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intellectual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1초

금영작(金永爵)과 한중 척독교류의 새 자료 『중조학사서한록(中朝學士書翰錄)』 (Kim Youngjak(金永爵) and the new material, 『A Collector of Correspondence from Chinese Intellectuals (中朝學士書翰錄)』)

  • 천금매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167-206
    • /
    • 2009
  • 본고는 금영작(金永爵)이 중국 문인들로부터 받은 편지를 모아놓은 척독집 "중조학사서한록(中朝學士書翰錄)"을 새로 발굴하고 소개한 글로, 정공수(程恭壽), 옹학함(翁學涵), 장병염(張丙炎), 소언한(少言翰)과 자렴함(子廉銜), 이문원(李文源) 등이 김영작에게 보낸 편지 10통, 조정황(趙廷璜)이 김영작의 아들 김홍집(金弘集)에게 보낸 편지 1통 및 시(詩) 5수가 수록되어 있다. 김영작은 많은 중국 문인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인 교유를 진행하였다. 그는 연행을 갔다 온 친구 홍양후(洪良厚)의 소개로 중국 문인 이백형(李伯衡), 수방울(帥方蔚)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30여 년간 간접적인 교유를 진행하였다. 1858년에는 동지사(冬至使)의 부사(副使)로 직접 북경에 가서 현지 중국 문사 섭명례(葉名澧), 장병염(張丙炎), 오곤전(吳昆田), 정공수(程恭壽), 조광(趙光) 등과 만나서 교유하고 귀국 후에도 지속적으로 척독교류를 진행하였다. 김영작은 학계에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한중 문화교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다. 김영작이 생면부지의 중국 문사 이백형(李伯衡)과 수방울(帥方蔚)에게 먼저 편지를 보내어 교유를 청하였고 상대방 역시 흔쾌히 답장을 보내면서 평생 편지로만 문학적, 개인적 교류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김영작이 조선의 명문가의 사대부로서 연행사(燕行使)의 부사(副使)라는 높은 신분으로 중국 현지의 문사들과 친밀하게 교유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한중 인사들의 마음이 열려있고 신뢰성과 친숙감이 전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홍대용을 비롯한 많은 선배 문인들의 교유의 전통이 있어 기초를 닦아놓았기에 가능했다. 이런 의미에서 19세기 후반 김영작과 중국 문사들의 교유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그 사실을 보여주는 척독집 "중조학사서한록(中朝學士書翰錄)"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중조학사서한록(中朝學士書翰錄)"만으로는 김영작과 중국 문사들이 주고받은(교류의) 내용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자료적 한계를 갖고 있는 점이다. 앞으로 중국 측에 교유 기록이 남아있는 자료들을 더욱 많이 발굴해낼 것을 기대할 뿐이다.

The Visit of Rabindranath Tagore and Dynamics of Nationalism in Colonial Vietnam

  • Chi P. Pham
    • 수완나부미
    • /
    • 제15권1호
    • /
    • pp.7-33
    • /
    • 2023
  • Numerous journalistic and literary writings about the Indian writer Rabindranath Tagore, the first Asian awardee of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1913), appeared in newspapers of colonial Vietnam. His stop-over in Saigon (Cochin China) in 1929 created political discussions in contemporary journalism and other publications. Tagore and his visit to Saigon inspired Vietnamese intellectuals and stirred diverse anti-colonial thought. This paper examines writings and images about Tagore in colonial Vietnamese journals and newspapers, reconstructing how intellectuals recalled and imagined him as they also engaged with anti-colonial thought, particularly anti-colonial modernity and anti-capitalism. Contextualizing the reception of Tagore in colonial projects of modernizing the Vietnamese colony, the paper argues that discussions inspired by Tagore's visit embody contemporary nationalist ideology.

Ali Bey Hüseyinzade and His Impact on National Thought in Turkey and the Caucasus

  • UZER, UMUT
    • Acta Via Serica
    • /
    • 제3권2호
    • /
    • pp.135-150
    • /
    • 2018
  • Ali Bey $H{\ddot{u}}seyinzade$ (1864-1940)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zerbaijani Turkish intellectuals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formulating Azerbaijani national identity around its Turkish, Islamic and territorial dimensions. His solution to the ambiguities of the identity crisis among the Turkic-Muslim people of Azerbaijan was Turkification, Islamization and Europeanization for the Turkic and Muslim peoples of the Caucasus and Ottoman Turkey. Ali Bey $H{\ddot{u}}seyinzade$ was an influential Azerbaijani Turkish intellectual who had a direct impact on Turkish nationalists in the late Ottoman Empire and early Republican Turkey. $H{\ddot{u}}seyinzade^{\prime}s$ formulation of the triple processes of Turkification, Islamization and Europeanization spread among the Azerbaijani and Ottoman Turkish intellectuals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deas of Ali Bey $H{\ddot{u}}seyinzade$, especially regarding nationality, religion and Westernism and their impact on intellectuals and policy makers in the Caucasus and Turkey. His physical odyssey from Tsarist Russia into the Ottoman Empire is indicative of his ideological proclivities and his subsequent influence on the Turkish-speaking peoples in the two major empires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조선조에서의 선진(先秦) 제자학(諸子學) 수용 양상 - 순자(荀子)에 대한 비판과 이해를 중심으로 - (The Aspect to Receive Pre-Chin Study of One Hundred Schools in Cho Sun Dynasty-Centered on the criticism and understanding of Hsün Tzu)

  • 윤무학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251-292
    • /
    • 2009
  • 본고에서는 한국사상사에 있어서 선진 제자학을 위상을 검토하고 아울러 순자사상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여말선초부터 18-19세기에 이르는 지식인들의 문집을 통하여 순자에 대한 이해양상과 시대별 흐름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삼국시대부터 고려 중엽까지는 지식인들이 선진 제자학 가운데 다른 학파나 사상가를 이단으로 간주하여 비판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여말선초 이래 "맹자"가 유가의 정통 경전으로 확립되면서부터 순자를 비롯한 선진 제가를 이단으로 간주하여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고려부터 선초에 이르는 지식인들의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으며, 다만 순자에 대한 이해의 심도가 점차 깊어짐을 알 수 있다. 성리학 전성기에 이르면 선초에 비해 순자에 대한 지식인들의 비판 강도가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을 엿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맹자의 성선설을 토대로 한 성리학적 세계관이 이미 확립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성악설을 비판하는 지식인들도 대체로 순자의 다른 사상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원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17세기에 이르면 순자를 법가로 귀결시키는 논의도 일부 보이지만, 주자학의 권위에 도전하거나 실학적 토대 위에서 제자학을 적극 수용하는 경향이 대세를 이루게 된다. 18세기에 이르면 순자에 대한 이해 범위가 보다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글자 고증에 있어서 순자의 원문 및 주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요컨대 조선조 지식인들의 순자 비판은 시종일관 그의 성악설에 근거하며 나아가 분서갱유를 주도한 이사(李斯) 등의 법가와 연계시키는 데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이를 제외한 순자의 기타 사상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수용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순자를 비판하고 있는 지식인들은 제자서를 쉽게 접하거나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학문태도를 지녔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Shifts of Masculine Domination in Vietnam: Examining Mixed and Hybrid Characteristics in Feminist Texts on Vietnamese Newspaper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 CAO Kim-Lan
    • 수완나부미
    • /
    • 제15권2호
    • /
    • pp.155-185
    • /
    • 2023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shifts of masculine domination, illuminating Vietnamese men and women's actual position in society through surveying the mixed and hybrid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the feminist tex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feminist writings of the two exceptionally male intellectuals Nguyễn Văn Vĩnh (1882-1936) and Phan Khôi (1887-1959). in order to implement these goal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popular phenomenon of ventriloquism among Vietnamese male intellectuals, whose dominant attitudes may still be unveiled in feminist texts. Secondly, the paper focuses on surveys of men's direct discourse in constructing the model of women's liberation. From these two contents, this paper answer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have Vietnamese men become feminists? What were the causes, purposes, and effects of this phenomenon? To look at the nature of Vietnamese feminism, this paper will show the shifts of masculine domination in Vietnam as another form of protecting men's privileges. All analyses in this study will ground discussion on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and conditions of Vietna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Literature as a Strange Body: Modernity, Literariness and Dislocation

  • Lee, Alex Taek-Gwang
    • 영어영문학
    • /
    • 제64권4호
    • /
    • pp.617-628
    • /
    • 2018
  •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intellectual scenes.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to the local context, literature as a genre has served as a field in which colonial and post-colonial intellectuals have attempted to win the accreditation of Western enlightenment.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crucial instrument of liberal arts and education in Korea.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 social movement in Korea since its incep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radical intellectuals and literary writers published essays and articles in literary journals. This status as a social movement is still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outset, Korean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n enlightenment project for cultural development. As such, Korean literature retains a political meaning of "literariness," which reshuffles the hierarchy of the sensible and creates novelty against given aesthetic regimes. As a result, in the process these regimes are thereby de-purified of their status as purely aesthetic movements; their perspectives thereby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discourses and practices outside the art world. This essay argues that as a genre, Korean literature always functions as "world literature" in Korean intellectual scenes.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의 한시 연구 (Research of Seokgok(石谷), Lee Gyu Jun(李圭晙)'s Chinese Poem)

  • 이준규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7-24
    • /
    • 2012
  • Research on Seokgok(石谷), Lee Gyu Jun(李圭晙, 1855~1923)'s thought and medicine was progressed from various angles. There is no research on Chinese poem(漢詩) accounting for the half of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Seokgoksango(石谷散稿)" yet. Hence, the article reviewed concerns on his life and what life he lived as a Confusion(儒家) writer through his Chinese poem. Should read "Seokgoksango", Seokgok's spiritual orientation and attitude to life were found to have its core in the Confusion(儒家的), especially ethical(道學的) aspect. Seokgok's Chinese poem materialized his spiritual composition more, able to access up to general emotional state, representing concerns and frustration of intellectuals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xiety consciousness(憂患)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 which traditional intellectuals implicated enough at the turbulent era of early modern time appeared strongly in his works. Also works seeking for devotion(歸依) toward the clean world(淸明世界) staring at the corrupt world losing the national sovereignty at the same time and the expansion(擴散) was able to be found many.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Seokgok lived was the period of changeover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called intersection between traditional era and modern times. His Chinese poem showed traditional intellectuals' anxiety, frustration, conflict, and hope based on such times. Along with the status of an Oriental, medical doctor and thinker, up to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a writer, the intensified research on him is expected.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학적 참여와 미디어 실천 (On Pierre Bourdieu's Sociological Engagement and Media Practices)

  • 이상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9권
    • /
    • pp.147-188
    • /
    • 2005
  • 이 논문의 목적은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가 보여준 '참여적 지식인‘으로서의 독특한 면모를 재조명하고 평가해보는 데 있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사회학적참여'의 개념과 방법에 대한 부르디외 나름의 입장을 설명하고, 그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부르디외가 프랑스 학계와 시민사회의 공론장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구사했던 일종의 대안미디어 전략들을 검토하였다. 부르디외의 '사회학적 참여' 논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특정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축적한 '특수한 지식인들'은 이른바 '보편적인 것'의 실현과 전파를 위해 서로 연대해야 하며, 그럼으로써 '집단적 지식인'을 구성해야 한다. 둘째, '집단적 지식인'은 무엇보다도 '문화생산의 장'의 자율성을 성취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조합주의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문화생산의 장'의 자율성이야말로 '보편적인 것'의 생산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부르디외는 일생동안의 연구활동과 다양한 미디어 전략을 통해 이러한 논리를 실제로 구현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는 부르디외의 사회학적 논의와 다양한 참여 활동에 나타난 일관성과 독창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그것이 보여주는 몇 가지 논리적, 현실적 문제점들 역시 비판적으로 성찰해보았다.

  • PDF

한국 대학교육에 대한 비평: 헨리 지루 사상을 중심으로 (A Critique for University Education in South Korea: Focus on Thought of Henry Giroux)

  • 허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47-456
    • /
    • 2020
  • 한국 사회는 2017년 체제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고 있다. 대학교육도 핵심어인 공익과 혁신에 초점을 둔 의제를 선정하고 함께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반면 실질적인 변화는 미흡하다. 교육에 대한 본질과 이론에 대한 논의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교육의 현재 위치를 고찰하고 비판교육학의 관점에서 본질과 이론적 방향을 논했다. 지금까지 한국 대학교육은 1995년 5.31 교육개혁 이후 20년 넘게 신자유주의라는 담론의 지배 아래 작동하였다. 2017년 체제와 4차 산업혁명이 추구하는 방향인 민주주의와 탈산업화는 신자유주의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신자유주의를 성찰하고 방향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헨리 지루는 1980년부터 주요 담론이었던 미국 교육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비평을 해 왔으며, 다양한 변화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대학교육을 위한 인재상의 명확한 좌표를 제공해왔다. 예를 들어 지성인, 경계지성인, 공공지성인 등이다. 이들은 주체적이고 자율적이며,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익을 위해 추구해야 할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2017년 체제와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인재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논의와 함께 이후에도 한국 대학 교육은 진지하고 엄격한 논의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A STUDY ON THE FORMATION OF EARLY TURKISH NATIONALISM

  • JEONG, EUN KYUNG
    • Acta Via Serica
    • /
    • 제3권1호
    • /
    • pp.57-83
    • /
    • 2018
  • Historians describe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as a period of "nationalism." During this period, Turkish nationalism transformed into a thought movement which emerged to defend Turkish national sovereignty during the collapse of the Ottoman Empire. Approaches towards nationalism in Turkey are based on the idea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ideas of national independence that developed subsequently. Nationalism in Turkey first transformed from Pan-Islamism into multinational Ottomanism, and finally developed into Turkish nationalism and patriotism. This process emerged as a movement of self-discovery in the multicultural structure of the Ottoman Empire and transformed into Turkism. The Balkan Wars (1912-1913) destroyed the foundation upon which Ottomanism was based, and led to the rise of Turkish nationalism, in other words, Turkism. The idea of nation in modern terms in the recent history of thought and nationalism subsequently developed based on this idea and emerged with the Turkism movement. Thus, Turkism became the movement of Turks in the empire, combined with political Turkism which was supported by the intellectuals who came to the Ottoman Empire from Russia. In this article, the formation of Turkist movements and the leading intellectuals of Turkish nationalism, who emerg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n the Ottoman Empire,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amine the historical progress of nationalist approaches in a period in which a new national state was established and improved.