.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PB concepts were analysed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method. The TPB model consists of three exogenous concepts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wo endogenous concepts (intention and the behavior). The results of ANOVA indicat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the medical staff's age, years of experience, and medical specialty. The older and the more experienced had the higher mean of observance behavior scor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showed that th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intention, but the influence of attitude to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s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on behavior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

의료정보 접근을 위한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Dynamic Situation Authentication System for Accessing Medical Information)

  • 함규성;서원정;정호일;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1-40
    • /
    • 2018
  •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 IoT 기술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적인 u-헬스케어 환경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에서는 응급 처치나 치료를 목적으로 의료진에게 환자의 의료정보를 접근할 권한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의료진이 담당하는 환자의 생체정보 및 개인 의료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신뢰적이고 신속한 인증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시스템 환경에서는 의료진의 ID/PWD만을 이용하는 단순하고 정적인 사용자 인증기법으로 의료정보시스템을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가 응급상태조건을 고려한 다양한 인증 요소를 포함한 의료정보접근의 투명성을 제공하는 동적상황인증기법과 이를 지원하는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동적상황인증은 사용자 인증과 이동 단말기 인증을 결합한 인증으로, 기존의 사용자 인증 뿐 아니라 의료진이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인증을 위해 환자의 응급상태, 의료진의 역할, 근무시간, 근무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인증요소 속성들을 사용하였다. 우리는 응급상태판별, 동적상황인증, 인증지원 DB 구축을 포함한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의 서비스 수행성 검증을 위해, 의료진으로 하여금 동적상황인증과정과 그 이후 담당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접근 허가와 함께 의료정보서버로부터 의료진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내려 받아 실행함으로써 의료정보의 인증 및 접근과정을 보였다.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방안 (Enhancing the Client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 김유호;이주호;류상일;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33-240
    • /
    • 2009
  • 본 연구는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병원행정 서비스를 행정직원 서비스, 의료직원 서비스, 시설 서비스, 제도적 서비스로 구분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행정직원 서비스 부문에서는 고객에 대한 진료비 내역의 자세한 설명, 환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신속한 업무처리와 부서간의 원활한 업무협조가 요구된다. 둘째, 의료직원 서 비스 부문에서는 진료 예약 시간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 진료 절차의 단순화와 외래 진료 개시 및 퇴원 수속 완료 시각을 조기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 서비스 부문에서는 고객을 위한 편의 시설과 휴식공간의 마련, 주차시설의 확충 및 식단 개편 등이 요구된다. 넷째, 제도적 서비스 부문에서는 진료수가의 정확한 공개 및 서비스 효율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효율적인 수액 모니터링 단말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ffective Fluid Monitoring Terminal design with the Use of location-based service)

  • 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21-426
    • /
    • 2016
  • 수액은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특정 주사를 일정 시간동안 주입하기위해 사용되어진다. 환자나 보호자는 수액의 투입종료 시점을 예상하여 의료진을 호출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고, 취침시간 등 특정 시간에 수액투여가 종료될 경우 환자나 보호자에게 더 많은 피로를 줄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수액의 투입종료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몇 번이고 현장에 찾아가 수액의 양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 수고로움으로 업무의 비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액의 수위를 감시하는 최소한의 장비와 능동형 RFID를 결합한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고, 환자별 수액의 양과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여 환자나 보호자 또는 의료인(간호사)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액 투여가 마무리될 시점에 의료진이 환자의 위치로 찾아가는 서비스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입원환자가 지각하는 안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patients‘ Perception of Comfort)

  • 김금순;강지연;서현미;송경애;원종순;정인숙;정혜경;김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46-356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a Q-methodological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mfort in hospital in-pati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37-item Q sort made up of statements which could be rank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subjective meaning of comfort. Three interpretable types of comfort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Q study : Type I, positive medical action style, feel secure and satisfied when medical staff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m as patients. They put a high value on prompt responses from medical staff and physical aspects of care like non-invasive procedures or comfortable position. Type II, social relation style, experience a state of comfort when they perceive support or concern from medical staff, relatives or other patients suffering from similar diseases. They feel safe and secure when medical staff are kind and have a good reputation or when the size of the hospital is big enough, Type III, emotional wellbeing style, feel that hope for a healthy life or maintaining self-care activities are highly valuable. They feel safe and comfortable when their privacy is protected. They put worth on independent thinking, strong will, and emotional or psychological comf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to develop nursing measures for comfort. Further studies on factors which influence perception of comfor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above types of comfort need to be done.

  • PDF

드라마 <태양의 후예>를 통해 본 의료인의 역할 (The Role of the Medical Person in the Drama )

  • 김두리;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45-35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태양의 후예' 중 의료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의료인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설계는 드라마 '태양의 후예' 중 의료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의료인의 역할을 탐구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태양의 후예' 중 의료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장면을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선택하여 의료현장에서 의료진의 의사소통 및 역할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본 연구팀에서는 태양의 후예를 보며 의료현장 장면을 필사하였으며, 필사가 끝난 후 필사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하여 빠진 내용이 없는지 검토한 후 최종 분석자료를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 '태양의 후예' 에서 의료진의 역할은 '응급상황에서의 의사결정', '의료팀간의 협력', '환자에 대한 지지', '의료인으로써의 책임감/윤리적 딜레마'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나의 드라마를 분석하여 의료진의 역할을 분석하였다는 것에 있어 한계가 있으나, 드라마를 통해 제 3자의 입장에서 의료진의 역할을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치과위생사의 의료관련법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ist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medical related laws)

  • 장윤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5-305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a reference base to establish foundation for education about dental hygienist-related medical law and introduction of the syste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a dental clinic/ hospital in Jeollado. Data were analysed through chi-square test,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knowledge on laws related to dental hygiene, attitude towards dental hygienist-related medical laws, level of understanding of medical related laws, and medical dispute educational hours. Results: The knowledge of dental hygienist-related medical law was high in dental hygienists aged 25 years and younger and with less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0.05). The attitude towards the law was low in age of younger than 25 years, a three year college degree, a job position as a staff member, more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at present work place, and less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0.05). Understanding of medical related laws was high in clinical staff members and with less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0.05). Educational needs for medical dispute prevention was high in a job position as a staff member, low level of attitude towards dental hygienist-related medical law, and no attainment of education on medical dispute (p<0.05).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at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bout laws related with dental hygiene practice are essential.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bureaucratic legal system to prevent dental malpractice.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응급의료센터 의료인의 태도와 인식 (Perception and Attitude of Emergency Medical Staff to Family Presence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구현정;유양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24-63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emergency medical staff by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while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and August in 2010 using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187 doctors and nurses who were working at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ted at eight hospitals. Results: Approximately half of the medical emergency staff had previous experience of having requests from a patient's family members to remain present at the time of performing CPR. Most of the subjects did not know that the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guideline recommended including willing family members' during CPR. Doctors were more likely than nurses to recognize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family members being present during CPR.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health professionals are not aware of the AHA guidelines for including family members during CPR of a patient and further that more doctors than nurses recognized the value of including willing family members during CPR.

암환자가족이 지각하는 수술대기중 불안과 불확실성 및 의료인의 지지 (Uncertainty, Medical Staff's Support, and Anxiety Perceived by Family Members with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Cancer)

  • 신선미;이은남;강지연
    • 종양간호연구
    • /
    • 제6권1호
    • /
    • pp.15-26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assess relationships among the uncertainty, medical staff's support, and anxiety perceived by family members with cancer patients while the family members were waiting for their patients undergoing surger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surgery in D University Hospital at B city from February 1 to April 12, 2005. The used instruments were the State Anxiety Scale of Spielberger's(1975) STAI,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1981), and Relationship Questionnaires (Lee, 197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s the resul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explaining anxiety of family members was uncertainty $({\ss}=0.37)$, followed by perceived illness state $({\ss}=-0.27)$. These two variables simultaneously explained 29.3% of the variance in anxiety. Conclusion: We suggest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uncertainty through the medical staff's support and o test its effects.

  • PDF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 (A Design of Service Improvement Model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 정윤수;김용태;박길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7-24
    • /
    • 2017
  • 최근 의료 분야에서는 증강 현실이 수술 및 의료 교육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응급 환자의 경우 의료 분야의 특성으로 인하여 증강 현실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의 IT 장치를 통해 응급 환자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지원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증간현실 기반의 IT 기기를 통해 단순히 응급 조치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이외에 응급 상황에 적절한 응급 조치 방법을 의료진에게 전달받아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제안 모델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반으로 응급 환자 신상 정보 조회, 응급 환자 상태 및 응급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계층적으로 수집한다. 수집된 정보들은 정보들 간의 애매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쌍대비교 행렬을 이용한다. 특히, 수집된 정보는 의료진이 있는 병원 서버에 저장되어 수집된 정보의 고유 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수집된 정보를 반영하여 의료진이 의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